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델포이 신전의 작은 옴파로스'는 옴파로스가 아니다?┃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2)

※이 글은 얼룩소 글(23.5.1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지난 번 글(델포이에서 아폴로는 테미스를 쫓아냈나?)에 이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옴파로스에서 나온 E Γã(E Ga[Ge])를 근거로 아폴로 신앙이 들어오기 전 그리스 전역에 퍼져있던 대지모신(가이아 혹은 테미스)에 대한 신앙이 존재했고, 아폴로가 이를 대체했지만, 대지모신의 심볼은 재활용되면서 델포이 신전의 상징으로 남겨지게 되었다는 베이츠의 가설을 살펴 보았습니다. 

그 출발점이 된 옴파로스가 과연 기원전 7세기에 만들어진 것인지, 새겨진 문자를 과연 E Ga로 볼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 20세기 중반에 새로운 가설이 제시되었습니다. 그 주장이 맞다면 베이츠의 가설은 기초가 무너지면서 E의 비밀은 다시 미궁 속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게 됩니다.


  • 델포이의 여러 옴파로스

베이츠 가설의 토대가 된 쿠르비(Courby)의 주장[돌은 기원전 7세기 이전 것이고, 새겨진 문자는 E Ga이다]을 강력하게 부정한 장 부스케(Jean Bousquet)는 작은 옴파로스의 재질, 덧붙여진 성분, 부속 물건(칼) 등에 주목해서 이 돌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이 문제를 살피기에 앞서서 델포이 신전의 옴파로스를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옴파로스'로 불리는 게 한 두 개가 아니거든요.

'옴파로스'는 그리스말로 '배꼽'을 말합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생각한 세상의 중심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 옴파로스를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델포이가 세상의 중심이라는 생각은 신화적 이야기로 이렇게 표현되었다고 하지요. 어느 날 제우스가 세계의 중심을 알아보기 위해 세상의 양 끝에서 각각 독수리를 날렸고, 독수리는 똑같은 속도로 서로를 마주 보고 날아 왔고, 델포이 상공에서 서로 교차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우스가 지구의 중심을 표시하기 위해서 이곳에 돌덩어리를 놓았고, 그것이 우리가 옴파로스라고 여기는 것이라고 합니다.

'우주의 중심', '지구의 중심' 같은 관념은 통상 한정된 지리 인식에 기초한 '자기 중심 만들기'의 산물입니다. 자신들에게 익숙한 곳에서 '중심'을 찾는 것은 인도, 중국, 호주(우룰루) 등에서 대표적인 예를 찾을 수 있습니다. 아마 모든 나라들에서 벌어진 일이었을 겁니다.

옴파로스는 델포이의 신탁과 관련해서 특별한 기능을 하였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글에서 이야기를 풀어내 보겠습니다. 아무튼 옴파로스와 관련된 신화적 이야기는 외려 대지모신 신앙과의 관련성을 더 부각시켜 주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아무래도 그리스의 지질학적 특성과 관련이 될 것 같습니다(지진). 그 이야기는 또 따로 하고요. 다시 델포이의 옴파로스'들'로 시선을 돌려 보죠.

지금 우리가 델포이의 옴파로스를 찾으면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옴파로스와 델포이 유적지에 놓인 옴파로스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그림1.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된 옴팔로스 원본과 유적지에 놓여진 모조품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Omphalos_of_Delphi)

델포이의 옴파로스 원본은 아폴로 신전 남서쪽으로 200여 미터 떨어진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에 있고, 모조품은 델포이 신전 남쪽으로 50여 미터 떨어진 아테네인의 보물 창고 앞에 놓여 있습니다. 모조품은 애초 원본 옴파로스가 발견된 위치에 놓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아폴로 신전에 실제 옴파로스의 위치는 아디톤(Adyton)이라고 불리는 신전의 가장 안쪽 공간에 자리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아래 그림의 X위치).
그림2. 구글맵으로 본 델포이 아폴로 신전 유적 (Google Map)

