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예외상태인 게시물 표시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역사와 신화의 비식별역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이 타이틀로 글을 냈었다. 2016년에. 필자의 2016년 논문 이 글은 박사학위 논문에서 다룬 사례들을 활용해서, " 승자의 역사와 신화적 역사 "의 논의를 확장해서 완성한 것이었다. 이 글에서 나는 '신화'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신화'라는 게 '종교' 개념과 마찬가지로 역사-문화적 특수성을 지닌 것으로 사람들이 가진 어떤 일반성을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신화 개념은 그리스-로마 신화를 전범으로 하는 인간화된 신들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사실 그리스-로마 신화만 하더라도 그냥 '신들의 이야기'로 포괄할 수 없다.  도시 건설 이야기, 영웅의 성장 이야기 등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그 개념을 다른 문화권의 신비한 이야기에 적용할 때, 신화 개념 적용의 타당성을 묻게 된다. 그래서 그리스-로마 신화가 '제대로 된 신화'이고 나머지 지역의 신화라고 불리는 것들은 아류라는 식의 평가를 내리기 마련이다. '한국 신화', 이 말은 '한국의 신화'를 말하는 것인데, 여기에 들어간다고 여겨지는 이야기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제왕운기》 《동국이상국집》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규원사화》  등의 기록물 속 이야기, 민간전승, 무가 전승 등을 '민간 신화', '무속 신화' 등으로 부르는 이야기가 있다. 이런 구분은 기록 형태에 따른 구분이고, 내용상 우주창생신화, 영웅신화, 문명기원신화, 건국신화 등등으로 분류된다(두백, ' 한국신화 '). 지금이야 이런 분류학이 정리되어 있지만 '신화' 개념이 우리에게 낯설던 개항기에는 우리에게 신화는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서서히 우리 안에서 신화를 발견하게...

광장, 중심이라는 경계

아래 글은 같은 제목으로 2017년 6월 30일에 ' 월간 종교인문학 '(블로그)에 썼던 글을 옮겨 놓은 것이다.  2016년 말에서 2017년 초까지 이어진 대통령 탄핵 촛불집회를 계기로 '다양한 광장의 경험'을 종교학자의 시선으로 조명해 봤던 글이다. ─── ∞∞∞ ─── 광장은 도시의 한 복판에 있다. 그러나 광장이 모든 사람들에게 언제나 ‘중심’으로 경험되는 것은 아니다. 광장의 경험에 대한 다양한 기억은 그곳을 오히려 불안한 ‘경계’의 자리로서 묘사하도록 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지금 눈부신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광장 이야기와 그 그늘에서 빛바랜 채 먼지를 뒤집어쓴 잘 기억되지 않는 혹은 기억될 수 없는 광장의 이야기를 떠올려 보고 싶다. 다양한 이야기들이 이 공간의 경계성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리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지난해(2016년)부터 올 봄까지 서울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광장은 촛불로 가득 채워졌다. 그 목소리는 결국 새로운 정부를 탄생시켰고, ‘새로운 한국 만들기’의 기대를 품게 만들었다. 그리고 광장에서 터져 나왔던 ‘민주주의의 외침’이 더 각별하게 기억되었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5.18과 6.10 사진출처: 5.18 기념재단 사진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 날들은 ‘국가 기념일’이 되었다. ‘무슨무슨 기념일’로 되어 있는 날에는 ‘3.15의거 기념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4.13), ‘4.19혁명 기념일’, ‘학생독립운동 기념일’(11.3)이 있다('국가기념일'은 그 외에도 '무슨무슨 날'을 포함한다). 광장을 ‘민주주의 성지’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때 공대 선배조차도 학내 학생 운동의 메카인 광장을 '신성한 곳'이라고 말했던 기억이 있다. 성스러움의 감각은 아주 현실적이었다. 이러한 성스럽다는 규정 자체가 이 공간이 무언가 '분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힘을 지녔다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 분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