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마르크스인 게시물 표시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란 말은 마르크스만 한 말일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6.2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저는 출처 오귀인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소문이나 가짜 뉴스를 사람들이 사실로 믿는 현상을 통해서 인간이 신화와 종교를 만들어 향유하는 방식을 짐작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번 에 마르크스의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라는 말의 참 뜻을 살펴본 김에 이 표현이 과연 마르크스의 순수 창작물로 볼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https://famosos.culturamix.com/historicos/karl-marx 칼 마르크스의 반종교적 입장을 단적으로 보여 주었던 ‘종교는 대중의 아편’이라는 표현은 너무나도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그 이전의 사용자들을 떠올리는 것이 낯설게 느껴집니다. 그렇지만 비슷한 표현이 사용된 이전 사례는 많았습니다. 하인리히 하이네와 모세 헤스, 출처: 위키피디아 하인리히 하이네(Heinrich Heine, 1797-1856)와 모세 헤스(Moses Hess, 1812-1875)라는 사람도 비슷한 말을 한 바 있습니다. (하이네는 괴테 시대에 활동한 시인으로 신랄한 풍자와 허무주의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다고 합니다. 헤스는 마르크스와 같이 《라인 신문 Die Rheinische Zeitung 》을 만든 바 있는 인물입니다.) 하이네는 “종교를 갖게 된 걸 환영한다. 종교는 고통 받는 인류의 쓰디쓴 잔에 영적 아편 의 달콤하고 최면적인 음료와 사랑과 희망 그리고 신앙의 음료를 붓는다”(1840)고 말했으며, 헤스는 “ 종교는 … 아편이 고통스러운 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처럼 같은 방식으로 … 농노 신분의 불행한 의식을 견디도록 만들어 줄 수 있다”(1843)고 말한 바 있습니다. *  *  Löwy Micheal, The war of gods: religion and politics in Latin America , London; New York: Verso, 1996, p.5. 마이클은 “동일한 문구를 다양한 맥락...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의 진정한 의미는? 종속변수로서의 종교

※이 글은 얼룩소 글(23.6.1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 누구나 이 말을 들어 본 적이 있을 겁니다. 종교의 폐해를 이야기할 때 종종 인용되는 말입니다.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가 《헤겔 법철학 비판》 Zur Kritik der Hegelschen Rechtsphilosophie 의 〈서문〉에서 한 말입니다(“Die Religion ... ist das Opium des Volkes”). 이 표현의 메시지는 통상 이렇게 이해됩니다.  종교는 대중을 환상으로 중독시키기만 할 뿐 어떠한 실질적인 구원도 이루지 못한다.  아편의 비유는 지배집단과 피지배(노동)집단의 구분 하에서 전자가 후자를 효과적으로 착취하기 위한 허위의식을 갖게 하는 장치로서의 종교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습니다. 그런데 마르크스가 이 말을 한 부분을 앞뒤로 살펴보면, 지금 '아편'이나 '마약'을 떠올리면서 부정적으로만 보는 해석과는 조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마르크스가 종교를 아편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인간에게 불필요한 것으로 단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해당 〈서문〉에서 "인민의 아편"이란 표현이 등장한 문장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상의 불행은 한편으로는 현실의 불행의 표현이자 현실의 불행에 대한 항의이다. 종교는 곤궁한 피조물의 한숨이며 무정한 세계의 감정이고 또 정신을 상실해버린 현실의 정신이다.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 - 칼 마르크스, 〈헤겔 법철학 비판 서문〉, 《헤겔 법철학 비판》, 홍영두 옮김, 서울: 아침, 1988, 187-188쪽. https://awestruckwanderer.wordpress.com/2014/11/27/marx-on-religion-the-opium-of-the-people-from-contribution-to-the-critique-of-hegels-philosophy-of-right/ ...

미신은 스팀팩?!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2월 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은 스팀팩이다?'   스타크래프트의 '스팀팩' 미신적 관념과 행동은 실제 현실의 인과관계가 아니라, 유사와 인접의 관념연합적 원리에 근거한 상상된 인과관계를 이용합니다. 행위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고자 하는 상상된 인과관계를 활용하는 것이 미신 행동의 요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상된 인과관계(헌 이빨 줄게 새 이빨 다오)를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직접적인 변화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 행위자의 심리 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긍정적 생각을 만들어 내는 주요한 방식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통제감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인류학적 관찰 사례로 유명한 것은 말리노프스키가 트로브리안드 섬 사람들의 고기잡이 주술 의식에 관해서 기록한 것입니다.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Map-of-the-Massim-region-showing-the-location-of-Rossel-Island-with-an-inset-showing-the_fig1_324321831 말리노프스키는 트로브리안드 섬 사람들이 “강력한 파도나 태풍, 암초”의 위험요소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배를 만들고, 첫 항해를 하고, 배에서 고기를 잡는 과정 내내 주술적인 의식을 하며, 정말 위험한 순간이 닥쳤을 때도 주술에 의존”하는데 반해서 근해에서 하는 안전한 어로 활동 시에는 주술 의식을 거의 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통제감의 효과 통제감을 갖는 것의 긍정적 효과는 좀 오래된 연구이긴 하지만 주디스 로딘과 엘런 랭어의 연구(1976)*를 들 수 있습니다. 요양원에 있는 노인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뭐든지 원하는 걸 할 수 있다고 안내하며 시설 거주자(노인 자신)의 책임을 강조하였고, 두 번째 그룹은 시설 내 활동의 자유와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