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허균인 게시물 표시

《홍길동전》은 '최초의 한글 소설'이 아니나..

※이 글은 얼룩소 글(23.7.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거나 우리가 알고 있는 그 '홍길동전 이야기'(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를 허균이 지었다는 이야기는 한국 사회에서는 문화적 상식에 가깝습니다. TV 방송에서 그런 정보를 접하기도 쉽습니다. 2018년 '어쩌다 어른' 한글날 특집 방송의 한 장면 그런데 국문학계에서 이 문제는 꽤 오래전부터 다뤄져 왔고, 결론은 지금 우리가 아는 그 '홍길동 이야기'는 허균이 지은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전혀 관계가 없다고 보는 것도 아닙니다만). 이는 꽤 명확하게 확인됩니다. 그런데도 한국 사회에서 이 문제는 좀처럼 고쳐지지 않습니다. 언론에 보도되어 누구나 알게 된다거나 다큐나 교육 예능에 그런 정보가 잘 소개되지는 않기 때문이겠지요. 그런 '확인 작업'은 사실 이야기로서 재밌지는 않을 테니까 말입니다. 이런 식으로 '잘못된 정보'가 사실적 정보가 되는 예는 인간사에서 상당히 많습니다. 그걸 '신화'와 연결짓기도 합니다만, 신화는 어떤 초자연적 현상을 담은 기이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라기보다는 '가상의 이야기'로 이해되기 쉬운 것이었습니다( '그리스 신화'를 그리스 사람들이 정말 믿었을까라는 의문을 다룬 책 도 있습니다). 근래 주목되는 '가짜 뉴스'가 그런 예로 더 적합해 보입니다. 가짜 뉴스는 통상 적대적 정치 세력에 치명적인 정보나 지지 정치 세력에 유리한 정보입니다. 훨씬 자극적인 정보이고, 확증 편향된 정보이기 때문에 드라이한 사실 정보보다도 훨씬 빨리 멀리까지 퍼지고, 고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사1 , 기사2 ). '틀린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그렇게 자극적이지도 재밌지도 않고, 피곤한 일인 경우가 많으니까요(왜 '팩트 체크...

《홍길동전》을 둘러싼 논란│허균이 지은 게 아니다? 최초의 한글소설이 아니다?

유튜브 알고리즘 덕분에 2018년 한글날 즈음 방영된 정재환 교수의 강연을 보게 되었다. 여기에서 이런 장면을 봤다. 어쩌다 어른 2018년 '한글날 특집 방송'의 한 장면 576돌 한글날을 맞아 '홍길동전'이 다시 호명될 수도 있겠다 싶었다. 그런데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소설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논란이 국문학계에서 꽤 오래전부터 제기되었다. 그런 이야기가 별로 확산되지 않았다는 게 신기할 노릇이다. 아니면 관련 연구가 인기가 없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의적에 대한 조사를 하다가 국문학계의 관련 논의를 접하고 과거 블로그에서 글을 썼던 게 있다. 그것을 조금 수정하여 실어 놓는다. ━━━━━━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홍길동전》 허균 작자설, 아니 설이 아니라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이 이야기는 의외로 근거가 확실하지 않다.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최초의 기록 1674년 간행된 이식의 『택당집』에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이 거의 유일한 근거라고 한다.  『택당선생별집(澤堂先生別集)』15, 「산록(散錄)」 허균은 또 《수호전》을 본떠서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짓기까지 하였[다.] 번역 출처: 한국고전종합DB 이 언급을 하는 맥락을 보면 '위조된 책'이나 '이설의 횡행'을 비판하면서 그 일례로 '수호지'를 언급하고, 그와 유사하게 지어진 '홍길동전'을 이야기한 것이다. 허균이 그런 허무맹랑한 이야기를 좋아하고 '홍길동전' 같은 '이설'을 떠드니 반란 혐의로 사형 당한 것이 어찌 그 응보가 아닐까 하고 말하는 것이다. '홍길동전'이 언급된 그 단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상에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수호전(水滸傳)》을 지은 사람의 집안이 3대(代) 동안 농아(聾啞)가 되어 그 응보(應報)를 받았는데, 그 이유는 도적들이 바로 그 책을 높이 떠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