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라는 타이틀의 시리즈물의 마지막 글이다. 이전 글까지 확인하려고 했던 것은 ‘크리스마스’가 동지라는 ‘시간의 마디’에 이루어지는 의례였고, 지금도 그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에 물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간의 마디에서 인간은 왜 의례 행동을 하는가'가 될 것이다.

동지 축제의 주요 요소라고 할 만한 것들이 ‘주술-종교적 목적의 행동’이라는 점을 지난 글(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에서 언급했다.

팥죽과 주술-종교적 위험 회피

우리의 동지 축제 때 관습으로 ‘팥죽 먹기’가 있는데, 그것도 동지 축제에서 많이 보는 주술-종교적 행동이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설명을 보자.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로 팥죽을 쑤어 먹는다는 것이다. 이런 동기는 이 풍습이 관습화되면서 많이 약화되고 새해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한 살을 먹는다’는 의미 정도로 축소되었다.

세계 도처의 ‘동지 축제 풍습’, 또 신년 의례를 보면 시간이 변하는 시점에 귀신이나 악령이 출몰하고 이들로부터 인간이 액, 살과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념이 폭넓게 퍼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한 모종의 행동(의례)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의 ‘경계’만큼이나 공간의 ‘경계’에서도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은 활발히 작동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누석단이다. 영어권에서는 cairn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새로운 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람들은 민감하게 초자연적 존재의 간섭 가능성을 살폈다. ‘누석단 쌓기’는 신적 존재의 가호로 새로운 공간의 위험을 회피하려는 활동인 측면이 있다. (지금은 '이정표'로 설명되고 있지만)

세계의 누석단. 상좌에서 한국, 스위스, 소말리아, 하좌에서 몽고, 이스라엘. https://www.wikiwand.com/ 및 https://en.wikipedia.org/wiki/Cairn


위험을 회피하려는 진화된 마음


새로운 시간은 불확실한 시간이다. 그 불확실한 시간을 맞아 사람들은 위험을 감지한다. 그리고 그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행위들을 고안하고 함께 수행한다. 여기에서 신적 존재가 ‘누구’냐는 것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저 ‘초자연적 가호’를 내리거나 ‘초자연적 위험’을 막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어떤 존재가 필요할 뿐이다.

의례를 인지진화적(cognitive evolutionary) 관점으로 설명하려는 학자들은 인간의 진화된 인지체계가 개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일반적 행동 절차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본다.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이 위험-예방체계(hazard-precaution system)이다. 본래 포식자나 감염 회피를 위해 진화된 인지 프로세스로 여겨진다.

위험을 미리 감지하고 빠른 대응(회피)을 하기 위한 인지 프로세스로 보통 우리가 의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게 아니라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는 마음 체계라고 여겨진다. 풀숲에서 부스럭 거리는 소리만 듣고도 어떤 행위자(포식자의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를 상정하고 대처하게 해주는 인지 체계다.

새로운 시간으로 진입할 때 불확실성 때문에 어떤 위험을 상정하고 그것을 회피하는 반응을 하게 되는 것도 이 마음의 작용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의례에서 보이는 ‘정화 의식’이나 종교적 신성함의 감각이 전염의 원리(ex. ‘부정탄다’에서 접촉성 오염 감각)에 입각해 있다는 점들을 보면, 이러한 설명의 설득력이 높아 보인다. 다만 이런 이해 방식이 모든 의례 행동을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그러나 분명 동지 축제와 같은 절기 의례에 대한 설명력은 높은 편이다.

또 ‘하나의 인지 프로세스’가 절기의 의례 행동을 모두 설명하는 것도 아니다. 시간의 분기점에서 미래의 불확실성을 초자연적 행위자를 떠올리며 위험을 구체화하는 것에는 행위자 추론(‘어떤 존재가 있다’), 인간적 행위자 추론(‘인간의 말과 행동을 듣고 보는 존재’), 사회적 상호작용 추론(‘그 대상이 인간의 행동에 반대급부로 어떤 조치를 한다’) 등 여러 마음 체계들이 개입한다.

문화적 기억도 활용된다. 우리는 팥죽으로 액땜을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동물 가면을 쓰고 액땜을 하거나 악령을 가장해서 무기력하게 인간의 기지에 당하는 악령을 연기하거나 혹은 최소한의 비용을 받고 물러나는 악령을 연기함으로써 초자연적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고 상상한다. 문화권마다 액땜의 아이템과 행위 절차는 다를 수 있지만, 시간의 분기점에서 ‘위험 회피 행동’이 활성화되는 것은 일반적이다.

결국 착각이다?

