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동지축제인 게시물 표시

중세 크리스마스, 과거 동지 축제의 지속

동지 축제의 지속으로서 중세 크리스마스의 모습 대략 5세기에서 16세기까지의 중세 시기, 12월 25일 전까지 강림절 * 의 금식을 지키고, 25일부터 만찬과 축제의 시간을 12일간 가졌다고 한다(동지 → 신년 의례). 이 시기에 사람들은 '먹고 마시며 즐겁게 지내고, 변장을 하고, 게임을 하고, 춤을 추고 다녔다'. 그리고 이 시기 영주는 소작인들에게 12일의 휴가를 주고 만찬을 대접할 의무가 있었다. * 강림절(대강절[待降節] 혹은 대림절[待臨節]이라고도 함, '예수 강림을 기다리는 시기')은 크리스마스 전 약 4주간의 기간. 크리스마스 전 4번째 일요일부터 시작된다. https://www.history.com/news/middle-ages-christmas-traditions 중세 크리스마스 축제를 특징짓는 것 중의 하나가 변장 게임과 역할 바꾸기 놀이였다(기독교 이전 이교도 풍습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설명된다). 변장 놀이(mumming)를 하는 사람은 동물 가면을 쓰거나 다른 성(남자가 여자)으로 변장하고서 지금의 'trick or treat'과 비슷한 장난을 집집마다 다니며 하거나 해당 축제와 관련된 민속 노래를 불렀다(‘핼로윈’의 근원을 추적하면 켈트족의 ‘신년 의례’와 만난다. 이에 대해서는 신년이 되면 정리해 볼까 한다). 요리된 동물 머리가 동물 가면으로 자주 사용되었는데, 수퇘지 머리가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중세 후기로 가면서 나무로 된 수퇘지 가면으로 대체되었다. 12일의 축제 기간 중 1월 1일에 '바보들의 축제'라고 불렸던 행사가 있었는데, 이때 사제, 부제(deacon) 등 교회 직원들이 객기부리는 걸 용인해 주는 풍습이 있었다. 역할 바꾸기가 빈번하게 이루어졌고(하급 부제가 설교를 한다든지), 난장판이 되기 일쑤였다('만우절'을 떠올리게 하는 장면이다. '신년 의례' 글에서 다룰 예정).  15세기 프랑스에서 어떤 이는 이런 풍습을 비

기독교 초기 동지 축제의 크리스마스화는 실패

이교도 신앙의 기독교적 전유(이교도 신앙을 기독교인들이 기독교적으로 세탁했다) 크리스마스의 유래가 로마의 동지 축제에 있다는 이야기는 상당히 유명하다. 그래서 로마의 태양신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니 이교적 풍습이라는 말이 있다. 일부 기독교계 신종교에서는 현대 개신교 및 가톨릭이 타락했다는 증거로 ‘크리스마스’를 들기도 한다. 이날을 여전히 ‘예수의 탄생일’로 기억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독교의 축일’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그건 그저 겉으로 드러난 것일 뿐이다. (사실 거슬러 올라간다면 로마에서 멈출 이유는 무엇인가 물을 수 있다) 앞 글( 크리스마스는 예수의 생일이 아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날이 실제로 예수가 태어난 날은 아니다. 종교적으로 그렇게 믿어질 뿐이다. Saturnalia (detail) by Antoine Callet, 1783. (historytoday.com) 어쨌든 기독교 이전에 로마에서 동지 전 며칠 동안 사투르누스Saturnus 신을 기리는 축제인 사투날리아Saturnalia 기간(12월 17일에서 23일)이 있었다. 사투르누스(영어로 새턴Saturn, ‘토성’의 영어명이기도)는 그리스 신화에서 크로노스에 해당하는 신이다. 이 대목에서 왜 '사투르누스'인가 생각해 볼 수 있다. '태양신'이 나와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생각이 될 수 있다. 그리스 신 크로노스에 대응이 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중요한 포인트가 '시간'이라는 것을 눈치 챌 수 있다. 동지-태양신 연결에서 중요한 것은 '시간의 분기점'이라는 점이다. 이 축제 기간은 역법의 변경 및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동지 날짜 전후로 바뀌었고, 12월 25일이 축제의 절정인 날로 여겨졌다. 시리아의 미트라스 숭배 양식을 채용해 12월 25일은 '솔 인빅타'(Sol Invicta, '정복되지 않는 태양')라는 축일이 로마에 만들어지기도 했다(아우렐리아누스 황제(214-275) 시기)

크리스마스는 예수의 생일이 아니다?!

"크리스마스는 기독교화 된 동지 축제다." https://www.independent.co.uk와 https://theconversation.com 이런 말을 기독교인이 듣는다면 불경한 이야기로, 비기독교인이 듣는다면 '이교도 축제 카피캣'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로 들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교도 관습의 기독교화라고 여기는 사람들에게는 하등 흥미로울 게 없는 이야기다. 새삼스러울 게 없을 테니 말이다. 또 크리스마스를 현대인이 기념하는 방식을 고려할 때, 적어도 지금 현실과는 부합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분명 현대에 와서는 기독교의 얼굴을 한 연말 축제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가족을 위한 휴일, 연인을 위한 휴일 등으로 받아들여지며 인간관계의 '(재)결합'(유대감에서 성문화까지)을 유도하는 축제일로 향유되고 있으니 말이다. 어떤 면에선 불경하고, 어떤 면에선 뻔한 이 관습은 역사적 변천을 겪으며 문화의 복잡하고 다양한 층위들을 나무의 나이테처럼 가지고 있다. 그런데 가장 조명이 되지 않는 부분이 하나 있다. 지금도 이런 축제일 기념의 문화적 적합성을 유지시키는 인간의 (존재 지속을 위한) 필요에 관한 것이다. 거기에 가 닿기 위해서는 이 축제일과 관련된 다양한 설명의 층위들을 한 꺼풀씩 벗겨 들어갈 필요가 있다. 종교적 관습의 세 층위 종교적 관습을 우리가 디테일하게 들여다보려고 할 때, 사회적 권위를 가진 종교의 설명(주로 종교 내부의 정통 역사관에 입각한 설명)과 제일 먼저 만나게 된다. 문화 현상이라는 건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자의적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그 생각을 지배하는 권위를 지닌 설명, 종교의 교리에 입각한 설명은 외면하기 힘든 표준적 설명이 되는 게 당연하다. 이 표준적 설명은 문화 현상이 종교적으로 어떻게 정당화되었는지는 알려주지만, 해당 관습이 왜 만들어져 유지되는지는 설명해 주지 못한다. 또 종교의 설명과는 별도로 세속적 역사관에 입각한 설명도 장애물이 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