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아닐 세스인 게시물 표시

믿는 진실은 사실일까 아닐까 │ 김어준을 언론인이라 못할 이유가 있을까?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10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뜬금없이 뇌과학 이야기부터 해 보겠습니다. TED 강연 중 " Your brain hallucinates your conscious reality "(당신의 뇌가 당신의 의식적 현실을 환각으로 만들어 낸다)라는 게 있습니다. 애닐 세스(Anil Seth)라는 신경과학자가 인간의 '현실 인식'이 가진 '시뮬레이션'으로서의 특성을 이야기하는 강연입니다. 핵심 메시지는 이것입니다. Anil Seth의 TED 강연의 한 장면 우리가 환각에 대해 동의할 때 우리는 그것을 현실이라고 부릅니다. 신경과학자가 이런 이야기를 하니 무척 신기했습니다. 종교라는 '내로남불 체계'가 딱 이런 특성을 가지고 있거든요. 남의 종교는 거짓이고 우리의 종교는 진리라 여기는 발상 잘 아실 겁니다. 정치와 미디어(+언론)의 문제는 사실과 거짓의 싸움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지록위마'의 고사를 떠올리지 않더라도 힘 있는 사람들이 '현실'을 결정할 힘을 가지고 있다고 말이죠. 한국 사회의 지배계급만 그런 것도 아닙니다. 국제 질서 상에서 '사실'은 언제나 '전략적 사실'(남을 해롭게 하고 나를 이롭게 하는 서사가 가미된 사실)-강대국의 이익이 고려된 사실입니다. 종교학이나 신화학을 배우면서 이런 문제를 많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신화나 종교 같은 것은 내부자의 시선에서는 한 없이 아름다운 세계관입니다. 그러나 외부자에게 가해지는 폭력을 정당화하는 힘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무엇 하나를 과장해서 진정한 종교/신화는 무엇이다,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들은 그러한 삶을 살지 않지요. 우리는 진리나 사실의 소유자가 아니라 그걸 이용해서 살아가야 하

사람들은 귀신을 믿는 게 아니다, '믿음'이라는 함정 카드

믿음이라는 '함정 카드' 이제까지 인류는 귀신, 유령과 같은 ‘영적 존재’를 ‘믿어’왔다. 이제는 누구도 귀신을 믿는다고 쉽게 말하지 못한다.  전전세기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Edward Burnett Tylor는 기독교적인 종교 개념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영적 존재에 대한 믿음’을 종교라고 이야기했다. 믿음의 대상이 유일신에서 ‘영적 존재’로 확장되었지만(이전 학자들과 비교할 때), 여전히 ‘믿음’은 종교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점이었다. 종교를 이야기할 때 '믿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지금도 바뀌지 않았다. 그래서 던져보는 질문이다. 여러분은 귀신을 믿으시나요? 귀신은 과연 존재할까요? 이 질문에 이끌려서 귀신이 없다는 증명을 하거나 귀신이 있다는 증명을 할 수도 있다. 회의주의 과학자들 * 이 종교 문제를 대할 때 기본적으로 이런 전략을 취한다. (참고: “ 종교 '억까', 스켑틱의 질문(가설)은 비과학적이다 ”) ‘물은 답을 알고 있다’는 ‘미신’을 비판할 때도 실험하며 결과(물의 결정)가 바뀌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혈액형 성격론’이나 ‘MBTI 성격론’이 유행할 때도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이야기할 뿐이다. [ * 과학적 회의주의, “실증적 연구와 재현성을 바탕으로 증거가 불충분한 주장의 진실성에 대해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 혹은 반증하려는 과학적 태도”인데, 종교 문제에 국한해서 본다면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으므로) 신은 없어, 그런 거 믿지 말라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귀신이 존재한다면 질량이 있을 것이다? 귀신(유령) 문제는 어떨까? ‘안될과학’에서 그런 사례를 보여준다. 영혼의 무게를 재는 실험이 있었다고 한다. 일명 ‘21그램 실험’이 그것이다. 항간에 ‘영혼의 무게는 21g이다’라는 속설로 퍼져 있다. 미국 매세추세츠 주 헤이브릴의 의사 던컨 맥두걸Duncan MacDougall은 ‘영혼이 실존한다’면 ‘무게’를 가질 것이고(과학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의 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