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징크스, 미신은 과학적으로도 효과가 있다 (일부 제한 요소가 있지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2월 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 스포츠 선수들의 징크스

스포츠 선수들의 징크스도 미신의 일종으로 많이 이야기합니다. ‘징크스’(jinx)는 사전적인 의미로 ‘불운을 가져오는 사람이나 사물’ 혹은 ‘불운을 가져오다’라고 합니다. 20세기 미국 야구에서 쓰인 속어가 일상어로 정착된 말입니다. 그 모어가 되는 말 jynx는 부적이나 주문을 뜻하는 말이었다고 합니다. (참고: "jinx," Online Etymology Dictionary)

우리가 일상적으로 이 말을 ‘불운을 피하기 위해서’ 혹은 ‘좋은 운을 얻기 위해서 하는 행동이나 소지하는 물건’을 뜻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징크스 행동이나 물건과 그것으로 기대되는 결과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없지만, 사람들은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징크스 행동을 하거나 징크스 물건을 착용합니다.

이 부문에 늘 회자되는 수퍼 스타가 있습니다. 테니스 선수 라파엘 나달과 은퇴한 NBA 농구 선수 마이클 조던입니다.


https://www.facebook.com/NBAonESPN/photos와 https://www.sportsbettingdime.com에서
 
조던의 경우 1982년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신입생으로 NCAA(전미 대학 체육협회)의 전국 토너먼트 대회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끈 후 당시 유니폼 반바지를 행운의 상징으로 여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NBA 선수가 되어서도 그 대학팀 유니폼 반바지를 안에 입고 겉에는 NBA팀(시카고 불스)의 더 긴 반바지를 입고 경기를 뛰었다고 합니다. 그 덕분에 NBA에서 무릎까지 내려오는 긴 반바지 스타일이 유행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NBA 선수 중에서 징크스 행동으로 더 주목할 만한 사례는 레이 알렌W. Ray Allen인데, 우리—농알못—에게는 낯선 인물이니 패스하겠습니다)

  • 나달의 미신 행동

라파엘 나달은 징크스 행동의 종합 백화점 같은 선수입니다. 코트에 들어설 때 오른 발부터 내딛고, 코트의 라인은 밟지 않으며, 서브를 넣기 전에는 몸에 붙은 바지를 엉덩이부터 떼고 그 손으로 코를 만지고 왼쪽 귀 위로 머리카락을 넘기고 다시 코를 만지고 오른쪽 귀로 머리카락을 넘깁니다. 쉬는 시간 벤치에 앉아서는 물이나 음료를 특정한 방향으로 라벨이 위치하도록 가지런히 놓습니다. 유튜브에서 ‘nadal superstition’으로 검색해 보시면 많은 영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Rafael Nadal's Wimbledon superstitions..." 기사(https://www.dailymail.co.uk)에서

워낙 유명하다보니 관련 질문도 많이 받았을 텐데요. 그는 자신의 자서전에 이에 대해서 이런 의견을 밝혔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미신이라고 부르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미신이라면 왜 이기든 지든 똑같은 일을 반복하겠습니까? 그것은 내가 내 머릿속에서 찾는 경기의 질서와 일치하도록 내 주변을 정돈하면서 나 자신을 경기에 자리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경기에 참여하는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규정해서 플레이의 퍼포먼스를 증가시키는 의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나달은 아마 그렇게 말하고 싶었을 겁니다. 그런데 그런 것을 ‘주술적 의식/의례’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고, 그러한 사고방식을 미신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중립적인 의미에서 '생의 위기 상황—나달에겐 경기—에서 위기 극복을 바라며 관념연합(비슷한 것, 인접한 것)의 상상력을 동원해서 떠올리는 관념과 실천'이라고 한 바에 비추어 볼 때, 특히 그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참고: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누구나 이런 미신적 관념과 실천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전에 다뤘습니다(미신을 떠올리는 마음(뇌)을 생각해 본다면?). 그런 발상을 어쨌든지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이라고 판단하게 되는 것은 원하는 결과와 미신적 행동이 관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소원을 빈다고 원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니 말입니다.

  • 미신의 효과는 어떻게 측정할까

그런데 과연 아무런 효과도 없는데, 사람들이 미신적 행동을 계속해 왔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직접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진 않지만, 뭔가 좋은 점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러한 행동방식을 지속하고 있는 게 아닌지 생각해 볼 수 있을 겁니다.

마음가짐이 달라지면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는 건 우리가 일상에서 종종 확인하는 일입니다. 최근에 일본 애니메이션 「슬램덩크」가 흥행하고 있습니다. 이 만화에서 주옥 같은 대사로 회자되는 게 ‘단념하면 바로 그때 시합은 끝나는 거야’, ‘포기하면 그 순간이 바로 시합 종료예요.’입니다.

만화책 《슬램덩크》에서

내셔널지오그래픽 채널의 ‘브레인 게임’이라는 프로그램에서 긍정적 사고의 힘에 관한 흥미로운 실험을 보여준 적이 있습니다. (동영상 보기: https://www.facebook.com/watch/?v=1030564806975007)


브레인 게임4 에피소드 13 '긍정적 생각'편 캡쳐 이미지(숫자는 따로 삽입함)

해당 영상에서는 ‘자유투 10번 시도 중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던 사람이 긍정적인 피드백만으로 실력이 늘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전에는 한 골도 넣지 못했던 사람이 긍정적 피드백을 받고 10번 중 4번을 성공시킨다는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물론 엄밀한 실험이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다분히 연출된 장면으로 보이지요.

이 실험은 직접적으로 미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관련시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위 사례에서 주변 사람들의 환호와 박수가 슛을 던지는 사람이 긍정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미신 관념이나 행동의 경우는 그런 생각을 떠올리며 특정한 인과관계를 위해 어떤 행위를 했을 때, 그 행위자가 그런 관념과 행동 덕분에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될 거야’라는 긍정적 사고를 하게 해 줍니다.

주로 피험자의 소망에 따라 불가능한 인과관계를 떠올리는 경우 특정 활동의 퍼포먼스가 그런 관념을 떠올리지않거나 실천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미신의 효과(마음먹기의 효과)를 가늠합니다.

다음에 이어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