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인 게시물 표시

'델포이 신전의 작은 옴파로스'는 옴파로스가 아니다?┃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2)

※이 글은 얼룩소 글(23.5.1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지난 번 글( 델포이에서 아폴로는 테미스를 쫓아냈나? )에 이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옴파로스에서 나온 E Γã(E Ga[Ge])를 근거로 아폴로 신앙이 들어오기 전 그리스 전역에 퍼져있던 대지모신(가이아 혹은 테미스)에 대한 신앙이 존재했고, 아폴로가 이를 대체했지만, 대지모신의 심볼은 재활용되면서 델포이 신전의 상징으로 남겨지게 되었다는 베이츠의 가설을 살펴 보았습니다.  그 출발점이 된 옴파로스가 과연 기원전 7세기에 만들어진 것인지, 새겨진 문자를 과연 E Ga로 볼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 20세기 중반에 새로운 가설이 제시되었습니다. 그 주장이 맞다면 베이츠의 가설은 기초가 무너지면서 E의 비밀은 다시 미궁 속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게 됩니다. 델포이의 여러 옴파로스 베이츠 가설의 토대가 된 쿠르비(Courby)의 주장[돌은 기원전 7세기 이전 것이고, 새겨진 문자는 E Ga이다]을 강력하게 부정한 장 부스케(Jean Bousquet)는 작은 옴파로스의 재질, 덧붙여진 성분, 부속 물건(칼) 등에 주목해서 이 돌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이 문제를 살피기에 앞서서 델포이 신전의 옴파로스를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옴파로스'로 불리는 게 한 두 개가 아니거든요. '옴파로스'는 그리스말로 '배꼽'을 말합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생각한 세상의 중심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 옴파로스를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델포이가 세상의 중심이라는 생각은 신화적 이야기로 이렇게 표현되었다고 하지요. 어느 날 제우스가 세계의 중심을 알아보기 위해 세상의 양 끝에서 각각 독수리를 날렸고, 독수리는 똑같은 속도로 서로를 마주 보고 날아 왔고, 델포이 상공에서 서로 교차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우스가 지구의 중심을 표시하기 위해서 이곳에 돌덩어리를 놓았고, 그것이 우리가 옴파로스라고 여기는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