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영혼인 게시물 표시

영혼은 '존재'하는가? 실재성과 존재 감각은 다르다.

※이 글은 얼룩소 글(23.7.9)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세 줄 요약 영혼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접근은 그 물리적 실재성을 검증하는 게 아니다(ex. '21그램 실험'). 영혼이 있다고 느끼게 되는 인지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영혼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법이다. 현대의 과학적 임사체험 연구는 죽음에 임박한 상태 혹은 친밀감이 높은 대상의 죽음을 경험할 때 사람들에게 폭발적인 뇌 활동이 나타나면서 죽은 자나 죽은 자들의 세계를 현실감 있게 느끼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귀신, 유령, 더 나아가 신적 존재가 사람들에게 '현실감' 있게 느껴질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런 영적 존재가 정말 있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이 테마는 유물론자이자 무신론자인 과학자들의 '훌륭한 먹이감'이 되어 왔습니다. 과학적으로 그런 건 존재하지 않아.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믿음은 거짓이야. 그런 걸 믿는 사람들은 허약한 사람들이거나 무지한 사람들이다. 그런데 과학적인 설명에 이런 것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패한 예이지만 '영혼의 무게가 21g이다'라는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21g 실험'으로 불리는 이 실험은 고작 6명의 사람으로 이루어졌고, 이런저런 이유로 측정한 사람 1명의 무게만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대조군으로 15마리의 개(독살로 추정)를 측정해서 무게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했습니다(1907). 이미지 출처: Wikipedia & News Text Area 이 실험이 나오자마자 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1907년 의사 오거스터스 클라크(Augustus P. Clarke)는 사망 시 폐가 더 이상 혈액을 식히지 않기 때문에 체온이 갑자기 상승하여 땀을 흘리게 된다. 이 수분 손실이 21g을 설명할 수 있으며, 개는 땀샘이 없기 때문에 인간과 같은 사후 체중 감소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클라크의...

데몬(Demon)과 귀신┃데몬이 '악마'가 된 사정은?

※이 글은 얼룩소 글(23.4.27)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데몬은 '악마'나 '악령'으로 이해됩니다. https://villains.fandom.com/wiki/Demon 이러한 이해가 상식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데몬이 본래부터 이런 '순수 악'의 존재는 아니었습니다. 'demon', 네이버 영한사전 사전을 찾아보면, demon은 악마라는 의미와 귀신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악마라고 한다면 devil이나 Satan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 말은 심지어 악마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귀재, 명인, 비범한 사람'이라고 말이죠. 부정어도 특정한 맥락에서 강한 긍정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니 뭐 놀라운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 상충되는 의미들이 '데몬'이라는 말이 기독교화되어 '악마'가 되었던 역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귀신'이라는 말에는 '악마'나 '악령'이란 의미는 없습니다(기독교인들이 그렇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요). '귀신', 네이버 국어사전 기본적인 의미는 '죽은 사람의 영혼'입니다. 그리고 귀신은 인간에게 재앙(禍)만 주는 존재가 아니라 복도 줄 수 있는 존재입니다. '데몬'처럼 비상한 능력을 가진 사람을 '귀신'이란 말을 써서 나타내기도 합니다. '데몬'이라는 말과는 '악령'이나 '악마'를 제외하고는 확실히 비슷한 말로 보입니다. 데몬, 죽은 자의 영혼 실제로 '데몬'은 기독교화되기 이전에 귀신과 똑같은 특성을 가졌습니다. 이 말은 그리스어 'daimon(다이몬)'에서 나왔습니다. 다이몬은 고대 그리스에서 일반적으로 '신'을 가리켰다고 합니다. 헤시오도스의 기록에 따르면, '다이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