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기독교의 신년 점치기, '말씀 뽑기'┃미신론을 넘어서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7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51524

연말 혹은 신년에 기독교계에서는 '말씀 뽑기'를 한다. 모든 교회나 성당에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그리고 이 의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구글링만 해 보아도 알 수 있다.

google 검색 결과, 편집된 것임

개신교계 일각에서는 주술적이고 샤머니즘적이고 이교적인 행위로 인식하고 있다. 그럼에도 많은 교회에서 송구영신예배 혹은 신년 예배에서 ‘말씀 뽑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 이런 예를 떠올렸을지 모르겠다.

오미쿠지, 출처: https://blog.naver.com/ky7000/110123986893

아니면 ‘포춘 쿠키’를 떠올렸을지 모르겠다.

https://www.pinterest.co.kr/pin/573012752578857208/

‘포춘 쿠기’ 속 운명의 메시지로 성경 구절을 사용하는 경우도 눈의 띈다.

https://www.amazon.com/Fun-Express-Fortune-Cookies-Edibles/dp/B00ATEEIG4

개신교도들이 이런 ‘미신적 행위’를 일삼는 것을 부정적으로 이야기할 수도 있다. 위선자라느니 뭐 그런 식으로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년 점’의 풍습이 예부터 이어져 온 것이라는 점, 한국만이 아니라 세계 도처에서 신년 운세를 점치는 의식이 많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이런 행위는 단순히 미신이 아니라 인류의 일반적인 종교적 특성이 반영된 행위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 신년과 의례, 그리고 점치기

시간의 마디, 특히 한 해의 끝과 시작이 나뉘는 마디는 많은 의례가 행해지는 시간이다. 그 시간은 이후의 시간, 특히 한 해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시간으로 여겨진다. 종교적 의미에서 특히 그렇다. 고대부터 사람들은 이 시간에 한 해의 행운을 불러올 수 있는 의식을 수행했다.

그러한 의식들은 대체로 정화 의식(액운 제거), 특별한 음식 섭취(주술적 의미), 고행(난이도 있는 과제 수행), 특정한 의복 착용(주술적 의미), 특정한 행동 수행(주술, 행운), 그리고 무작위적 제비뽑기(점치기) 등이다.
참고: “50 New Year Traditions From Around the World

꼭 어느 한 양상의 의식만을 하고 있다기보다는 이런 여러 의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신의 뜻을 확인할 때, 제비뽑기 식의 점치기 방식이 사용된 것은 인간사에서 늘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기독교 세계라고 해서 다르지 않았다는 점은 '마녀 재판'에서 시죄법으로 사용된 '물에 빠뜨리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죄가 있다면 물에 뜨고, 죄가 없다면 물에서 떠오르지 않는다는 논리로 시행된 방법이다(결국 죽는다는 건 같음. 빠져 죽냐 타 죽냐의 차이긴 하지만). '신이 결정할 것이다'라는 속 편한 생각으로 정당화되었다.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한 해의 행운을 비는 신년 의례는 양력 1월 1일보다는 우리가 ‘설날’이라고 부르는 음력 1월 1일, 혹은 정월대보름, 혹은 춘분 즈음 혹은 봄의 절기 의례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농경 의례와도 어느 정도 관련될 수밖에 없기도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LZqWhbV0Gws

요즘 한국 사람들은 새해에 좋은 기운을 받고자 산이나 바다로 향한다. 경우에 따라서 랜선 해맞이를 하기도 한다. 그리고 일출 맞이를 하며 태양을 바라보고 한 해의 소망을 기원한다. 랜선 해맞이 사례에서는 '소원 채팅'을 통해서 이를 잘 확인할 수 있다.

이런 행동 방식의 ‘원초적 특성’을 고려해 보면, ‘말씀 뽑기’는 단순한 미신은 아니다. 시간의 변화를 인식하는 마디의 시간에 ‘주술적 의례’(주로 행위자의 안녕을 기원하는)를 요구하는 심리는 개신교인 이전에 사람으로서 가지고 있는 종교적 욕구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가톨릭의 사례
http://m.sjfrancesco.kr/bbs/board4/98078

찾아보니 가톨릭계에서도 비슷한 행위가 있는 것 같다. ‘성령칠은뽑기’ 혹은 ‘성령칠언말씀뽑기’라고 불리는 행사다. 성령강림대축일(예수 부활 후 7주가 지난 다음 날, 오순절)에 하는 행사라고 한다. 신년의례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긴 하지만 기능상에서는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 사족: 교리적 신앙과 원초적 종교심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는 없다. 보통 교리적 신앙에 입각해서 원초적 종교심이 미신으로 치부되긴 하지만, 종교 서비스 시장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언제나 원초적 종교심이 작동하는 영역이다. 

부적, 주술적 신행이 교리 종교에서 횡행하는 것은 늘 있었던 일이다. 종교의 쇠퇴 과정에서 이런 것이 ‘타락상’이자 ‘문제’로 지목되곤 하는데, 무조건 맞다고 볼 수는 없는 이야기다. 그저 빌미가 되기에 좋을 뿐이다.

댓글

  1. 1) '성경 말씀 중에서 좋은 동기를 부여하는 것들을 선별하고, 인쇄해서, 사람들이 무작위로 가져갈 수 있게 하는 것' 자체는 아무런 신학적 문제도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2) '일종의 '신년 운세'를 보는 것'이 된다면 여기서부터 신학적, 성경적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겠죠.

