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천문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1월 1일은 왜 새해 첫날이 되었을까?

천문학적 관점에서 볼 때 1월 1일은 참 애매한 날입니다.

지난 번에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라는 시리즈 글을 다루면서 동지가 '시간의 마디'로 인식된 측면(참고: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도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만, 천체의 움직임(태양이나 달)과 1월 1일은 사실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태양 고도의 극점(solstice)이나 평분점(equinox)은 시간 사이클 상에서 변화의 기준점 역할을 하지만 달력에는 애매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21, 22일 혹은 22, 23일입니다(2023 춘분: 3월 21, 하지: 6월 21일, 추분: 9월 23일, 동지: 12월 22일).

왜 이렇게 되었는가를 역사적 기원으로 이야기하면 율리우스력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새로운 역법을 정할 때 1년을 365.25일로 정하고(소수점 시간은 윤년으로 처리), 춘분을 3월 23일로 정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의 1월 1일이 신년의 첫날이 된 것이라고 합니다.

춘분을 4월 1일로 만들었다면 어땠을까요? 그럼 동지가 1월 1일이 되었을 겁니다. 왜 그런 선택을 하지 않았을지 궁금합니다. 천문학적 기준점을 왜 새해 첫날로 삼지 않았을까라는 의문은 계속 해소되지 않습니다.

고대 로마 달력 https://www.througheternity.com/en/blog/history/beware-ides-march-assassination-julius-caesar.html

율리우스력의 기원이 되는 이집트력을 생각해 봐야 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이집트력은 농경 생활과 천문 지식의 결합을 통해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 달력 https://historicaleve.com/ancient-egyptian-calendar/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의 범람 주기, 천문 현상의 변화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한 달을 30일, 1년을 365일(3개 계절-범람기Akhet, 발아기Peret, 추수기Shemu)로 하는 역법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1년 12달 360일에 나머지 5일은 축제일로 기렸다고 합니다.

일 년은 12달이며 일 년의 날짜 수는 360일이었다. 360일과는 별도로 5일은 당시 종교적 대상으로 믿던 ‘오시리스(Osiris)’, ‘이시스(Isis)’, ‘호루스(Horus)’, ‘네프티스(Nephthys)’, ‘세트(Seth)’ 라는 신의 생일을 축하하는 축제일로 정했다. 이와 같이 360일과 5일을 합쳐 1년의 길이를 총 365일로 정해 사용했고 오늘날과 같이 4년마다 별도로 윤년을 두지는 않았다. (이용복, 1월 1일이 새해가 된 과학적 이유 중에서)

이런 설명을 보아도 명확하게 천문현상을 기준점으로 새해 첫날을 정하지 않은 이유를 알기는 어렵습니다. 게다가 '신년의 첫날'을 3월 25일과 같은 봄이 시작되는 날로 정한 경우도 많았습니다.

로마에서도 카이사르 이전에 1월을 한 해의 첫 달로 삼은 것이 누마 왕(BCE 715-673)이라고 하는 설도 있습니다. 이러한 설명도 동지로부터 10여일 이후에 1월 1일이 시작되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해 주는 것은 아닙니다.

종교 연구자로서 하나의 가설을 생각해 봤습니다. 과거 연말-연초의 축제(동지든 춘분이든)가 10여일 가량 진행되었다는 기록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로마의 경우 동지 시기('사투날리아')에 긴 축제일을 두고 있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동지 축제를 12일간 진행했다고 합니다. 축제가 끝날 즈음 새해 첫날을 카운트한다면 대략 1월 1일에 부합합니다.

이 가설로 생각해 보면 인간에게 축제의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천문 현상의 기준점과 달력의 첫날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잉여의 시간'(혹은 애매한 시간-천문의 주기와 인간의 시간 사이의 불일치)을 신성화시킨 것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가설을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근거는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다른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년 중 해가 가장 짧은 날은 동지이지만, 해가 가장 늦게 뜨는 것은 1월 초입니다. 사람들이 부지불식간에 해가 가장 늦게 뜨는 시기를 기준으로 새해의 첫날을 삼았을 수도 있습니다.

"동지에 대해 잘못 알려진 상식들", 사이언스타임즈 https://www.sciencetimes.co.kr/

아직은 무엇이 맞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3의 답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잘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가르침을 부탁 드립니다.

참고:  1월 1일이 새해가 된 과학적 이유 , Why Does the New Year Start on January 1?


