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신화인 게시물 표시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역사와 신화의 비식별역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이 타이틀로 글을 냈었다. 2016년에. 필자의 2016년 논문 이 글은 박사학위 논문에서 다룬 사례들을 활용해서, " 승자의 역사와 신화적 역사 "의 논의를 확장해서 완성한 것이었다. 이 글에서 나는 '신화'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신화'라는 게 '종교' 개념과 마찬가지로 역사-문화적 특수성을 지닌 것으로 사람들이 가진 어떤 일반성을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신화 개념은 그리스-로마 신화를 전범으로 하는 인간화된 신들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사실 그리스-로마 신화만 하더라도 그냥 '신들의 이야기'로 포괄할 수 없다.  도시 건설 이야기, 영웅의 성장 이야기 등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그 개념을 다른 문화권의 신비한 이야기에 적용할 때, 신화 개념 적용의 타당성을 묻게 된다. 그래서 그리스-로마 신화가 '제대로 된 신화'이고 나머지 지역의 신화라고 불리는 것들은 아류라는 식의 평가를 내리기 마련이다. '한국 신화', 이 말은 '한국의 신화'를 말하는 것인데, 여기에 들어간다고 여겨지는 이야기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제왕운기》 《동국이상국집》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규원사화》  등의 기록물 속 이야기, 민간전승, 무가 전승 등을 '민간 신화', '무속 신화' 등으로 부르는 이야기가 있다. 이런 구분은 기록 형태에 따른 구분이고, 내용상 우주창생신화, 영웅신화, 문명기원신화, 건국신화 등등으로 분류된다(두백, ' 한국신화 '). 지금이야 이런 분류학이 정리되어 있지만 '신화' 개념이 우리에게 낯설던 개항기에는 우리에게 신화는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서서히 우리 안에서 신화를 발견하게...

《홍길동전》은 '최초의 한글 소설'이 아니나..

※이 글은 얼룩소 글(23.7.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거나 우리가 알고 있는 그 '홍길동전 이야기'(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를 허균이 지었다는 이야기는 한국 사회에서는 문화적 상식에 가깝습니다. TV 방송에서 그런 정보를 접하기도 쉽습니다. 2018년 '어쩌다 어른' 한글날 특집 방송의 한 장면 그런데 국문학계에서 이 문제는 꽤 오래전부터 다뤄져 왔고, 결론은 지금 우리가 아는 그 '홍길동 이야기'는 허균이 지은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전혀 관계가 없다고 보는 것도 아닙니다만). 이는 꽤 명확하게 확인됩니다. 그런데도 한국 사회에서 이 문제는 좀처럼 고쳐지지 않습니다. 언론에 보도되어 누구나 알게 된다거나 다큐나 교육 예능에 그런 정보가 잘 소개되지는 않기 때문이겠지요. 그런 '확인 작업'은 사실 이야기로서 재밌지는 않을 테니까 말입니다. 이런 식으로 '잘못된 정보'가 사실적 정보가 되는 예는 인간사에서 상당히 많습니다. 그걸 '신화'와 연결짓기도 합니다만, 신화는 어떤 초자연적 현상을 담은 기이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라기보다는 '가상의 이야기'로 이해되기 쉬운 것이었습니다( '그리스 신화'를 그리스 사람들이 정말 믿었을까라는 의문을 다룬 책 도 있습니다). 근래 주목되는 '가짜 뉴스'가 그런 예로 더 적합해 보입니다. 가짜 뉴스는 통상 적대적 정치 세력에 치명적인 정보나 지지 정치 세력에 유리한 정보입니다. 훨씬 자극적인 정보이고, 확증 편향된 정보이기 때문에 드라이한 사실 정보보다도 훨씬 빨리 멀리까지 퍼지고, 고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사1 , 기사2 ). '틀린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그렇게 자극적이지도 재밌지도 않고, 피곤한 일인 경우가 많으니까요(왜 '팩트 체크...

