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얼룩소 글(23.5.29)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어머니의 단골 무당과 4월 초파일 하루등
몇 년 전 4월 초파일에 있었던 일입니다. 어머니는 당신의 동생들이 살고 있는 도시의 무당을 찾아갑니다. 그 무당을 어머니는 '시엉 엄마'라고 부릅니다. 그 호칭은 '수양 어머니'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시엉'이라는 말이 충청도 방언이라고 하기도 하는데('아이팔기', 한국민속대백과), 정확한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싱아'의 충청도 사투리가 '시엉'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참고). '수양'이란 말을 '시엉'으로 쓰는 사례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것 같습니다('기생의 은어').
예전에 '단골 무당'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아마도 그것의 한 버전인 듯 싶습니다. 수양어미-딸의 관계를 무당과 그 고객이 맺음으로 해서 가정 대소사의 종교적 측면(주로 기원, 액막이 등)을 무당이 담당하게 되는 형태입니다.
어쨌든 부처님 귀빠진 날, 절에서 '하루등'이라는 걸 달아 놓습니다. 자세한 것은 모르겠지만 '하루' 동안 달아 놓는 '연등'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기에 아마 기원을 하는 사람의 이름과 주소가 적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불교 풍속을 따라서 무속인들의 집에서도 하루등 달기를 4월 초파일에 하는 것 같습니다.
어머니께서는 초파일 날 그 단골 무당을 찾아가 '하루등'을 다신다고 주소를 불러달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한사코 됐다고 했으나 물러서지 않을 자세셨습니다. 일단 우회로를 찾고자 다른 이모님과 통화하게 해 달라고 부탁을 드리고 이모님 설득에 들어갔습니다.
몇 년 전 4월 초파일에 있었던 일입니다. 어머니는 당신의 동생들이 살고 있는 도시의 무당을 찾아갑니다. 그 무당을 어머니는 '시엉 엄마'라고 부릅니다. 그 호칭은 '수양 어머니'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시엉'이라는 말이 충청도 방언이라고 하기도 하는데('아이팔기', 한국민속대백과), 정확한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싱아'의 충청도 사투리가 '시엉'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참고). '수양'이란 말을 '시엉'으로 쓰는 사례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것 같습니다('기생의 은어').
예전에 '단골 무당'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아마도 그것의 한 버전인 듯 싶습니다. 수양어미-딸의 관계를 무당과 그 고객이 맺음으로 해서 가정 대소사의 종교적 측면(주로 기원, 액막이 등)을 무당이 담당하게 되는 형태입니다.
어쨌든 부처님 귀빠진 날, 절에서 '하루등'이라는 걸 달아 놓습니다. 자세한 것은 모르겠지만 '하루' 동안 달아 놓는 '연등'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기에 아마 기원을 하는 사람의 이름과 주소가 적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불교 풍속을 따라서 무속인들의 집에서도 하루등 달기를 4월 초파일에 하는 것 같습니다.
어머니께서는 초파일 날 그 단골 무당을 찾아가 '하루등'을 다신다고 주소를 불러달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한사코 됐다고 했으나 물러서지 않을 자세셨습니다. 일단 우회로를 찾고자 다른 이모님과 통화하게 해 달라고 부탁을 드리고 이모님 설득에 들어갔습니다.
나: 아니, 무슨 신령님이 사람 찾는 데 주소가 필요해요?
이모: 그럼 주소가 있어야 너네 집에 찾아가서 복을 주지.
나: 그럼 그 신령님 수준이 좀 떨어지는 거 아니에요? 용한 신령이면 기도만 가지고도 사람을 찾아야 하는 거 아니에요?
이모: 어떻게 그럴 수가 있겠니. 주소가 있어야 사람을 찾지.
논리적인 공략이 쉽지 않았습니다. 결국 웃으며 주소를 알려드렸습니다.
그날 동네 사찰에서도 하루등을 달고 있었습니다. 5만원이나 하더군요. 예전에 사찰에 답사를 가면 기와에 사람들 이름과 주소를 적어 기원하는 것을 종종 보았는데, 연등으로도 이런 개인 소원 기원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이더군요.
복은 택배처럼 온다?
신적 존재의 축복을 기원하면서 '주소'를 적어야 한다는 것이 어떤 면에서는 이상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일상적인 맥락에서 생각해 보면 자연스러운 생각일 수 있습니다.
