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구형찬인 게시물 표시

'종교의 기원',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포럼에 다녀와서

어제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포럼에 다녀왔다. 구형찬 박사님의 '종교의 기원'이란 주제의 강연이 이루어졌다. 나는 지정질문자로 참여 했다. <휴먼 디자인>의 5장 "종교: 종교는 왜, 그리고 어떻게 진화했는가"의 내용을 1시간 반에 걸쳐서 설명하는 내용이었다. 어떤 면에서는 '인지종교학 입문' 강연이기도 했다. 흥미로운 구성과 연출, 퍼포먼스가 돋보이는 강연이었다. 자연주의적 관점의 종교 이해가 어떻게 가능한지, 그랬을 때 어떤 문제들이 설명되는지, 간단하면서도 요점을 잘 정리해서 보여주셨던 것 같다. '종교의 기원'을 내세웠지만, 인간의 종교적 행동/관념에 대한 진화인지적 관점의 설명이었기 때문에 이를 보충하는 의미에서 '종교적 행동의 기원'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었다. 나의 질문은 '고인류의 매장 흔적'이 가장 오래된 인간의 종교적 행동의 증거일 것 같은데, 그런 것을 감안한 종교적 행동의 기원에 대한 나름의 시나리오가 있다면 이야기해 달라는 것이었다. 호모 날레디는 과연 매장을 했는가로 요즘 논란이 뜨거운데(중론은 매장은 아니라는 쪽인 것 같다), 호모 사피엔스 사례로는 7만8천년 전, 네안데르탈인은 12만년 전 사례가 가장 오래된 것이다. 물증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인간의 종교적 행동은 장례 행동인데, 그것은 현생 인류에게만 나타나는 게 아니라는 건 명백해 보인다. 연계된 문제는 동물의 어떤 행동들을 의례적/종교적 행동으로 볼 수 있느냐, 볼 수 있다면 '인간의 종교적 행동의 기원'과 관련해서 시사하는 바가 무엇이냐는 것이 될 것 같다. 관련 사례를 다루는 책들도 있는 것 같다. 해당 동물행동학 연구를 '동물 행동에 대한 의인주의적 해석'이라고 쉽게 단정해서 무시할 게 아니라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을 요즘 하고 있다. 답변이 길어지고('시신 처리 행동을 모두 종교적 행동이라고 볼 수 있을까?'라는

최근 논문(1883-1910 한국 종교 용례 특이성)에 대한 윤조철 박사의 논평에 대해

오늘 최근 낸 논문(초기 종교 용례 연구)에 대해 윤조철 박사님의 질정을 받았다. 1. '근대적 종교 개념'이 무엇인지 설명될 필요가 있다 당연히 알겠지 싶어서 신경 쓰지 못한 부분이었다. 교정이 진행될 때 나도 파악한 문제였지만 후속작에서 수습하기로 생각했다. 근대적 종교 개념의 중요한 특징은 '정교 분리', '사적 믿음', '배타적 신앙'(종교는 '갖는다'고 표현하며 특정 단체에 소속되는 기준으로 판단하는 시각) 같은 것이라 생각한다. 일제가 통감부 시절부터 '포교 규칙'을 수립하여 '종교 단체'를 규정하고 공권력의 영향을 항시 받게 만들면서 그 이전의 '교의 경험'과는 다른 토대를 만들었다. 그 근대적 특성을 내면화 하기까지는 제도의 도입 이후 시간이 좀 더 필요했던 것 같다. 2.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사용된 '국교'가 지금 우리가 이해하는 state religion과는 차이가 있는데 혼란스럽게 쓰였다 이에 대해서는 심사자의 지적도 있었다. 주3으로 갈음하긴 하였다. 이 글에서 쓰이는 '국교'는 state religion으로 이해하면 오해라고. 3. '세계대세론'의 발행 상황에 대한 언급이 없다 방원일 박사님의 논문(2021, "한국 개신교계의 종교 개념 수용 과정")을 참고하면 되겠거니 안일하게 생각해서 빠뜨린 것 같다. 중요한 정보를 잘 인용하지 못한 나의 불찰이다. 방원일, 2021: 10. 4. '언문일치'의 측면에서 용례 빈도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는 여지도 있다 「我が国の宗教」, 「我国之宗教」의 차이를 말씀해 주셨다. 한자로는 '교', '도'가 그러나 국문으로 넘어가면 한자식 낱글자 의미로는 부족해지는 감이 없지 않다. 그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히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제법 흥미로운 문제 제기라는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