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지름신인 게시물 표시

온라인에서 '신'은 어떤 기능을 할까: 신조어 속 신 개념 이야기

 ※이 글은 얼룩소 글(23.3.18)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 개념의 일상어화 종교의 언어가 일상의 언어가 되는 사례는 예부터 적지 않았습니다. 가령 유교의 주요한 개념들은 우리가 일상어에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일일이 열거하기에 한이 없을 정도입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기운’, ‘음기’, ‘예의’, ‘윤리’, ‘의리’, ‘사양(辭讓)’, ‘인간’, ‘천하’, ‘신주단지’ 등입니다. '순리에 따라라.' '오늘 왜 이렇게 기운이 없지?' '객기 부리지 마.' '예의 좀 챙기세요.' '너는 의리가 있어.' '뭘 그리 신주단지 여기듯 하니?' 이런 말들은 이미 유교적 맥락을 떠나서 우리의 일상어가 되었습니다. 한편 불교도 한국에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교 용어가 일상어가 된 사례들도 많습니다. 가령 ‘건달’, ‘야단법석’, ‘이판사판’ 같은 말입니다. 물론 불교적 의미는 많이 사라졌습니다. '건달'은 '간다르바gandharva'라는 산스크리트어에서 '건달바(乾闥婆)' 등으로 음차된 말입니다. 애초 "긴나라(緊那羅)와 함께 제석천(帝釋天)을 모시면서 음악을 담당하는 천신(天神)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그 외의 불교적 의미에 대해서는 이 글 을 참고), 지금은 "하는 일 없이 빌빌거리며 노는 사내나 난봉이나 부리고 다니는 불량한 사람 혹은 폭력을 휘두르며 남을 괴롭히는 사람"이란 의미로 사용됩니다. ‘야단법석’ 같은 경우 애초 의미는 법당 밖에서 큰 규모로 이루어지는 법회를 위해 마련한 야외 법단을 일컫는 말인데, 일상어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떠들썩하고 어수선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의미 변형은 조선조 유가의 편견어린 왜곡이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박재양, 「일상어 속의 불교 유래어 연구」, 『어원연구』 3 (2000),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