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참고)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 세계적으로 보면 많이 있습니다. 크리스마스 이야기를 하면서 언급한 바 있습니다만, 게르만의 율(Yule) 축제가 그러한 대표적 사례입니다.
https://www.npr.org/2019/12/21/788997324/happy-winter-solstice-at-last-weve-made-it-to-the-shortest-day
우리 민속 전통에서나 고대 중국(주나라)에서 동지를 한 해의 출발점으로 삼은 예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음력(태음태양력)의 모태가 된 중국의 시헌력은 시간의 기준을 동지로 삼고 있지만 그 달을 11월로 정하고 있습니다.

역법의 변화, 민속의 변화에 따라서 천문학적 기준점은 인간이 향유하는 문화적 기준점과는 차이가 생깁니다. 많은 사람들이 쉽사리 인식하고 향유할 수 있는 시간의 리듬은 달의 시간이었기 때문에 음력 정월, 정월 대보름 등 달을 기준으로 한 해의 시작을 가늠하는 게 민속적 맥락에서는 우위를 가져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동지는 기록이나 전래 동요 속에서 '설'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을 뿐 현대 사회에서는 신년 기념일과는 관련성을 잃어 버렸습니다. 축제일의 감각은 크리스마스가 점유해 버렸고요.

정월대보름

현재는 부럼 먹는 날 정도로 의미가 축소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설보다 더 신년 축제로서 의미가 있는 날이었습니다. 액막이 음식, 놀이,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과 놀이가 펼쳐졌습니다. 부럼이나 팥밥을 먹는 것도 새해의 무탈과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팥밥은 동지 팥죽처럼 악귀를 쫓는다는 주술-종교적 의미를 가졌습니다.

다리밟기, 더위 팔기, 석전(투석전), 줄다리기, 달맞이, 달집 태우기, 복토 훔치기, 쥐불놀이 등 다양한 정월 대보름 놀이들은 개인의 건강과 마을 집단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의식이기도 했습니다.

음력이 일상에서 중요했던 시절에 '첫 번째 만월'은 지금의 1월 1일 일출처럼 '한 해의 소원'을 빌 만한 천문 현상이었습니다. 달맞이에서 소원 빌기를 빼 놓을 수는 없죠.

양력 체계가 정착되고, 음력 설의 가치가 높아지고, 농경 인구가 감소하면서 이 기념일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민속학적 의미를 가진 날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고유 문화라는 맥락에서 향유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https://sanders.tistory.com/75
참고로 일본에서는 이 날을 '코쇼우가츠(小正月, こしょうがつ, '작은 설')'라고 해서 기념을 하는데, 이때 팥죽을 끓여 먹었다고 합니다. 귀신 쫓기의 종교적 의미가 있었던 거죠. 우리의 동지 풍습과 유사한 모습이죠?

신년 기념일이 아니지만 유지되는 축제일

같은 의미에서는 새로운 경쟁자(양력 1월 1일)를 이길 수는 없을 겁니다. '새해의 시작점'들은 새로운 의미와 문화적 기능을 갖게 되면 존속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정월 대보름이 한 해의 출발점이 아니라 민속 기념일 같은 의미로 살아남는 것이죠.

이 유명한 케이스는 핼러윈과 만우절입니다. 이전에 쓴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이란 글에서 핼러윈과 만우절도 신년 기념일이었다는 점을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그러나 그 날들은 이제 신년 첫 날의 의미를 상실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죠. '망자의 날'과 '거짓말의 날'이라고요. 소비문화 축제, 장난스러운 놀이의 날 정도로 현대 사회에서 지속되고 있습니다. 애초 축제의 의미는 사라져버린 것이죠.

그 날 했었던 어떤 전승(죽은 자들과의 만남, 지나친 장난)들 중에서 지금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문화적으로 선택된 것이죠. 모두 액막이라는 주술-종교적 의미를 가진 행위들이었지만, 지금은 그런 것들은 배경에 머무르고 미디어의 흥미거리, 소비문화의 아이템 정도로만 이해되고 있습니다.

원초적 본능과 표현 방식의 다양성

신년을 향유하는 문화에는 나이테와 같은 흥미로운 흔적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초적인 종교적 본능이 재해석되고 변형되면서 다양한 놀이-종교 문화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시간관을 갖는지, 어떤 생업을 향유하는지, 여가는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서 놀이-종교 문화는 그 얼굴을 계속 바꿔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시간의 마디에서 활성화되는 인간의 근원적 동기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댓글

  1. 감사히 읽었습니다. 천문 현상이라는 규칙적인 시간을 인간이 이해하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신년이나 다른 특별한 날을 기념하게 된 것이겠죠. 이런 날들의 변천은 인간의 세상에 대한 이해방식의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고, 어쩌면 우리는 그러한 변화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인간의 근원적 동기'를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상당히 복잡하고 어려운 천문지식들, 이를테면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 및 세차운동과 고대 문명의 관계를 추적하는 연구도 있죠. 이를테면 Giorgio de Santillana교수(MIT교수였던 것으로 압니다)와 Hertha von Dechend의 "Hamlet's Mill: An Essay Investigating the Origins of Human Knowledge and Its Transmission Through Myth"같은 연구서도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읽어보진 못했습니다. (국내에서는 '햄릿의 맷돌'로 불리죠) 이 분야도 깊게 들어가보면 미궁속으로 빠져드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답글삭제
  2. 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게다가 흥미로운 연구를 소개해 주신 것도요. 천문학과 신화가 만나면 정말 흥미롭죠^^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