베이츠의 논의에서 주목된 옴파로스(그림3 좌)와 지금 옴파로스의 원본으로 알려진 것(그림1 좌)은 상당히 다르게 생겼습니다. 이 두 옴파로스는 1949년까지 델포이 박물관에 그림3 우(右)와 같은 모습으로 전시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그림3. 좌측의 '작은 옴파로스'는 쿠르비(Courby, 1927, fig. 64)가 아폴로 신전의 지성소(adyton) 위치에서 발굴한 것, 우측은 H.W. Parke(1939)의 델포이 박물관 옴파로스 사진 (출처: Zeilinga de Boer, 2007, p. 98, fig.1과 fig. 2.)

작은 옴파로스가 더 고대의 것이고, 큰 것이 더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합니다만, 지금은 아래 것만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1949년 이후 작은 옴파로스의 진위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치워진 것으로 보입니다.


  • 작은 옴파로스는 옴파로스가 아니다?
 
장 부스케(Jean Bousquet)는 1951년 "델포이의 '고대 옴파로스'에 관한 고찰"을 발표해서 베이츠 논의에서 출발점이 된, 옴파로스가 옴파로스가 아니며 새겨진 글자도 쿠르비가 읽었던 E Γã(E Ga)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돌 자체는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 돌의 표면에 보이는 흰색의 치장 벽토가 기원전 4세기의 것이 아니고, 카스트리 지역의 벽 등에서 발견할 수 있는 '씨멘트'라고 부르는 것이 사용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오래되지 않은 것라고 봤습니다.
돌의 표면을 세척하고 보니 쿠르비 및 베이츠가 봤던 'E Γã(E Ga)'가 아니라 'ΠΑΠΑΛΟΥ(Papalou)'가 쓰여 있다고 봤습니다. 그는 이를 'Papaloukas(파팔루카스)'라는 카스트리* 지역 사람 이름의 축약형이라고 설명합니다.
 *Kastri라는 마을이 자리잡으면서 델포이는 한 동안 '카스트리'로 불렸는데, 1890년 카스트리 마을이 발굴을 위해 이전 되면서 이 지역은 다시 델포이라는 이름을 회복했다고 합니다. 카스트리 마을 사람은 Kastriote로 씁니다(cf. Delphi┃Britannica).

한편 작은 옴파로스의 단면을 보면 가운데에 구멍이 있었고, 그 꼭대기에는 칼이 하나 꼽혀 있었습니다.
그림6. 작은 옴파로스의 횡단면과 위에서 본 그림 (출처: Zeilinga de Boer, 2007, p. 99, fig.3, 본래 출처는 Courby, 1927, fig. 68)
부스케는 이 구멍과 꽂혀 있던 칼을 면밀히 관찰하여, 칼에 1860년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는 것과, 19세기 말에 그 지역에서 쓰인 칼과 비슷한 것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이 돌덩어리가 카스트리 지역의 벽이나 건물 수리에 사용된 것이라고 추론하였습니다.

그러나 어떻게 델포이 신전의 아디톤(지성소) 위치에서 발굴될 수 있었는지는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다만 그 지역의 갖은 풍파를 고려할 때 벽이나 건물의 돌이 신전 재건 등에 섞여 들어가는 게 불가능한 일은 아니었을 거라고 봅니다.

부스케는 최종적으로 작은 옴파로스가 옴파로스가 아니라 길가에서 볼 수 있는 그리스정교회의 작은 성소인 프로스퀴니타리(προσκυνητάρι)의 돔이였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작은 옴파로스의 구멍은 그 돔 꼭대기에 십자가를 꽂는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았습니다.