영혼, 귀신 같은 존재는 인간의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약간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처럼 마음을 가지고 있고, 말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등 인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반면에, 인간과 같은 신체를 지니지 않은 존재들입니다. 그래서 인간에 대해서 떠올릴 수 있는 직관이 많이 적용이 됩니다.
영화 〈사랑과 영혼〉(1990)에서 보듯 영혼(귀신, 유령)이 물건을 움직이는 등 인간계에 영향을 끼치거나 인간과 대화를 할 수 있다거나 먼 곳을 가기 위해서는 교통수단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하루등'의 예에서는 복을 주기 위해서 그 사람에게 직접 찾아가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주소가 필요하다고 여겨진 것입니다. 신적 존재가 잘 모르는 낯선 사람을 찾아가기 위해서는 그 개인을 특정할 요소가 필요하고, 그걸 주소라고 생각하기가 너무 쉽습니다. 아마 주소가 필요한 신령님이나 부처님의 모습은 최근의 경향이었을 겁니다. 예전에는 '무슨 마을 아무개'라는 식이었겠지요.
이것은 복잡한 사상이 아닙니다. '인간'이라는 생명체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적인 관념에 근거한 자연스러운 추론의 산물입니다. 우리는 뭔가 사람과 같은 존재를 떠올릴 때, 자연스럽게 그 존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의사소통하는지', '먹는 것이 필요한지' 등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 활동들에서 완전히 유리된 존재는 그다지 자연스러운 대상이 아닙니다(우리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신령이 가호를 내려야 할 대상을 찾기 위해서 주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래서 자연스럽습니다. 신적 존재의 '움직임'을 인간의 움직임을 근거해서 상상하고 있기 때문에 영계의 질서가 어떻게 현세의 질서와 동일할 수 있는지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교리화된 종교는 다를 수 있습니다). 사람들도 '누군가를 찾으려면' 주소가 필요하니 신령님에게도 주소가 필요할 것이라고 '의식하지 않은 추론'(직관적 추론)을 하게 됩니다. 잘 생각해 보아야만(다른 '위대한 신'들과의 비교) 그러한 정보가 신령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의 어색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기독교의 신은 완전히 다를까?
기독교의 유일신은 '인간적 생각'으로 떠올릴 때 신학적으로 문제가 생깁니다. 전지전능, 무소부재라는 표현으로 모든 그러한 상상을 정지시켜 버립니다. 모든 것을 아는 '상태'나 어디에나 있는 '상태'는 인간의 경험으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게다가 논리적으로도 이해할 수 없습니다. 동시에 두 곳 이상에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의 물리적 직관과 충돌하지요. '삼위일체'도 인간적 생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교리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고 인간적인 직관에서 기독교의 신이 완전히 동떨어져 있지는 않습니다. 무소부재의 특성 때문에 신은 언제나 개인 수호 천사처럼 사람들과 직접 연결된다고 여겨집니다. 친구처럼 가족처럼 상상되기도 하는 것이죠. 가까이 있는 존재, 언제나 의사소통하는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런 신은 축복을 위해 주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아, 영화 〈브루스 올마이티〉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필요하긴 했군요.
기독교 신의 인간적인 모습은 성서 속에서 더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성서 속에 등장하는 신은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려집니다. 좋아한다거나 분노했다고 여겨집니다. 또 그의 호칭은 '아버지', '주인', '왕'이라는 인간적인 것들이기도 합니다. 이런 호칭이 옛 기록인 성서 속에만 존재하는 것도 아닙니다. 기독교인들의 기도 속에서 지금도 확인할 수 있는 호칭입니다.
종교의 교리를 넘어선 일반적인 종교적 상상력
우리가 인간으로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신과 같은 초자연적 존재를 '인간'처럼 상상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우리 머리 속에서 인간 행위자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진화시켜 온 능력을 사용하면 쉽게 신, 귀신, 유령, 요정, 도깨비 등과 같은 존재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배워 알지 않더라도 약간의 단서만으로도 그런 존재를 현실적인 존재로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가 귀신, 도깨비, 유령 같은 존재에 가장 열광했을 때가 어렸을 때였다는 것을 상기하는 것으로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사고방식은 종교의 울타리를 넘어서서 인류 전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하루등'은 불교적인 것만도 무속적인 것만도 아닙니다. 그래서 습합(혼종)으로 이야기할 성질의 것도 아닙니다. 거기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인간적인 자연스러움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