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예방의례인 게시물 표시

만우절 장난과 빙의의 관계 │ 놀이와 주술적 사고의 관계

※이 글은 얼룩소 글(23.4.1)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https://www.bbc.co.uk/teach/school-radio/primary-school-assemblies-collective-worship-ks2-april-fools-day/z9ttxbk 전에 쓴 "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이라는 글에서 만우절이 신년 의례였다는 것을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만우절과 관련된 내용만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만우절은 봄을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는 관습의 산물로 보인다. 서구의 ‘만우절’은 16세기 후반에 프랑스에서 신년 첫 날을 1월 1일로 정리하면서(Édit de Roussillon, 1564) 공식 신년 기념일과 지방의 관습이 어긋나게 된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명하다.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각 지역 신년 기념일에 대한 기록을 보면, 어디는 크리스마스(12월 25일), 어디는 3월 25일, 어디는 부활절이었다. Édit de Roussillon이 반포될 때 프랑스 지역별 신년 기념일. 지도 구글맵, 자료 'Edict of Roussillon', Wikipedia.com 4월 1일은 3월 25일에 시작하는 춘분 축제와 관련된 날짜다. (캘린더의 1일은 시간의 시작일로 적합하다. 1주일의 축제가 끝나면 4월 1일이 된다. 동지 축제가 시작되는 12월 25일에서 일주일 쯤이 흘러 1일이 시작되는 날은 1월 1일이다. 참고: 천문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1월 1일은 왜 새해 첫날이 되었을까? ) 1월 1일을 신년 첫 날로 정하면서, 4월 1일은 신년으로서의 의미가 퇴색되었다. 유럽의 다른 신년 축제 때, 장난 같은 일들이 벌어진다(중세 크리스마스 때 '바보들의 축제'. 참고: 기독교 시대의 크리스마스도 연말 잔치 느낌 ) 만우절을 특징짓는 ‘장난’, ‘농담’, ‘악의 없는 거짓말’ 등이 여러 신년 의식에서 나온 행동 양식과 비슷하다. 만우절 장난은 액...

만우절 장난과 빙의의 관계

원글: 만우절 장난과 빙의의 관계│놀이와 주술적 사고 핵심요약 만우절은 신년 의례에서 기원했다. 신년 의례에서 빙의를 가장하여 귀신/유령 속이기 풍습이 존재한다. 귀신 속이기에 대해서는 다음의 영상을 참고하라. 귀신/유령 속이기는 '귀신 달래기'처럼 불운, 액을 막는 '예방 의례' 기능을 한다. 장난과 거짓말은 귀신을 속이기 위해 '귀신으로 가장'(빙의된)하는 연극과 관련된다. 장난과 거짓말은 액땜과 소규모 공동체의 해원과 관련된다. 자세한 내용은 본 글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