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y research publications

논문 Journal articles

2024, 북어는 액막이 부적인가, 행운의 부적인가?

2024, '문화 과학'의 유령 [서평논문] [비교문화연구소 링크]

2023, ‘갓생살기’라는 의례화된 행동의 출현과 변화, 그리고 그 시사점

2023, 성지 밈(聖地 meme) 소원 댓글의 유행과 온라인 종교문화상의 함의: ‘쿠키 닷컴’ 게시물 댓글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2023, 한국의 온라인 종교문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온라인 종교활동과 종교적 표현상의 특이 사례를 중심으로(심형준·이원섭·오준혁·이유나 공저)

2022, 1883~1910년 한국의 ‘종교 (宗敎)’ 용례 특이성: 한국 ‘종교’ 개념 형성사 재고

2022, 정치적 종교와 종교적 정치: 공유된 현실과 존재 정당화의 종교-정치적 성격

2021, 종교와 사회성의 진화에 관한 최근 연구의 주요 쟁점과 종교학 분야에의 시사점

2019, 인물신 신격화 논의 재고: 초자연적 행위자와 망자, ‘집단 기억’과 상징화를 중심으로

2019, 사회성의 진화와 종교논의로 본 근미래의 종교문화: i세대/90년대생 담론과 새로운 종교문화 트렌드를 중심으로

2018, 밀양 송전탑 사건을 둘러싼 정당성 담론의 전개(심형준·김시연 공저)

2018, 한국 기독교 민속신앙론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지종교학의 관점이 말해주는 것

2018, 민족대표 33인의 일원인 이종일의 상징화 사례 연구: 「묵암비망록」, 데마고기, 상징화 주체와 전략의 변화

2016,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허구적 내러티브 생성의 일반적 조건과 신화 연구자의 과제

2016, 역사적 인물의 상징화와 신격화: 맥아더에 관한 두 개의 기억

2013, 강릉단오제 主神 교체 문제에 관한 고찰: 범일국사의 등장 문제

2013, 섹슈얼리티의 성스러움: 금기 너머의 더럽고 위험한 성스러움과정상(正常) 섹슈얼리티

2013, 아편(마약)과 종교: 아편의 비유, 그 이면을 찾아서

2009, 인간 성화 문제에 관한 시론: 조선시대 공인된 유교의 성현들을 통해서 본 성스러운 인간


학위논문 Thesis

[Ph.D] 2016, 성스러운 인간의 생성과 변형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M.A.] 2009, 종교 개념의 적용과 해석에 대한 연구: `삼교`, 유교, 무속을 중심으로


책 Books

2020, "우리는 왜 산에 가고, 산은 우리에게 무엇을 주나", 『신과 인간이 만나는 곳, 산』 [알라딘]

2019, "‘종교’ 개념과 ‘종교하는 인간’의 차이를 생각하며", 『한국의 종교학: 종교, 종교들, 종교문화』 [알라딘]

2019, "밀양 송전탑 사건을 둘러싼 정당성 담론의 전개", 『밀양을 듣다: 밀양 탈송전탑 탈핵 운동의 담론과 현장』(심형준·김시연 공저) [알라딘]

2016, "종교학의 스펙", 『종교로 보는 세상』 [알라딘]

2013, "거친 기억 속의 '스승의 그림자'", 『정직한 이삭줍기: 소전 정진홍 교수의 종교 연구의 지평』 [알라딘]

2010, 『국역 차충걸추안: 도참을 믿고 생불을 대망했던 민중들의 심문 기록』(최종성, 구형찬, 심형준, 정재홍, 박병도, 조남욱 공역) [알라딘]

2010, 『국역 역적여환등추안』(최종성, 구형찬, 윤조철, 심형준, 정재홍, 박병도 공역) [알라딘]


기타 Other writings


2023, 청년층의 탈종교화 다르게 보기, ‘노잼 종교’의 여러 맥락

2017, <스켑틱>이 종교학자들에게 던지는 메시지 

2017, 광장, 중심이라는 경계 (web article)

2017, 폭력적 ‘입문식’과 어른에 대한 상념들: 물어지지 않는 물음을 찾아서 (web article)

2013, 거친 기억 속의 ‘스승의 그림자’

2006, 설림(說林): 종교학의 스펙 [원문]


블로그 글들 (추후 업데이트 예정)

출처 오귀인 주제 글들: 오귀인_MisAttribution

산 이야기 ...

시간 이야기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