신화가 사회적 위로를 만들어 내는 방식┃〈스즈메의 문단속〉에 대한 종교학자의 감상

※이 글은 얼룩소 글(23.4.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다녀 오겠습니다' 장면, 출처: https://images.app.goo.gl/9RJ83DqjU7A6h24h9 이 애니메이션에 본래 흥미는 없었습니다. 영화에 대한 사전 지식도 전무한 상태에서 ‘문단속’이라는 표현이 눈에 띄다 보니 영화에 대한 연상이 특정한 쪽으로 쏠렸습니다. 일상적 느낌이 강한 표현이다 보니 일상물이라 지레짐작했거든요. 주변 사람들이 너나 없이 본다기에 분위기에 휩쓸려 보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백지상태로 극장에서 이 영화의 스토리와 온전히 만나게 되었습니다.  보면서 종교학 공부인으로서 무척 감동을 받았습니다. 위로의 언어는 일본인들에게 향하는 것이었습니다만, 그것이 일본 신화로 만들어져 있었기 때문이고, 그 이야기가 근사하게 오늘날의 일본인들에게 울림을 줄 것이라는 게 선명하게 그려졌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서 종교나 신화의 기능을 새삼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재난을 설명하던 신화와 전설 지진을 어떤 초자연적 존재의 의도적 행위의 결과로 상상할 수 있을까요? 지금에 와서는 그런 신화적 설명이 통하지 않습니다. 지구 내부 물질의 움직임과 지각의 이동으로 지진을 이해할 수 있는 시대니까 말이죠. 그런 지질학적 이론이 등장하기 전에 사람들은 왜 지진이 벌어지는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이유를 모르는 자연 현상’을 겪으면서도 나름의 이유를 찾아냈습니다.  땅 속에는 커다란 메기가 사는데, 그것이 꿈틀 움직이면 땅 위에서 지진이 벌어진다.   에도 시대 일본인들이 지진을 다스리는 주술적 의례를 수행하면서 이러한 관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하죠(18세기 이전에 이런 메기 신화가 일본에 없었다고 합니다. 참고: Namazu ). 그 기록을 ‘나마즈에(鯰絵, なまずえ)’를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 다케미카즈치신이 카나메이시로 나마즈(메기)를 눌러 지진을 막는 그림, 에도, 1855. 출처: https...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기억의 오귀인(misattribution) 현상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3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이 말은 통상 괴테가 한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중에서 누가 한 말인지 적지 않은 경우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책 제목으로도 많이 회자된 표현입니다. 어쨌든.. 괴테가 한 말이 아닙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는 누가 한 말인가?│오귀인 사례 (4) ")을 참고하시고요. 출처를 찾아보면, 리처드 L. 에반스라는 라디오 아나운서이자 작가(우리에게 몰몬교로 알려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십이사도 정회원이기도 했음)의 책-- Faith in the future (1963)--에서 'Direction is more important than speed.'라는 표현으로 등장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Life is a Matter of Direction, Not Speed.'는 콩글리시 버전이고요). 에반스가 처음 이 표현을 사용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만, 이 표현의 유행이 시작된 시기에 찾아 볼 수 있는 명확한 출처로 그의 책을 찾을 수 있다는 건 명확한 사실입니다. 심리학 분야에서 출처를 잘못 대는 기억의 오류를 기억의 오귀인(misattribution of memory), 그 중에서도 '출처 혼동(source confusion)'이라고 합니다. 명언 사례에서 풍부하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만, 명언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사진, 책, 디자인 등 사람들이 기억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해서 이런 현상들이 벌어집니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오류'로 취급하지만, 사람들의 기억 메커니즘이 가진 특성으로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인간의 종교적 관념이나 행동(크게 말해서 '종교 문화')에 ...

믿는 진실은 사실일까 아닐까 │ 김어준을 언론인이라 못할 이유가 있을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10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뜬금없이 뇌과학 이야기부터 해 보겠습니다. TED 강연 중 " Your brain hallucinates your conscious reality "(당신의 뇌가 당신의 의식적 현실을 환각으로 만들어 낸다)라는 게 있습니다. 애닐 세스(Anil Seth)라는 신경과학자가 인간의 '현실 인식'이 가진 '시뮬레이션'으로서의 특성을 이야기하는 강연입니다. 핵심 메시지는 이것입니다. Anil Seth의 TED 강연의 한 장면 우리가 환각에 대해 동의할 때 우리는 그것을 현실이라고 부릅니다. 신경과학자가 이런 이야기를 하니 무척 신기했습니다. 종교라는 '내로남불 체계'가 딱 이런 특성을 가지고 있거든요. 남의 종교는 거짓이고 우리의 종교는 진리라 여기는 발상 잘 아실 겁니다. 정치와 미디어(+언론)의 문제는 사실과 거짓의 싸움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지록위마'의 고사를 떠올리지 않더라도 힘 있는 사람들이 '현실'을 결정할 힘을 가지고 있다고 말이죠. 한국 사회의 지배계급만 그런 것도 아닙니다. 국제 질서 상에서 '사실'은 언제나 '전략적 사실'(남을 해롭게 하고 나를 이롭게 하는 서사가 가미된 사실)-강대국의 이익이 고려된 사실입니다. 종교학이나 신화학을 배우면서 이런 문제를 많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신화나 종교 같은 것은 내부자의 시선에서는 한 없이 아름다운 세계관입니다. 그러나 외부자에게 가해지는 폭력을 정당화하는 힘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무엇 하나를 과장해서 진정한 종교/신화는 무엇이다,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들은 그러한 삶을 살지 않지요. 우리는 진리나 사실의 소유자가 아니라 그걸 이용해서 살아가야 하는 롤 플레이어에 가깝습니다. 거짓은 나쁘다, 사람들을 미혹시킨다, 현대 사회에서 미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