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기억의 오귀인(misattribution) 현상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3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이 말은 통상 괴테가 한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중에서

누가 한 말인지 적지 않은 경우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책 제목으로도 많이 회자된 표현입니다. 어쨌든..

괴테가 한 말이 아닙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는 누가 한 말인가?│오귀인 사례 (4)")을 참고하시고요.

출처를 찾아보면, 리처드 L. 에반스라는 라디오 아나운서이자 작가(우리에게 몰몬교로 알려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십이사도 정회원이기도 했음)의 책--Faith in the future(1963)--에서 'Direction is more important than speed.'라는 표현으로 등장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Life is a Matter of Direction, Not Speed.'는 콩글리시 버전이고요). 에반스가 처음 이 표현을 사용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만, 이 표현의 유행이 시작된 시기에 찾아 볼 수 있는 명확한 출처로 그의 책을 찾을 수 있다는 건 명확한 사실입니다.

심리학 분야에서 출처를 잘못 대는 기억의 오류를 기억의 오귀인(misattribution of memory), 그 중에서도 '출처 혼동(source confusion)'이라고 합니다. 명언 사례에서 풍부하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만, 명언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사진, 책, 디자인 등 사람들이 기억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해서 이런 현상들이 벌어집니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오류'로 취급하지만, 사람들의 기억 메커니즘이 가진 특성으로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인간의 종교적 관념이나 행동(크게 말해서 '종교 문화')에 대해 연구하면서 전설, 신화 등과 같은 이야기의 특성이 인간의 인지구조(뇌의 정보 처리 구조--특히 기억 메커니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흥미로운 '오귀인' 사례들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사례를 찾지는 못했고, 주로 다른 사람이 찾은 걸(https://quoteinvestigator.com/) 정리하는 수준인 경우들이 많습니다만, 위의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를 포함해서 이제까지 6건의 사례를 제 블로그에 정리했습니다.

1. 넬슨 만델라와 'Our deepest fear' speech
2. 네팔 지진 고아로 알려진 사진 속 주인공이 베트남 아이들이었던 반전
3.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헤밍웨이가 한 말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정말 그런가?
4.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는 누가 한 말인가?
5.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누가 한 말일까? 스피노자인가 루터인가?
6. 진실이 신발을 신는 동안 거짓말은 세상의 반 바퀴를 여행할 수 있다, 누가 한 말인가

1은 영화 '코치 카터'를 보고 멋진 대사라 생각해서 찾아보다가 알게 된 사실이었습니다. 해당 글의 최초 버전은 2008년에 썼던 것입니다. 이때쯤 명언의 '오귀인' 사례를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이때만 해도 기억과 종교적 관념을 연결해서 생각하지는 못했습니다. '참 신기한 현상이구나' 정도에 머물렀습니다.

2는 BBC 기사로 알게 된 것이었습니다. 사진의 출처 혼동은 그 외에도 많습니다. 제가 최근에 본 사례들은 주로 재난(지진, 전쟁 등)과 관련된 이미지들이었습니다. 이 사례를 보면서 점점 인간의 기억 메커니즘과 전설이나 신화와 관계가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글에도 밝혔습니다만, 사육신의 시로 알려진 사례나 정몽주 전설 등을 당시에 마침 살펴본 참이었습니다(2015년).

3과 6은 앞서 밝힌 Quote Investigator에서 다룬 것을 옮긴 것입니다. 3은 애매한 사례입니다만, 6은 명백하게 집단적 전승 속에서 형성된 문장이 특정인에게 돌려진 사례였습니다.

4와 5는 이전에 탐색한 결과들을 발판 삼아 제가 명확히 출처를 확인하거나 한 사례입니다.

이런 오귀인들은 '기억의 효율화'의 산물로 이해해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유명한 정보는 그에 걸맞은 유명한 사람이나 대상과 연결될 때 더 잘 기억되고 사람들 사이에 해당 정보가 잘 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출처만 바뀌는 게 아니라 전달되는 정보 자체도 변형이 일어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아주 전형적인 버전으로 수렴되는 경향이 보입니다. 더 극적이고, 더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사건이 해당 패턴의 서사를 흡수해서 '새로운 원본'으로 재탄생하는 일들이 벌어집니다.

'주몽 신화'도 그런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 연구들을 보면 북방에서 유행한 신화적 모티프들이 고스란히 이어져 고구려본이 만들어진 것이 '주몽 신화'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성서의 창조 신화도 마찬가지죠. 고대 근동의 여러 창조 이야기에서 변형된 버전이 성서의 창세기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이런 사례들을 공부하면서 출처 혼동의 오귀인 사례들이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오귀인 사례를 알고 계신가요?

                                     
주몽신화 관련 참고자료:
이복규, 〈「朱蒙神話」의 文獻記錄 檢討〉, 《국제어문》 1권, 1979, 21-38쪽
이종태, 〈고구려 太祖王系의 등장과 朱蒙國祖意識의 성립〉, 《북악사론》 2집, 1990, 57-101쪽
김영수‧김태환, 〈한국 시조설화와 그 역사지평〉, 《한국학보》 19권 3호, 1993, 78-121쪽(기관인증 혹은 유료로 접근할 수 있음)
신현규, 〈朱蒙神話 에서 東明과 朱蒙의 傳承文脈 硏究〉, 《한국문학과 예술》 7집, 2011, 149-175쪽(원문 찾아볼 수 있는 곳)

성서 창조 신화에 대해서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와 성서, 박혜숙
Genesis of Genesis: Where Did the Biblical Story of Creation Come From?
Genesis creation narrative, Wikipedia
The Mists of Time: Genesis I-II Nahum Sarna, Genesis: World of Myths and Patriarchs (1997)
Genesis (1964) by Speiser, E. A. (Ephraim Avigdor)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