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종교학인 게시물 표시

‘악귀’ 속 민속학자를 보는 종교학자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7.2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드라마 '악귀'에서 주인공과 함께 악귀의 비밀을 찾아다니는 염해상이라는 인물이 민속학과 교수로 등장합니다. 드라마 '악귀', 나무위키 이 때문에 관련 분야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 드라마를 보면서도 이런저런 불만을 쏟아내게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관련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는 ‘민속학자에 대한 오해’를 불러온다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 ‘종교학자’에 대한 오해가 팽배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바로 '다빈치 코드'가 큰 인기를 끌었을 때입니다. '다빈치 코드', 책과 영화 (출처: 위키백과) 물론 '다빈치 코드'가 종교 분야에서 일으킨 관심은 주로 기독교 신학적 문제였기 때문에 '종교학자에 대한 오해'는 '다빈치 코드 논란'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했습니다(구글 등 포털에서 '다빈치 코드 논란'으로 검색해 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종교학자에 대한 오해'는 주인공 로버트 랭던(Robert Langdon) 때문이었습니다. 영화상에서 그는 하버드 대학의 예술사 및 종교 상징학 교수로 나옵니다. 이 시기에 종교학자라고 하면 종교에 감추어진 상징을 능수능란하게 해석할 수 있는 전문가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현실과는 다른 이야기죠(종교적 비의가 '사실'이며, 그 비밀을 풀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하는 연구는 객관적 학문으로 인정받기 어려우니까요). 극 중의 캐릭터가 가진 직업이 꼭 현실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Harvard: No Symbology here," New Yorker 이야기가 재미있고, 현실에서 있음직하다고 여겨지면 우리는 그 이야기를 사실처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로버트 랭던 때문에 '재밌는 종교 상징 해석학'을 하기 위해 종...

교육 혁신 추세 속에서 인문학(종교학) 교육을 고민하며┃"미래의 교육, 올린" 강연을 듣고

서울대는 첨단융합학부를 신설하기 위해서 잰걸음을 걷고 있다. 아직 그 영향이 어떻게 나타날지는 모르지만, 과거 교육 패러다임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문제 의식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이 좋은 결실을 맺기를 바라고 있다. (관련 정치적 배경은 논외로 하고) 우연히 '미래의 교육, 올린'이라는 강연 소식(학내 '전체 메일'로 받음)을 보고, 대학 교육 혁신 바람 속에서 종교학 관련 수업을 어떻게 혁신하면 좋을지 고민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리란 기대로 해당 강연에 참석했다. 교육 혁신에 대한 공감대를 높일 목적으로 기획된 것 같은 일련의 강연들이 진행되었다는데, 내가 인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아마 강연자에 대한 호기심 때문에 눈이 갔던 것 같다. 안내 메일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기초교육원에서 '첨단융합학부 및 학부대학 신설'과 관련하여 특강을 진행합니다. 최근의 화제작인 "미래의 교육, 올린"을 집필하신 LG전자 조봉수 상무님을 모시고, 학생 주도, 경험 중심의 새로운 교육 방식에 대한 특강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내가 주목한 정보는 '첨단융합학부', '특강', '미래의 교육', 'LG전자', '상무'였던 것 같다. 강연장에서 강연 타이틀이 책 제목인 걸, 사업단에 참여하는 후배를 통해서 인지했다. 그리고 '올린'이 혁신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올린 공과대학'(Olin College of Engineering)의 이름이란 것도. 강연 내용은 '공학 교육'에 초점이 맞춰졌고, 산업과 연계된 교육에 적용해 볼 수 있는 혁신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것이었다. 과연 인문학/종교학 수업에 적용할 수 있을까? 그런 질문을 스스로 던지면서 들을 수밖에 없었다. ─── ∞ ─── 현재 LG에서 AI빅데이터 CDO(Chief Digital Officer, 최고 디지털 책임자) 자리에 오기까지 자신의...

