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아노미인 게시물 표시

광장, 중심이라는 경계

아래 글은 같은 제목으로 2017년 6월 30일에 ' 월간 종교인문학 '(블로그)에 썼던 글을 옮겨 놓은 것이다.  2016년 말에서 2017년 초까지 이어진 대통령 탄핵 촛불집회를 계기로 '다양한 광장의 경험'을 종교학자의 시선으로 조명해 봤던 글이다. ─── ∞∞∞ ─── 광장은 도시의 한 복판에 있다. 그러나 광장이 모든 사람들에게 언제나 ‘중심’으로 경험되는 것은 아니다. 광장의 경험에 대한 다양한 기억은 그곳을 오히려 불안한 ‘경계’의 자리로서 묘사하도록 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지금 눈부신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광장 이야기와 그 그늘에서 빛바랜 채 먼지를 뒤집어쓴 잘 기억되지 않는 혹은 기억될 수 없는 광장의 이야기를 떠올려 보고 싶다. 다양한 이야기들이 이 공간의 경계성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리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지난해(2016년)부터 올 봄까지 서울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광장은 촛불로 가득 채워졌다. 그 목소리는 결국 새로운 정부를 탄생시켰고, ‘새로운 한국 만들기’의 기대를 품게 만들었다. 그리고 광장에서 터져 나왔던 ‘민주주의의 외침’이 더 각별하게 기억되었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5.18과 6.10 사진출처: 5.18 기념재단 사진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 날들은 ‘국가 기념일’이 되었다. ‘무슨무슨 기념일’로 되어 있는 날에는 ‘3.15의거 기념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4.13), ‘4.19혁명 기념일’, ‘학생독립운동 기념일’(11.3)이 있다('국가기념일'은 그 외에도 '무슨무슨 날'을 포함한다). 광장을 ‘민주주의 성지’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때 공대 선배조차도 학내 학생 운동의 메카인 광장을 '신성한 곳'이라고 말했던 기억이 있다. 성스러움의 감각은 아주 현실적이었다. 이러한 성스럽다는 규정 자체가 이 공간이 무언가 '분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힘을 지녔다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 분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