    그럼 1)과 2)의 차이는 어디에서부터 발생하는지가 문제될 텐데요, 점술은 무작위적 패턴의 제시와 그것에 대한 점술가의 해석(리딩), 그리고 그것에 대한 믿음과 금전적 비용(복채)의 지급이라는 요소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성경구절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점술적인 문맥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행사적인 계기가 교회에 의해 마련되고 (사실상 복채의 변형일 수 있는) 감사헌금이라는 형태로 점술의 요소들이 실현될 수 있다면 (성경이 엄하게 금지하고 있는) 신학적/성경적 문제로 인식되고 논의될 수는 있다고 봅니다.

    신학자가 아니라 종교학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흥미로운 사실로 여겨질 수 있는 '주술의 그리스도교화'를 일부 짧게나마 기술하고 있는 논문이 있는데요. 소개해 드리고 싶네요. 이상택 교수님의 "마녀사냥(Witch-Hunts)은 왜 유럽에서 발생했을까?"(가톨릭사상. 제42호 (2010년 후기)) 중에서 특히 p. 45 이하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주술과 종교에 대한 구별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사탄숭배론'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 나오기도 하죠.

    항상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선생님.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답글삭제
    답글
    1. 의견 감사합니다.

      다만, 주술이 기독교화 되는 현상이 실제로 벌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인지종교학의 관점에서 보면 '주술적 사고방식'과 '주술적 행동'은 인간의 인지적 능력 때문에 '자연스러운' 것이거든요.

      그런 현상을 기독교 신학적으로는 합리화할 수 있는 길이 없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사람들이 '신앙이 타락해서' 그런 일이 벌어진다는 종교 내부의 주장이 일반적인 사실이 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위의 논의는 종교 내부의 시각과는 전혀 관계 없는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기독교 신앙을 가지신 분에게는 불경한 이야기일 수 있을 겁니다. 신앙의 틀 밖에서 볼 때라야 이해 가능한 내용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늘 피드백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위로가 없는 '차가운 종교학', Science of Religion을 생각하며

※이 글은 얼룩소 글(23.7.1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라는 주제를 다루려면 '위로'가 필요하다? 이 말을 저는 곳곳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 정재승 박사가 총괄자문 및 프리젠터로 참여한 다큐 시리즈 '뇌로 보는 인간'의 마지막 '종교' 편에 제가 자문으로 참여하여 아주 짧은 시간 출연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시청률이 높았던 편이 아니라서 사람들로부터 별다른 반응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우연히 EBS 다큐를 보던 친구가 '야, 너 나왔더라...잠깐 ㅎㅎ', 이런 반응을 보인 예가 있었을 뿐입니다. 함께 자문에 참여한 구형찬 박사(인지종교학)가 종교학자로서는 메인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뇌로 보는 인간' - 종교 편의 한 장면┃저는 입을 다물고 있습니다^^ 몇 년이 지나서 그때 나왔던 미디어 비평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 미디어스 기사 캡쳐 해당 다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이런 논평을 내 놓았습니다. 미디어스 관련 기사 '위로가 없다'는 비판 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종교라는 주제를 다룰 때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곤 합니다. '종교의 본질', '참된 의미' 같은 것을 발견하고, 뭔가 진리의 말씀이나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얻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종교학도 존재합니다. '현대인의 종교는 병들었다'는 진단을 내리며 '고대인의 지혜'를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거나 모든 종교에 담겨있는 가장 고귀한 가르침(가령 황금률 같은)은 모두 상통하고 그것이 인간이 향유해야 할 소박하지만 분명한 진리라고 이야기하는 예도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출처: Wikimedia Commons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막스 뮐러는 '종교학으로의 초대(Introduction to the Science ...

"뇌 회로는 친숙한 것, 중요한 것과 단순한 배경을 식별합니다."(논문 정리)

흥미로운 신경과학 연구 소개를 봤습니다. 친숙한 것과 중요한 것을 먼저 식별하는 뇌 경로에 관한 연구입니다. '신경종교학'에 참고가 되는 논문일 것으로 판단되어,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  *  * Brain Circuit Identifies What’s Familiar, Important, or Just Background┃Neuroscience News.com 요약 : 과학자들은 기억과 감정을 통합하여 감각 정보를 빠르게 평가하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뇌 회로를 발견했습니다. 내측후각피질(entorhin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 사이의 이 직접 피드백 루프를 통해 뇌는 중요한 광경과 소리를 거의 즉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알려진 더 느린 경로와 달리, 이 회로는 관련 자극과 배경 소음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PTSD와 자폐증과 같은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발견은 뇌가 정보를 걸러내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감각 및 기억 관련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  익숙한 것을 한눈에 알아보는 뇌 회로, 해마의 비밀 우리는 왜 친숙한 얼굴이나 물건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까요? 반대로 처음 보는 것은 어딘가 낯설게 느껴지곤 합니다. 이런 능력 뒤에는 우리의 기억 이 큰 역할을 합니다. 뇌의 해마(hippocampus)라는 부분이 과거의 기억을 보관하고 있다가, 현재 들어오는 감각 정보와 비교하여 이것이 익숙한지 새로운지 판단하도록 돕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해마는 “이건 예전에 봤던 거야” 혹은 “처음 보는 거네”라는 신호를 뇌의 다른 부분에 보내 우리의 인식을 조절합니다. 이 덕분에 우리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 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미 아는 것은 배경 소음처럼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해마는 특히 대뇌피질의 한 부분인 내후각 피질 (entorhinal cortex)과 긴밀히 소통합니다. 내후각 피질은 오감에...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