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1인당GDP인 게시물 표시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의 진정한 의미는? 종속변수로서의 종교

※이 글은 얼룩소 글(23.6.1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 누구나 이 말을 들어 본 적이 있을 겁니다. 종교의 폐해를 이야기할 때 종종 인용되는 말입니다.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가 《헤겔 법철학 비판》 Zur Kritik der Hegelschen Rechtsphilosophie 의 〈서문〉에서 한 말입니다(“Die Religion ... ist das Opium des Volkes”). 이 표현의 메시지는 통상 이렇게 이해됩니다.  종교는 대중을 환상으로 중독시키기만 할 뿐 어떠한 실질적인 구원도 이루지 못한다.  아편의 비유는 지배집단과 피지배(노동)집단의 구분 하에서 전자가 후자를 효과적으로 착취하기 위한 허위의식을 갖게 하는 장치로서의 종교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습니다. 그런데 마르크스가 이 말을 한 부분을 앞뒤로 살펴보면, 지금 '아편'이나 '마약'을 떠올리면서 부정적으로만 보는 해석과는 조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마르크스가 종교를 아편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인간에게 불필요한 것으로 단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해당 〈서문〉에서 "인민의 아편"이란 표현이 등장한 문장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상의 불행은 한편으로는 현실의 불행의 표현이자 현실의 불행에 대한 항의이다. 종교는 곤궁한 피조물의 한숨이며 무정한 세계의 감정이고 또 정신을 상실해버린 현실의 정신이다.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 - 칼 마르크스, 〈헤겔 법철학 비판 서문〉, 《헤겔 법철학 비판》, 홍영두 옮김, 서울: 아침, 1988, 187-188쪽. https://awestruckwanderer.wordpress.com/2014/11/27/marx-on-religion-the-opium-of-the-people-from-contribution-to-the-critique-of-hegels-philosophy-of-right/ ...

출산율, 유독 한국이 낮은 이유는? 젠더 갈등?┃출산율 0.75를 생각하며(2)

[2022년 9월 1일 작성] 출산율과 출생률은 어떻게 다른가│출산율 0.75를 생각하며 에 이어서 저출산 대책으로 한국 정부가 그동안 투여한 예산 규모는 상상초월이다. 2006-2020년까지 저출산 정책에 쓰인 예산은 '380조'에 이른다( 관련 기사 ). 그러나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그 긴 기간, 천문학적 예산을 들여 해결하고자 한 이 문제는 전혀 개선되지 못했다는 것을 말이다. 정책은 실패였다. 2022년 6월 인구동향으로 발표된 결과를 보면 너무 명확하다. 2020년까지의 출생아 수와 합계 출산율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낮다. 통상 OECD 국가들과 비교를 많이 한다. 위 자료와 연결해서 보기 쉽게 2020년 그래프를 찾아 봤다. 출처 :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 theGlobalEconomy.com이란 곳의 통계치를 보면, 한국이 당당히 집계된 192개 국가 중 '적은 것으로' 1등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친절하게 출생률이 가장 낮은 나라는 한국으로 인구 1,000명당 5.3명이 태어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theGlobalEconomy.com의 국가별 출생률 순위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조출생률'은 5.1명이었고, 2022년 조출생률은 4.x가 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2022년 6월 인구동향'을 보면 6월 조출생률은 4.5명이라고 한다). * *   조출생률, 출생률, 출산율, 합계 출산율 개념에 대해서는 " 출산율과 출생률은 어떻게 다른가┃출산율 0.75를 생각하며(1) "를 참고. 2020년 세계 각국의 합계 출산율 순위 합계 출산율도 2020년 기준 0.84로 세계 1위(뒤에서)였다. 해당 기록을 보면 2016년부터 한국은 최처 출산율 1위 국가를 유지하고 있다. '슈카'( 전 글 참조 )도 질문을 던지지만, '왜 유독 한국에서 출산율이 이렇게 낮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