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의례인 게시물 표시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라는 타이틀의 시리즈물의 마지막 글이다. 이전 글까지 확인하려고 했던 것은 ‘크리스마스’가 동지라는 ‘시간의 마디’에 이루어지는 의례였고, 지금도 그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에 물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간의 마디에서 인간은 왜 의례 행동을 하는가'가 될 것이다. 동지 축제의 주요 요소라고 할 만한 것들이 ‘주술-종교적 목적의 행동’이라는 점을 지난 글(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에서 언급했다. 팥죽과 주술-종교적 위험 회피 우리의 동지 축제 때 관습으로 ‘팥죽 먹기’가 있는데, 그것도 동지 축제에서 많이 보는 주술-종교적 행동이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설명을 보자.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로 팥죽을 쑤어 먹는다는 것이다. 이런 동기는 이 풍습이 관습화되면서 많이 약화되고 새해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한 살을 먹는다’는 의미 정도로 축소되었다. 세계 도처의 ‘동지 축제 풍습’, 또 신년 의례를 보면 시간이 변하는 시점에 귀신이나 악령이 출몰하고 이들로부터 인간이 액, 살과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념이 폭넓게 퍼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한 모종의 행동(의례)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의 ‘경계’만큼이나 공간의 ‘경계’에서도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은 활발히 작동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누석단이다. 영어권에서는 cairn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새로운 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람들은 민감하게 초자연적

과도한 혹은 쓸데없는 비용이 드는 의례는 왜 지속될까

현대 소비문화에 최적화 된 기념일은 '인간의 의례 본능'과 '의례 행동의 의의에 대한 추론' 사이의 갈등을 노정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물질(빼빼로나 초콜릿)을 소비하는 것만으로 특별한 관계(주로 연인)를 생각하는 마음을 표현한다는 건 어딘지 '가벼운' 느낌이 없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이 기념일은 아직 인기를 잃지 않고 있습니다. 기념일 챙기기는 특별한 계기에 의례를 요청하는 인간의 행동 방식과 연관되기 때문에 인간사에서 늘 있었던 모습이고, 앞으로도 사라지지 않을 모습입니다. 그리고 그런 의례 행동의 의의에 대한 의심도 같이 나타납니다. 비용이 많이 드는 허례허식에 대한 비판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늘 인간사에 있었습니다. 상업주의에 물든 기념일을 비판적으로 생각해 볼 때, 인간사에서 늘 반복되는 이 길항작용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의례 본능? 인지 인류학자(anthropologist and cognitive scientist) 디미트리스 지갈라타스(Dimitris Xygalatas)는 최근 자신의 책 Ritual: How Seemingly Senseless Acts Make Life Worth Living(의례: 무의미해 보이는 행동이 삶을 가치있게 만드는 방법─아직 번역서는 나오지 않았습니다)에서 의례 행동이 동물의 진화된 본성과 관련이 되어 있다는 점을 역설하였습니다. https://www.amazon.com/Ritual-Seemingly-Senseless-Worth-Living/dp/0316462403 동물도 그런 행동을 하고 있으며, 인간도 마찬가지로 어떤 계기에 사회적 관계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의례 행동을 하고 있다고 말입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 가설이 '고비용 신호 가설'(혹은 '값비싼 신호 이론'costly signaling theory)입니다. 포식자 위험 회피와 짝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