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임사체험인 게시물 표시

영혼은 '존재'하는가? 실재성과 존재 감각은 다르다.

※이 글은 얼룩소 글(23.7.9)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세 줄 요약 영혼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접근은 그 물리적 실재성을 검증하는 게 아니다(ex. '21그램 실험'). 영혼이 있다고 느끼게 되는 인지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영혼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법이다. 현대의 과학적 임사체험 연구는 죽음에 임박한 상태 혹은 친밀감이 높은 대상의 죽음을 경험할 때 사람들에게 폭발적인 뇌 활동이 나타나면서 죽은 자나 죽은 자들의 세계를 현실감 있게 느끼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귀신, 유령, 더 나아가 신적 존재가 사람들에게 '현실감' 있게 느껴질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런 영적 존재가 정말 있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이 테마는 유물론자이자 무신론자인 과학자들의 '훌륭한 먹이감'이 되어 왔습니다. 과학적으로 그런 건 존재하지 않아.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믿음은 거짓이야. 그런 걸 믿는 사람들은 허약한 사람들이거나 무지한 사람들이다. 그런데 과학적인 설명에 이런 것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패한 예이지만 '영혼의 무게가 21g이다'라는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21g 실험'으로 불리는 이 실험은 고작 6명의 사람으로 이루어졌고, 이런저런 이유로 측정한 사람 1명의 무게만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대조군으로 15마리의 개(독살로 추정)를 측정해서 무게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했습니다(1907). 이미지 출처: Wikipedia & News Text Area 이 실험이 나오자마자 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1907년 의사 오거스터스 클라크(Augustus P. Clarke)는 사망 시 폐가 더 이상 혈액을 식히지 않기 때문에 체온이 갑자기 상승하여 땀을 흘리게 된다. 이 수분 손실이 21g을 설명할 수 있으며, 개는 땀샘이 없기 때문에 인간과 같은 사후 체중 감소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클라크의...

'종교'라는 개념이 인간의 종교문화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데 걸림돌인 이유

 ※이 글은 얼룩소 글(23.3.11)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가 물리적 실체가 아니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문화·제도적 실체로서 물질적 형태로 확인되는 것들, 경전, 신전, 상징물 등이 있습니다. 그래서 종교라는 것이 사람들이 상상해서 만든 문화적 관념을 다수가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뭔가 실체가 있다'고 여겨진다는 점을 놓치게 됩니다. 유발 하라리는 이를 멋들어지게 '상호주관적 실재(inter-subjective reality)'라는 말로 표현했습니다. https://www.andyhinesight.com/the-future-and-reality/ 종교라는 대상은 우리가 그 존재를 동의하기 때문에 실재성을 얻는 그런 개념입니다. 물론 그런 개념을 낳은 '물질적 현상', 객관적 실재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걸 포착하기 위해서는 어쨌든 이 개념의 한계를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어 religion이든 번역된 말 '종교(宗敎)'든지, 어떤 자연적 현상을 지칭하지 않고, 사람들이 모여서 벌이는 행위나 공유하거나 퍼져있는 관념을 일컬어 그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문화적 편견의 산물이라고 거칠게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종교', religion, 그 어원으로 여겨지는 라틴어 religio의 의미 변화 과정만 살펴보아도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 흥미로운 부분은 그런 개념의 초기 버전을 찾아가면, 만국 공통의 종교적 관념과 행동 방식을 만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말은 무언가 인간에게 좋지 않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초자연적 존재의 힘을 빌리는 모종의 행위를 일컫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감각, 인식에서 하나의 물질적 현상[생리-화학적, 진화생물학적 기제]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한자문화권의 맥락에서 그것은 '교(敎)'라기보다는 '예(禮)'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