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steinsein alookso(2022.12~2024.12)

'얼룩소'에 올린 글들(최신순)

신심미약종교학 채널로 옮길 예정

초자연적 존재에 관한 이야기는 여전히 인기┃유튜브 종교적 콘텐츠 분석(3)

AI 무당까지 나오는 시대, 유튜브 무속 콘텐츠 동향┃유튜브 종교적 콘텐츠 분석(2)

종교는 '까야' 제맛?┃유튜브 종교적 콘텐츠 분석(1)

어느 천주교 신자가 종교학자에게 도전장을 내밀다

'응용종교학'을 들어 보셨나요? 현대 사회에서 종교학의 역할은?

순교와 테러: 진화인지적 관점의 이해

한국 무속은 왜 '무교(巫敎)'가 되지 못했을까?

한국인은 무교(無敎)인가, 무교(巫敎)인가?

한국은 어쩌다가 무종교 국가가 되었을까?

카우스피러시, 씨스피러시│환경오염과 기후위기 종말론

기복신앙은 왜 나쁘다고 할까? 정말 '나쁜' 것일까?

종교에서 믿음이 부차적이라면?

〈메시아〉, 종교적 구원자에 대한 대중 열망의 맹점을 파고들다

'나는 귀를 막고 눈을 감고 입을 다문 인간이 되려고 했다'(공각기동대, 호밀밭의 파수꾼)

분리뇌와 초자연적 세계

'새로운 의견은 항상 의심받고, 대개 반대에 부딪힌다'의 안과 밖

"종교, 진화, 자기 초월의 엑스터시"(Jonathan Haidt의 TED 강연)에 대해

너의 이름은? '그것',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

시(詩)도 마법의 주문(呪文)일 수 있다

'통치자는 종교를 유용하다고 여긴다', 세네카의 말로 알려져 있지만..

'단순하게 설명 못하면 이해 못한 것', 아인슈타인의 명언?

사이버 세계에도 귀신이 살고 있다?

뉴진스님은 불교 쇠퇴를 막아줄까?

종교인의 뇌는 보수적인 뇌일까?

할매신과 여자 귀신┃'걸크러시'와 '피눈물', 그럼에도 남는 것

한국 개신교는 '얼마나' 보수적인가?

정치만이 아니라 종교도 동서로 차이가 있다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Our deepest fear)', 만델라가 한 말이 아니지만..

왜 정치인들의 종교인 비율이 높을까?

제주4·3과 무속┃미완의 종교적 치유

'만우절'이 봄의 신년 축제? 바보는 바보가 아니었다

정치적인 것의 추락으로서의 '종교'┃'정치의 종교화' 이슈에 대해

춘분과 부활절, 그 관계의 기원에 관해서

'진짜 종교'는 진짜 존재하는가?

근친은 어디까지인가? 문화적 결정인가, 생물학적 결정인가

〈파묘〉가 그리는 종교적 판타지

불교 쇠퇴와 '집 떠나 사는 즐거움'

발렌'타인'데이 vs 발렌'본인'데이

'성소수자의 하느님'은 존재할까?

하느님 vs 하나님┃'종교적 사실'은 종교적으로만 결정되지 않는다

'정성(Prayer)'이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

종교적 종말론 vs 과학적 종말론│기후 위기 종말론을 생각하며

'한국 고유 종교'라는 환상과 국가/민족 정체성 문제

아담, 인류 최초로 이혼?┃신화/전설의 주요 탄생 패턴

일본 지진과 노스트라다무스, 예언 가십

2024년은 갑진년, 청룡의 해라던데...21세기 한국적 시간관

'이브'(Eve), 왜 전야부터 축제의 시작인가

'냉동' 표준어는 더 이상 표준어가 아니다?!

'사리(舍利)의 신비'에 대한 과학적 이해

답사이야기_태백산, 산당, 서낭당

백마스킹과 사탄의 목소리

악마의 숫자와 데미안

빼빼로 데이 vs 가래떡 데이

20대 탈종교화와 관련된 여러 데이터

공유된 슬픔 … 의례 행동의 집단 심리적 효과

종교는 왜 이렇게 '사악'하게 보이나?

열성적 신자가 과격한 행동을 하는 이유

유튜브로 종교문화의 변화를 알 수 있을까?

성경 통독이 기적을 불러올까?┃경전 읽기의 마법

갑골문으로 보는 종교적 한자의 세계

'가짜 뉴스'의 시대, 새로운 신화의 시대

20대는 과연 비종교적일까?

