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Journal articles
2024, 코딩을 활용한 종교문화 연구, 디지털 종교학의 가능성
2024, 북어는 액막이 부적인가, 행운의 부적인가?
2024, '문화 과학'의 유령 [서평논문] [비교문화연구소 링크]
2023, ‘갓생살기’라는 의례화된 행동의 출현과 변화, 그리고 그 시사점
2023, 성지 밈(聖地 meme) 소원 댓글의 유행과 온라인 종교문화상의 함의: ‘쿠키 닷컴’ 게시물 댓글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2023, 한국의 온라인 종교문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온라인 종교활동과 종교적 표현상의 특이 사례를 중심으로(심형준·이원섭·오준혁·이유나 공저)
2022, 1883~1910년 한국의 ‘종교 (宗敎)’ 용례 특이성: 한국 ‘종교’ 개념 형성사 재고
2022, 정치적 종교와 종교적 정치: 공유된 현실과 존재 정당화의 종교-정치적 성격
2021, 종교와 사회성의 진화에 관한 최근 연구의 주요 쟁점과 종교학 분야에의 시사점
2019, 인물신 신격화 논의 재고: 초자연적 행위자와 망자, ‘집단 기억’과 상징화를 중심으로
2019, 사회성의 진화와 종교논의로 본 근미래의 종교문화: i세대/90년대생 담론과 새로운 종교문화 트렌드를 중심으로
2018, 밀양 송전탑 사건을 둘러싼 정당성 담론의 전개(심형준·김시연 공저)
2018, 한국 기독교 민속신앙론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지종교학의 관점이 말해주는 것
2018, 민족대표 33인의 일원인 이종일의 상징화 사례 연구: 「묵암비망록」, 데마고기, 상징화 주체와 전략의 변화
2016,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허구적 내러티브 생성의 일반적 조건과 신화 연구자의 과제
2016, 역사적 인물의 상징화와 신격화: 맥아더에 관한 두 개의 기억
2013, 강릉단오제 主神 교체 문제에 관한 고찰: 범일국사의 등장 문제
2013, 섹슈얼리티의 성스러움: 금기 너머의 더럽고 위험한 성스러움과정상(正常) 섹슈얼리티
2013, 아편(마약)과 종교: 아편의 비유, 그 이면을 찾아서
2009, 인간 성화 문제에 관한 시론: 조선시대 공인된 유교의 성현들을 통해서 본 성스러운 인간
학위논문 Thesis
[Ph.D] 2016, 성스러운 인간의 생성과 변형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M.A.] 2009, 종교 개념의 적용과 해석에 대한 연구: `삼교`, 유교, 무속을 중심으로(원문 보기 가능)
책 Books
2020, "우리는 왜 산에 가고, 산은 우리에게 무엇을 주나", 『신과 인간이 만나는 곳, 산』 [알라딘]
2019, "‘종교’ 개념과 ‘종교하는 인간’의 차이를 생각하며", 『한국의 종교학: 종교, 종교들, 종교문화』 [알라딘]
2019, "밀양 송전탑 사건을 둘러싼 정당성 담론의 전개", 『밀양을 듣다: 밀양 탈송전탑 탈핵 운동의 담론과 현장』(심형준·김시연 공저) [알라딘]
2016, "종교학의 스펙", 『종교로 보는 세상』 [알라딘]
2013, "거친 기억 속의 '스승의 그림자'", 『정직한 이삭줍기: 소전 정진홍 교수의 종교 연구의 지평』 [알라딘]
2010, 『국역 차충걸추안: 도참을 믿고 생불을 대망했던 민중들의 심문 기록』(최종성, 구형찬, 심형준, 정재홍, 박병도, 조남욱 공역) [알라딘]
2010, 『국역 역적여환등추안』(최종성, 구형찬, 윤조철, 심형준, 정재홍, 박병도 공역) [알라딘]
기타 Other writings
2023, 청년층의 탈종교화 다르게 보기, ‘노잼 종교’의 여러 맥락
2023, 사이비 종교, 그 문제적 성격(스켑틱 34호 126-137)
2017, <스켑틱>이 종교학자들에게 던지는 메시지
2017, 광장, 중심이라는 경계 (web article)
2017, 폭력적 ‘입문식’과 어른에 대한 상념들: 물어지지 않는 물음을 찾아서 (web article)
2013, 거친 기억 속의 ‘스승의 그림자’
2006, 설림(說林): 종교학의 스펙 [원문]
블로그 글들 (추후 업데이트 예정)
출처 오귀인 주제 글들: 오귀인_MisAttribution
산 이야기 ...
시간 이야기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