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전설인 게시물 표시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역사와 신화의 비식별역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이 타이틀로 글을 냈었다. 2016년에. 필자의 2016년 논문 이 글은 박사학위 논문에서 다룬 사례들을 활용해서, " 승자의 역사와 신화적 역사 "의 논의를 확장해서 완성한 것이었다. 이 글에서 나는 '신화'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신화'라는 게 '종교' 개념과 마찬가지로 역사-문화적 특수성을 지닌 것으로 사람들이 가진 어떤 일반성을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신화 개념은 그리스-로마 신화를 전범으로 하는 인간화된 신들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사실 그리스-로마 신화만 하더라도 그냥 '신들의 이야기'로 포괄할 수 없다.  도시 건설 이야기, 영웅의 성장 이야기 등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그 개념을 다른 문화권의 신비한 이야기에 적용할 때, 신화 개념 적용의 타당성을 묻게 된다. 그래서 그리스-로마 신화가 '제대로 된 신화'이고 나머지 지역의 신화라고 불리는 것들은 아류라는 식의 평가를 내리기 마련이다. '한국 신화', 이 말은 '한국의 신화'를 말하는 것인데, 여기에 들어간다고 여겨지는 이야기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제왕운기》 《동국이상국집》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규원사화》  등의 기록물 속 이야기, 민간전승, 무가 전승 등을 '민간 신화', '무속 신화' 등으로 부르는 이야기가 있다. 이런 구분은 기록 형태에 따른 구분이고, 내용상 우주창생신화, 영웅신화, 문명기원신화, 건국신화 등등으로 분류된다(두백, ' 한국신화 '). 지금이야 이런 분류학이 정리되어 있지만 '신화' 개념이 우리에게 낯설던 개항기에는 우리에게 신화는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서서히 우리 안에서 신화를 발견하게...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은 누구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3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가족 때문에 이 문제를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제 블로그에 옛 경험을 "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의심병자'의 기록 "으로 정리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무슨 도시 전설처럼 온라인 상에 퍼져 있다는 것을 처음 살펴본 계기였습니다(2020년 10월). 게다가 그 이야기의 확산에 언론도 한 몫을 하고 있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스포츠동아 기사, https://sports.donga.com/3/all/20180307/88998857/3 나무위키에도 관련 문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나무: 리칭윈 '). 위키백과에도 나오는군요( 위키: 리칭윈 ). 이런 내용들에 '의심'의 흔적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단지 '증거가 사실이라면...'이라는 단서를 다는 수준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이라는 장수인에 대한 기사는 지금도 종종 언론에 등장합니다. 구글 '뉴스' 검색 결과 중에서 사실확인이 된 것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시사in 기사를 보면 '기네스북에서 검증에 들어갔다'는 이야기만 언급하고 있습니다. 언론들이 이런 기사는 가쉽성으로 편하게 다루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실상은 '믿거나 말거나'인 경우가 많습니다.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 '풍문으로 들었소'가 '이런 사실이 있다'로 둔갑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에 '의심'이 많은 사람들도 이런 이야기 거리는 그러려니 하는 것인지 그냥 유통이 되는 경향이 있더군요(재밌는 이야기 거리로 말하는데, 죽자고 달려들 수는 없는 노릇이라서?). '므두셀라'를 언급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조금 진지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