중년의 '성숙한 종교 활용'에 도움이 되는 책들

중년, 종교를 음미할 수 있는 이유

개신교의 '문자무오설' 신앙과 혐오 문제┃접근 방법 고민하기

가위눌림, 귀신/유령, 그리고 액막이의 효과

귀신 이야기로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려고 한 건 언제부터?

'선풍기 사망(Fan Death)' 미신 유행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제임스 카메론 감독과 예수 가족의 무덤, '예수 신화'에 이야기를 더하다 

'염매(魘魅)'는 사실 '아이 잡는 술법'이 아니다

‘악귀’ 속 민속학자를 보는 종교학자의 시각

죽음에 관한 '진짜 목사' 이야기, 그리고 사족

‘종교의 기원’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 참여 후기┃인간의기원연구소

위로가 없는 '차가운 종교학'┃Science of Religion을 생각하며 

영혼은 존재하는가?

스마트폰으로 신과 통화하는 시대?

《홍길동전》은 '최초의 한글 소설'이 아니다?!

'종교의 기원'에 관한 과학적 논의를 다루는 학술 대회 소식

종교와 환각제(마약), 그리고 마음의 비밀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란 말은 마르크스의 순수한 창작이 아니다

종교문화의 지층, 델포이 신전의 사례┃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3)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의 진정한 의미┃종속변수로서의 종교

21세기인데도 종교는 왜 사라지지 않을까?

신령님과 부처님의 복도 배달이 되나요?

문란해진 표절 기준┃타인 저작물을 베끼는 다양한 방법

사회적 죽음을 우리는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추모제와 위령제, 그 미묘한 차이

'델포이 신전의 작은 옴파로스'는 옴파로스가 아니다?┃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2)

델포이에서 아폴로는 테미스를 쫓아냈을까?┃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1)

'너 자신을 알라'라는 글귀는 델포이 신전의 어디에 새겨져 있었을까?

'너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라...

데몬(Demon)과 귀신┃데몬이 '악마'가 된 사정

신과 사후 세계는 존재하는 게 아니라 필요한 것

복어가 아니라 북어가 행운의 부적이 된 사연

기독교 방언과 빙의의 관계

신화가 사회적 위로를 만들어 내는 방식┃〈스즈메의 문단속〉을 보고

만우절 장난의 기원│놀이와 주술(종교적 행동)

행운을 비는 Crossed fingers는 효과가 있다?!

왜 종교는 위선적인가

온라인에서 '신'은 어떤 기능을 할까: 신조어 속 신 개념 이야기

'종교'라는 개념이 인간의 종교문화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데 걸림돌인 이유

지구교를 가져보면 어떨까? : 기후 위기와 지구교

기독교의 부적, 우상숭배가 아니라 기본 장착된 것

세상의 모든 종교는 사이비 종교였다?!

종교적 관념은 인간 중심적 '사고'의 결과물이 아니다 │ '극단적인 과학적 회의주의'의 착각

미신은 '마약성 진통제'에 비교될 수 있다┃미신의 과학(3)

징크스, 미신은 효과가 있다 │ 미신의 과학(2)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에 대한 설왕설래

미신의 과학(1): 미신을 떠올리는 마음

과거에 출판된 글을 재편집한 글이군요(feat. 박한선, 인류학자가 된 정신과 의사)

미신, 사이비, 이단...옆차기? │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을 찾아서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괴테 말이 아닙니다│기억의 오귀인(misattribution) 현상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믿는 진실은 사실일까 아닐까 │ 김어준을 언론인이라 못할 이유가 있을까?

기독교의 신년 점치기, '말씀 뽑기'│미신론을 넘어서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에 드리워진 종교의 그림자 

챗GPT로 잘 모르는 분야 탐색시에 반드시 크로스 체크 

오늘이 토끼 해의 시작? - 양력 1월 1일과 계묘년 

천문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1월 1일은 왜 새해 첫 날이 되었을까?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6) –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5) –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4) - 크리스마스는 타락한 적이 없다, 덧칠되었을 뿐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3) - 기독교 시대의 크리스마스도 연말 잔치 느낌 

과도한 혹은 쓸데없는 비용이 드는 의례는 왜 지속될까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2) - 기독교 초기 동지 축제의 크리스마스화는 실패였다 

지구평평론자들이 지구를 평평하다고 믿는다고 '평평한 지구가 실재한다'고 믿을 수 있을까요?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1) - 예수의 탄생일? 

사람들은 귀신을 믿는 게 아니다 

종교 '억까', 스켑틱의 질문(가설)은 비과학적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