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너 자신을 알라'는 델포이 신전의 어디에 새겨져 있었을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5.7)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ΓΝΩΘΙ ΣEΑΥΤΟΝ'[gnōthi seauton/그노시 세아우톤]이란 글귀는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에서 정확이 어디에 새겨져 있었을까요? 델포이 신전 입구의 기둥에 새겨져 있었다고 하거나 그냥 입구에 새겨졌다고 하는데, 정확히 어느 위치를 말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현재 해당 유적이 거의 무너져 있으니 확인할 수가 없어서 그렇겠지요.
https://www.tripsavvy.com/temple-of-apollo-delphi-complete-guide-4172549

신전 전면의 페디먼트(pediment)나 프리즈(frieze)에 쓰여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만, 옛 사람들은 다른 곳을 말했습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기원전 1세기)는 신전 입구 쪽의 기둥(column)이라고 하고, 또 파우사니아스(110-180)는 프로나오스(pronaos)에 쓰였다고 했으며, 마크로비우스는 입구문의 문설주에 쓰였다고 봤습니다.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의 고대 주석자는 신전의 입구(propylaea)에 새겨져 있다고 기록했습니다.

기둥(column)은 유적으로도 많이 봤기 때문에 무엇인지 알 수 있고 문설주도 알 수 있습니다만, 나머지는 그리스 신전 건축 양식을 알아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 건축 양식 (출처: https://www.khanacademy.org/humanities/ancient-art-civilizations/greek-art/beginners-guide-greece/a/greek-architectural-orders)
페디먼트는 전면의 지붕을 지탱하는 삼각면 박공(gable)을 말합니다. 위 그림에서 이오니아식(Ionic order)의 맨 위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https://study.com/learn/lesson/what-is-a-pediment-in-architecture.html

프로나오스는 신전 내부로 들어가는 문 앞의 공간을 말합니다.
https://www.glosarioarquitectonico.com/glossary/pronaos/

프로필라리아(propylaea)는 신전 앞의 입구를 말합니다. 우리가 사찰에서 볼 수 있는 일주문 같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Propylaea
프로필레움(propylaeum)은 고대 그리스 건축에서 신성한 울타리의 입구에 있는 현관 또는 문간으로, 일반적으로 실제 문 안팎에 기둥으로 지탱된 현관으로 구성됩니다. 가장 유명한 프로필레움은 므네시클레스가 아테네 아크로폴리스(기원전 437년에 시작)의 대현관으로 설계한 것입니다.

프로필라리아라는 이름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지어진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스타일의 다양한 기념비적인 관문에도 적용되었습니다. 뮌헨의 프로필리엔Propyläen(1862)과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1784)이 대표적입니다. - Propylaeum┃Britannica

이런 곳들 외에 우리가 익숙하게 글귀가 적힌 곳으로 보는 곳은 프리즈(frieze)입니다. 위의 두 번째 그림의 이오니아양식에서 말이 그려진 부분입니다. '너 자신을 알라'의 라틴어 버전(nosce te ipsum)이 프리즈(frieze)에 쓰인 건축물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바로 스페인의 국립 인류학 박물관입니다.
마드리드의 국립 인류학 박물관(museo nacional de antropologia)의 전면 모습, https://anatomiaefisioterapia.com/2019/10/10/conhece-te-a-ti-mesmo/

이 중에 어디에 쓰였을까요?

페디먼트는 통상 그냥 벽으로 되어 있던지, 파르테논 신전처럼 부조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스페인 박물관처럼 프리즈에 쓰는 건 최근 경향인 것 같습니다. 옛날에는 이곳에 글자를 새기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

기록에 따르면 이런 경구들이 6보격(hexameter)*으로 쓰였다고 합니다. 아마 유명한 3개의 격언('너 자신을 알라', '과하게 하지 말 것', '보증은 파멸을 가져온다')이 한 줄에 쓰였다는 것이겠죠.
*보격은 '시행(詩行)의 운율 형태의 하나로 시의 리듬을 생성해 내는 규칙적인 강세의 배열 형식'을 말합니다. cf. 서구시의 기본운율, Hexameter (ex. So rich | and fair | a vale | in for | tuning | to wed.)

신전의 프로필라리아의 기둥 아니면 프로나오스의 벽과 기둥이 가장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델피 신전에는 별도의 프로필라리아가 없는 것으로 보아 그 앞쪽의 구조물을 말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아래 그림 ①).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을 포함한 고고유적지 도면 중 아폴론 신전, https://ko.wikipedia.org/wiki/아폴론_신전

많은 사람들이 이 글귀가 쓰인 곳을 프로나오스(위 그림 ②, 그 안의 벽과 기둥 혹은 문설주)로 보고 있습니다(cf. Maxims from the Delphic Oracle, The Forgotten Delphic Maxim). 이를 아주 간접적으로 뒷받침해 주는 근거가 하나가 있습니다. 이 경구와 함께 쓰였다고 하는 델포이 신전의 상징 'E(엡실론)'입니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경구와 다른 두 경구('과하게 하지 말 것', '보증은 파멸을 가져온다')가 같이 아폴론 신전 입구에 쓰였다고 하는 것도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만, 이와 함께 델포이 신전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E'도 함께 쓰였다는 것도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입니다(저도 관련 자료를 보면서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이 문양을 담고 있는 고대 주화가 알려져 있습니다.
파우스티나 황후 기념 주화와 하드리아누스 황제 기념 주화 속 델포이 신전의 'E', 이미지 출처: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3576039089095158&set=p.3576039089095158&type=3
전면 기둥 사이에 표시된 것으로 볼 때, 당시 델포이의 아폴로 신전에서 3개의 경구와 'E'가 입구 문이 있는 프로나오스에 새겨져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것 같습니다. 아마 문 위던지, 문 양 옆의 기둥이나 벽에 새겨져 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추가 참고자료
Delphic maxims
Propylaia (Acropolis of Athens)
THE E OF THE TEMPLE AT DELPHI
Wilkins, Eliza G. (1929). The Delphic Maxims in Literatur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라는 타이틀의 시리즈물의 마지막 글이다. 이전 글까지 확인하려고 했던 것은 ‘크리스마스’가 동지라는 ‘시간의 마디’에 이루어지는 의례였고, 지금도 그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에 물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간의 마디에서 인간은 왜 의례 행동을 하는가'가 될 것이다. 동지 축제의 주요 요소라고 할 만한 것들이 ‘주술-종교적 목적의 행동’이라는 점을 지난 글(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에서 언급했다. 팥죽과 주술-종교적 위험 회피 우리의 동지 축제 때 관습으로 ‘팥죽 먹기’가 있는데, 그것도 동지 축제에서 많이 보는 주술-종교적 행동이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설명을 보자.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로 팥죽을 쑤어 먹는다는 것이다. 이런 동기는 이 풍습이 관습화되면서 많이 약화되고 새해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한 살을 먹는다’는 의미 정도로 축소되었다. 세계 도처의 ‘동지 축제 풍습’, 또 신년 의례를 보면 시간이 변하는 시점에 귀신이나 악령이 출몰하고 이들로부터 인간이 액, 살과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념이 폭넓게 퍼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한 모종의 행동(의례)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의 ‘경계’만큼이나 공간의 ‘경계’에서도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은 활발히 작동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누석단이다. 영어권에서는 cairn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새로운 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람들은 민감하게 초자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