프로스퀴니타리(Proskinitari)는 예배하다(προσκυνέω/proskineo)라는 말에서 파생된 말로, 첫 번째 의미는 그리스 정교회에서 복음서나 성인의 아이콘(성화나 성상)을 놓는 가구입니다. 예배자들은 이곳에 놓인 복음서나 아이콘을 향해 기도합니다.
그림7. προσκυνητάρι(proskinitari) (출처: https://evagelidis.com/προϊόν/προσκυνητάρι-3/)

두 번째는 성자의 아이콘이 놓인 작은 신전 같은 구조물을 뜻합니다. 실제로 '작은 신전'(small shrine)으로도 불립니다. 혹은 'iconostasis'로 불리기도 합니다. 부스케가 말하는 프로스퀴니타리는 두 번째 의미인 것이죠.
그림8. 프로스퀴니타리의 돔 (http://www.kretakultur.dk/english/photo%20series/iconostasis.htm 등)
 
부스케의 시나리오는 이렇게 정리될 수 있습니다.
 
기독교 역사 초기에 프로스퀴니타리(작은 성소)의 돔으로 사용 된 구조물이 나중에 카스트리 지역(델포이의 옛 이름)의 벽이나 건물 수리에 사용되어 그 일부가 되었다가 산사태 또는 마을 철거 중에 어떻게든 사원의 셀라(cella)로 들어갔다. 20세기 초 이 돔이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작은 옴파로스'로 여겨졌던 것이다. 
 
아주 오래된 역사 유적에 후대 사람이 낙서를 해 놓았는데, 나중에 고고학자가 그 낙서를 더 오래된 역사를 가진 것으로 잘못 상상하는 일이 벌어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과연 베이츠의 가설은 틀린 것일까요? 요즘의 학자들은 이에 대해서 뭐라고 하고 있을까요?

다음 글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참고자료
Bates, William Nickerson, 1925, "The E of the Temple at Delphi,"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29(3): 239–246.
Bousquet, Jean, 1951, "Observations sur l'« omphalos archaïque » de Delphes," Bulletin de Correspondance Hellénique 75: 210-223.
Zeilinga de Boer, Jelle, 2007, “Delphi’s Small “omphalos”; An Enigma,” Syllecta Classica 18 (1): 81–104.
Hodge, A. Trevor, 1981, "The Mystery of Apollo's E at Delphi,"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85(1): 83-84.
Hulbert, Homer B., 1902, "Korean Folk-Tales,"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 45-79.
Noegel, Scott B., 2006, "Greek Religion and the Ancient Near East," The Blackwell Companion to Greek Religion, ed. by Daniel Ogden, London: Blackwell, 21-37.
Delphi┃Britannica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라는 타이틀의 시리즈물의 마지막 글이다. 이전 글까지 확인하려고 했던 것은 ‘크리스마스’가 동지라는 ‘시간의 마디’에 이루어지는 의례였고, 지금도 그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에 물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간의 마디에서 인간은 왜 의례 행동을 하는가'가 될 것이다. 동지 축제의 주요 요소라고 할 만한 것들이 ‘주술-종교적 목적의 행동’이라는 점을 지난 글(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에서 언급했다. 팥죽과 주술-종교적 위험 회피 우리의 동지 축제 때 관습으로 ‘팥죽 먹기’가 있는데, 그것도 동지 축제에서 많이 보는 주술-종교적 행동이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설명을 보자.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로 팥죽을 쑤어 먹는다는 것이다. 이런 동기는 이 풍습이 관습화되면서 많이 약화되고 새해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한 살을 먹는다’는 의미 정도로 축소되었다. 세계 도처의 ‘동지 축제 풍습’, 또 신년 의례를 보면 시간이 변하는 시점에 귀신이나 악령이 출몰하고 이들로부터 인간이 액, 살과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념이 폭넓게 퍼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한 모종의 행동(의례)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의 ‘경계’만큼이나 공간의 ‘경계’에서도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은 활발히 작동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누석단이다. 영어권에서는 cairn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새로운 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람들은 민감하게 초자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