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스펙트럼인 게시물 표시

최근 논문(1883-1910 한국 종교 용례 특이성)에 대한 윤조철 박사의 논평에 대해

오늘 최근 낸 논문(초기 종교 용례 연구)에 대해 윤조철 박사님의 질정을 받았다. 1. '근대적 종교 개념'이 무엇인지 설명될 필요가 있다 당연히 알겠지 싶어서 신경 쓰지 못한 부분이었다. 교정이 진행될 때 나도 파악한 문제였지만 후속작에서 수습하기로 생각했다. 근대적 종교 개념의 중요한 특징은 '정교 분리', '사적 믿음', '배타적 신앙'(종교는 '갖는다'고 표현하며 특정 단체에 소속되는 기준으로 판단하는 시각) 같은 것이라 생각한다. 일제가 통감부 시절부터 '포교 규칙'을 수립하여 '종교 단체'를 규정하고 공권력의 영향을 항시 받게 만들면서 그 이전의 '교의 경험'과는 다른 토대를 만들었다. 그 근대적 특성을 내면화 하기까지는 제도의 도입 이후 시간이 좀 더 필요했던 것 같다. 2.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사용된 '국교'가 지금 우리가 이해하는 state religion과는 차이가 있는데 혼란스럽게 쓰였다 이에 대해서는 심사자의 지적도 있었다. 주3으로 갈음하긴 하였다. 이 글에서 쓰이는 '국교'는 state religion으로 이해하면 오해라고. 3. '세계대세론'의 발행 상황에 대한 언급이 없다 방원일 박사님의 논문(2021, "한국 개신교계의 종교 개념 수용 과정")을 참고하면 되겠거니 안일하게 생각해서 빠뜨린 것 같다. 중요한 정보를 잘 인용하지 못한 나의 불찰이다. 방원일, 2021: 10. 4. '언문일치'의 측면에서 용례 빈도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는 여지도 있다 「我が国の宗教」, 「我国之宗教」의 차이를 말씀해 주셨다. 한자로는 '교', '도'가 그러나 국문으로 넘어가면 한자식 낱글자 의미로는 부족해지는 감이 없지 않다. 그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히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제법 흥미로운 문제 제기라는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