종교학 공부인의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 읽기

혼자 책을 읽을라 치면 이런저런 핑계를 대고 미루기 마련이다. '디지털 종교학' 관련 글을 쓰려고 샀다가 책장에 고이 모셔만 놨었는데, 같이 공부하는 세미나팀에서 이번에 읽기로 해서, 묵힌 숙제를 털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이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리적 정보만 보여주는 지도가 아니라 다양한 정보와 결합시킨 지도, 부제가 표시하듯이 '세상을 읽는 데이터'가 덧입혀진 지도를 보여주고 있다. 모든 데이터가 지리적 지도에 표시된 것은 아니었다. 그저 데이터 시각화 사례로 이야기할 수 있는 것들도 있었다. 이 책은 코로나19가 전지구적 전염병으로 떠오르던 시기에 마무리 작업이 이루어졌고, 그 분위기를 머리말에서 느낄 수 있다.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시각화 지도로 시작한다. 머리말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지리정보학) 제임스 체셔(James Cheshire)에 의해서 쓰였다.  서문 은 이 책을 만들게 된 핵심적 아이디어를 참조가 된 메시지와 연구 사례를 통해서 제시한다.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다음 말로 장이 시작된다. 보이지 않는 것 에 관하여 우리는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비교적 확실하게 그 존재를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을 표현하려면 유추하는 수밖에 없다.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만 눈에 보이는 방식으로만. -게르하르트 리히터 MIT 학생 케이티 보먼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블랙홀 촬영,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실험도 보이지 않는 것을 우리 눈으로 확인한 사례로 언급한다.  그렇지만 서문 내용 중에서 가장 중요한 참고 사례는 바로 자연철학자 훔볼트가 시도한 지도 시각화 사례였다. 실제로 그 작업을 구현한 것은 하인리히 베르크하우스였다. 훔볼트는 그에게 "전 세계 식물과 동물의 분포, 강과 바다, 활화산 분포, 자기 편각과 복각, 자기에너지 세기, 바다 조류, 기류, 산맥, 사막과 평원, 인종 분포, 산 고도와 강 길이 등을 표시한 지도"를 만들어 달라고 ...

종교문화 연구에 뇌과학을 어떻게 활용할까? - 2023 서울대 뇌주간 행사에 다녀와서

 뇌 주간 행사가 오랜만에 열려서 참여하게 되었다. 여러 순서 중에서 눈이 갔던 것은 '뇌파의 원리와 활용', '합리적/비합리적 의사결정'이었다. 종교문화 연구에 써먹을 수 있는 내용이 다뤄질 걸로 기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3시부터 참여해야지 하다가 당일날 '내 머리 속의 내비게이션'도 흥미롭겠다 싶어서 시작할 때부터 듣게 되었다. 전체 주제는 '대중강연'에 맞춰서 '일상 속의 필수 뇌기능 지식과 활용법'이었는데, 거기에 초점이 맞추어진 강연은 첫 번째 '뇌에게 자연스러운 학습법'이었다. 이인아 선생님과 이상아 선생님 정도가 중고생들과 학부모를 염두에 두고 강의안을 만든 것 같았다. 특히 이인아 선생님은 '학습'에 포커스가 맞춰졌었다. 이 강연의 하이라이트는 유튜브로 공개되어 있다. # : 블로그에 정리하며 추가한 내용 * : 메모해 놓은 연구 질문들 ① 강연-뇌에게 자연스러운 학습법- 에 대해 메모한 것 '연합 학습 - 같이 활성화된 신경에 의해 정보 전달이 이루어진다' * 이런 정보 처리 특성은 주술적 사고방식과 관련될 걸로 보인다. '일회성 이벤트에 대한 기억은 해마(hippocampus)가 담당하며, 기억은 골자만 저장하고, 인지 지도가 있으며, 상상과 공감을 담당한다. 훈련에 의해서 해마 사이즈가 변할 수 있다. ' ex. 런던 택시 기사 연구 사례. # 아마 이런 연구 사례를 말했던 것 같다. https://www.pnas.org/doi/10.1073/pnas.070039597 '반복적 이벤트, 절차 기억은 기저핵(basal ganglion)이 담당한다.' key point: 반복 숙달이 필요한 정보와 일회적으로 접한 정보 학습을 다른 방식으로 해야 한다. ② 강연-내 머리 속의 내비게이션- 에 대해 메모한 것 해마의 인지 지도에 대한 내용 생존을 위한 길찾기를 해마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해...

성희롱, 문제 제기를 했다

지난 여름 학술대회 이후 뒤풀이 자리에서 성희롱이 있었는데(이에 대해서는 이 글 을 참고), 이에 대한 공식적 사과와 해당 학술단체의 조치를 요구했다. 답변은 상당히 빨리 받을 수 있었다. 1. 개인 발언 문제이므로 해당 개인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게 맞겠다. 2. 추후 공식 석상에서 그와 같은 일이 생긴다면 본 학술단체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 이 답변은 '비공식적 행사에서 벌어진 개인 간의 문제이므로 본 학술단체와 무관한 일이다'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그래서 추가 문제제기를 해 놓은 상태이다. 1. 해당 술자리는 당 학술단체의 학술행사의 부대행사인데, 당 학술단체와 무관한 개인 간의 일로 어떻게 볼 수 있는 것인지 납득 가능한 설명을 부탁한다. 2. 재차 성희롱 가해자의 공식 사과(당 학술단체의 공식 행사에서의 사과)와 당 학술단체의 징계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공표해 주길 부탁한다. 결론은 이미 나 있는 것 같지만, 할 수 있는 한 문제 제기를 해 볼 생각이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일반적인 해결방식을 따를 것인지, 어떤 자정능력을 보여줄 것인지... 어쨌든 가만히 있으면 바뀌는 게 없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