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얼룩소 글(23.5.18)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4월에서 6월은 많은 사회적 죽음을 생각하는 시기입니다. 출처: https://m.segye.com/view/20200915514522 사회적 죽음을 다루는 사회적/종교적 의례에 추모제나 위령제라는 말이 붙습니다. 추모제와 위령제는 죽은 사람들을 위한 의례라는 점에서 큰 차이가 없는 개념입니다. 추모제는 '기억'과 '기념'에 초점이 맞춰진 이름이라면, 위령제는 '죽은 자를 위로한다'는 의미가 두드러지는 이름입니다. 그런데 이 강조점의 차이는 의례의 목적 상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추모제와 위령제는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만... 담양군 가마골 위령제 (출처: http://jnnews.co.kr/m/view.php?idx=8357) 아산시 추모 위령제 (출처: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111291344431840393) 명백하게 다르게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학살된 개들을 위한 위령제 (출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40817355076689) 실험동물 위령제 (출처: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26218) 동물 대상으로는 '추모제'라는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일견 당연합니다. 기억과 기념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위령제는 사람, 동물 가리지 않고 쓸 수 있습니다. 그 죽은 영혼을 위로하고 좋은 곳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의식을 지칭하기 때문입니다. 추모제와 위령제의 약간의 차이 추모제는 주로 사회적으로 기억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죽은 자를 위한 의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억의 목적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를 들자면, 먼저 순국선열을 위한 추모제입니다. 그들의 숭고한 희생이 살아 남은 자들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러한 ...
읽고 연구하며 바보스럽게 종교적 인간을 탐구하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