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방언인 게시물 표시

종교와 환각제(+마약), 그리고 마음의 비밀

※이 글은 얼룩소 글(23.6.27)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와 환각제의 관계는 그 비유적 의미('종교는 민중의 아편')에서 '중독'과 해악에 초점을 맞추게 합니다. 종교인들이 맹목적인 신앙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다고 판단될 때, '종교의 중독적 성격'이 주목되곤 합니다(" 종교가 아편이 될 때 "). '종교 중독(religious addiction)'이라는 표현은 개신교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 경우 '종교 중독'은 '해로운 신앙 생활'로 간주되며, 대체로 이단적인 신앙에 빠지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종교중독, 신앙의 열심으로 포장된 보이지 않는 질병 ", " 유사종교 중독과 영지주의 ", " 사이비 종교 세뇌, 마약중독 같아 "). 그런데 종교와 환각제는 실질적 차원에서도 밀접한 관계를 지녀왔습니다. 종교 의식에 환각제가 쓰이는 경우가 있었고, 환각제 경험을 통해서 종교적 체험을 떠올리기도 했습니다.      도박, 알콜, 컴퓨터, 약물 중독이 보통 중독의 대상으로 이야기된다. 출처: 헬스 경향,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2453 종교 활동과 환각제의 밀접한 관계 '종교적 체험'은 보통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체험과 분리된 것으로 이해됩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이러한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우리가 합리적인 의식 상태라고 부르는 정상적인 각성 상태의 의식은, 아주 얇은 막에 의해 의식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단지 하나의 특별한 의식 상태일 뿐이다. 반면에 거기에는 잠재적 형태의 의식상태가 전혀 다른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 그것들은 일상적 의식 상태와 단절되어 있기 때문이다.  - 《종교적 체험의 다양성》(한길사, 1999), 470쪽. 윌리엄 제임...

기독교 방언과 빙의는 유사하다

※이 글은 얼룩소 글(23.4.10)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우리말 '방언(方言)'은 '사투리'(dialect)라는 의미와 '신적 존재의 영향에 의해 하게 되는 인간이 알아들을 수 없는 말'(glossolalia)이라는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기독교에서 통상 '성령이 함께하는 상태에서 하게 되는 말'로 이해됩니다. 과거 그림에는 후광이나 머리 위의 하얀 불꽃처럼 표현하곤 했습니다. Gustave Doré(1832-1883)'s "The Descent of the Spirit", https://ayomideakinbode.medium.com/speaking-the-tongues-of-angels-and-men-a-conundrumsconundra-of-the-21st-century-church-696ecd22f930 우리말 '성령'으로 번역되는 'holy spirit'은 'spirit' 중에서 좀 '다른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절대신과 관련된 영입니다. 기독교(가톨릭, 개신교, 정교회 등)의 교리에는 '성령'은 '성부'(하느님), '성자'(예수)와 동일하다고 규정합니다(삼위일체)만, spirit이라고 한 바로 보면 어떤 '영적 존재'를 떠올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통상 '귀신'이라거나 '유령'이라고 부르는 것들도 다 spirit의 범주에 들어갑니다. 성령은 그 중에서도 절대신에 속한 것이라는 '예외적 감각'이 담겨있습니다. 그렇지만 반대로 우리가 귀신이나 유령을 떠올리는 감각(인식)을 성령이란 존재를 떠올릴 때도 활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빙의의 징후 방언으로 말하는 사람은 사람에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말하는 것입니다. 아무도 그것을 알아듣지 못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