없는 존재를 상상하고, 없는 위험을 상상하는 마음의 착각 때문에 의례가 나타났다, 이렇게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 행동 방식의 일면만을 부각시킨 해석에 불과하다. 이 ‘착각’이 인간 행동 방식의 ‘디폴트(default) 값’이라는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이 모든 ‘착각’이 왜 발생하느냐를 생각해 봐야 한다. 이는 두뇌의 진화에 대한 설명에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신경과학자들은 인간의 뇌가 미래의 위험을 잘 시뮬레이션해서 대비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예측 기계’라고 이야기한다. 그 시뮬레이션 능력은 모든 위험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형태로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진화 과정에서는 비용-편익의 트레이드오프가 발생한다. 한정된 자원으로 ‘당시의 상대적인’ 최적의 효과를 발휘하는 식으로 자연선택이 될 따름이다. 적은 비용으로 대체적으로 많은 위험을 인지하고 대처하며 다소간의 과도한 조처가 있더라도 그 비용이 생존에 치명적이지 않다면 해당 능력은 진화될 수 있다.

새로운 시간과 공간에서 벌어질 위험은 도저히 구체화될 수 없는 무형의 위험이다. 패닉에 빠져 그저 불안에 떠는 상태와 상상의 대응으로 인한 미래에 대한 통제감(‘이렇게 했으니 앞으로 행운이 있을 거야’, 일종의 정신승리?)을 갖는 상태 사이에서 비교 우위를 어떤 게 가져갈 수 있는지 생각해 보라.

늘 그렇게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

위험을 ‘인식’하고 그것을 의식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무서운 존재’를 마음에 떠올리는 게 아니다. 부지불식 간에 그러한 조건, 경계/문지방에 섰을 때, 어떤 전이기에 들어갔을 때, 변화의 불확실성에 본능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사람이 비슷한 정도로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을 감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만큼은 감지한다. 그래서 ‘문화적 코드’(해맞이 소망, 소원빌기, 기도 등)를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믿음 없이도 향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산신의 존재를 믿지 않더라도 등산하다가 돌무더기에 돌을 쌓고 안전한 등산을 기원할 수 있다. 태양신을 믿지 않더라도 새해 첫 날 떠오르는 태양을 보고 가족의 건강과 안녕을 빈다. 그와 마찬가지로 해가 가장 짧은 날, 도깨비가 날뛴다고 믿지 않더라도, 그들을 쫓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팥죽을 쑤어 먹는다고 믿지 않더라도 팥죽을 먹을 수 있고, 축귀의 목적으로 옛 사람들이 팥죽을 먹어왔다는 이야기를 소비한다.

다시 크리스마스 그리고 종교에 대한 착각

시간의 끝에서 떠들썩한 잔치와 악령 퇴치 의식을 하던 크리스마스의 모습은 가족과 연인을 위한 이벤트로 바뀌었다. 과거의 주술-종교적 행위들은 문화적 관습으로 이러저러하게 새로 부여된 사회적 의미에 봉사하고 있다. 혹은 사라진 것들도 많다. 그렇지만 한 해의 끝에서 아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과 모종의 행위를 함으로써 그 유대를 재확인하고자 하는 행동에서 ‘어떤 행위가 요청되는’ 감각이 살아있다는 것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종교의 외피, 역사적 외피를 벗기고 인간의 자연적 본능 수준에서 크리스마스를 들여다보는 작업은 종교와 관련된 뿌리깊은 착각을 확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종교인들이 문제야’, ‘종교는 왜 이 모양이냐’, ‘종교(적 관념)를 믿는 건 비합리적’이라는 판단은 종교 현상에 감추어진 복잡한 층위들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종교 현상은 그렇게 단순하지도 않고, 종교적 설명이나 역사적 설명만으로 이해할 수 있지도 않다.

덧>
의례 본능과 관련해서 ‘고비용 신호 가설’도 이야기해 볼 수 있다. 다만 절기 의례와 관련해서 ‘위험-예방 체계’에 집중하기 위해서 이 내용을 생략했다. ‘고비용 신호 가설’로 의례 본능을 설명하는 것은 “과도한 혹은 쓸데없는 비용이 드는 의례는 왜 지속될까”라는 글을 참고하시길.

※ 이 글은 '얼룩소'에 2022년 12월 29일에 게재했던 글이다.

댓글

  1. 일년의 각종 기념일들에 대해, 인간의 내적인 리듬과 시간에 대한 인식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20세기 역법의 변화와 전통 세시 : 서울 토박이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으신 안주영 선생님의 "시간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고찰 : 전통적 시간과 근대적 시간의 대조를 중심으로"(서울대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제19집 1호, 2013, pp. 41-82)라는 논문이 많이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상기 논문에서는 전통적 시간과 근대적 시간이라는 것이 이분법적으로 딱 나뉘어 있다기보다는 여러 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중첩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를테면 양력의 지배력이 현대 사회에서 강하게 작용하고 있지만 오히려 내적으로는 음력의 지배력도 여전히 강력하다든지, 다양한 시간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기도 하죠. 에드워드 홀의 지적처럼 어쩌면 우리는 ('시간의 마디'를 이애하기 위해) '시간 언어'를 배워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답글삭제
  2. 흥미로운 연구를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