─── ∞∞∞ ───


※ 이 글은 '얼룩소'에 2022년 12월 3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댓글

  1. 다소 허무한 결론일지 모르겠지만 브리태니커 온라인 백과사전을 참고하니 1월 1일이 새해의 첫날이 된 것은 그다지 과학과는 관련이 없는데, 당시 로마에서 Janus 신은 두 얼굴을 가진 신으로서 '모든 시작과 끝'을 관장하는 신이었고, 1월을 의미하는 말이 Janus로부터 나온 'January'인 사실도 새해의 첫날로 삼기에 잘 들어맞는 거라고 여겨졌다고 합니다.

    브리태니커 백과에 따르면 January가 한 해의 첫달이 된 것은 원래 공화정 이전 시기에 로마의 누마 폼필리우스 왕이 March대신 January를 1월로 정한 것에서 기원하는데, 적어도 증거상 BC 153년까지는 1월 1일이 공식적인 새해의 첫날로 정해지지는 않았다가, 이후 율리우스력을 제정할 때 January를 계속 1월로 유지하면서, 오늘날 1월 1일이 한해의 시작으로 굳어지게 되었다고 하네요.

    https://www.britannica.com/story/why-does-the-new-year-start-on-january-1

    답글삭제
    답글
    1. *Edit : 첫 문단 끝부분의 '새해의 첫날' --> '새해의 첫달'

      삭제
    2. 위에 제가 쓴 것은 철저하고 자세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은 아니고, 브리태니커 백과에 의존한 것이에요 (그리고 이미 접하신 내용일테고요), 나중에 더 자세하고 철저한 조사를 통해서 알게 된 것이 있으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삭제
  2. 네, 로마의 달력에서 1월이 결정된 것은 그렇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제가 궁금했던 것은 동지로부터 10여일 정도 떨어진 날이 1월 1일이 된 이유입니다. 그에 대해서는 적절한 설명을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신년의 기준점이 되었던 시기는 대부분 동지, 춘/추분, 하지를 기점으로 하고 있거든요.

    답글삭제
    답글
    1. 네. 그렇군요. 이곳을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quora.com/Why-is-the-start-of-the-calendar-year-not-the-winter-solstice-Why-is-it-10-days-later

      삭제
  3. 해당 글을 통해서 제 질문이 더 명확해질 수 있겠군요. 문화적 시간이 왜 천문 사이클과 10일 차이가 있었을까,라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겠군요. (기준점이 동지였던 건 분명해 보이고, 다른 '신년일'[춘/추분 기준]도 새해의 기준점이 춘/추분에서 10여일 가량 차이가 나거든요)[트윗인용]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위로가 없는 '차가운 종교학', Science of Religion을 생각하며

※이 글은 얼룩소 글(23.7.1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라는 주제를 다루려면 '위로'가 필요하다? 이 말을 저는 곳곳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 정재승 박사가 총괄자문 및 프리젠터로 참여한 다큐 시리즈 '뇌로 보는 인간'의 마지막 '종교' 편에 제가 자문으로 참여하여 아주 짧은 시간 출연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시청률이 높았던 편이 아니라서 사람들로부터 별다른 반응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우연히 EBS 다큐를 보던 친구가 '야, 너 나왔더라...잠깐 ㅎㅎ', 이런 반응을 보인 예가 있었을 뿐입니다. 함께 자문에 참여한 구형찬 박사(인지종교학)가 종교학자로서는 메인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뇌로 보는 인간' - 종교 편의 한 장면┃저는 입을 다물고 있습니다^^ 몇 년이 지나서 그때 나왔던 미디어 비평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 미디어스 기사 캡쳐 해당 다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이런 논평을 내 놓았습니다. 미디어스 관련 기사 '위로가 없다'는 비판 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종교라는 주제를 다룰 때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곤 합니다. '종교의 본질', '참된 의미' 같은 것을 발견하고, 뭔가 진리의 말씀이나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얻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종교학도 존재합니다. '현대인의 종교는 병들었다'는 진단을 내리며 '고대인의 지혜'를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거나 모든 종교에 담겨있는 가장 고귀한 가르침(가령 황금률 같은)은 모두 상통하고 그것이 인간이 향유해야 할 소박하지만 분명한 진리라고 이야기하는 예도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출처: Wikimedia Commons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막스 뮐러는 '종교학으로의 초대(Introduction to the Science ...

"뇌 회로는 친숙한 것, 중요한 것과 단순한 배경을 식별합니다."(논문 정리)

흥미로운 신경과학 연구 소개를 봤습니다. 친숙한 것과 중요한 것을 먼저 식별하는 뇌 경로에 관한 연구입니다. '신경종교학'에 참고가 되는 논문일 것으로 판단되어,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  *  * Brain Circuit Identifies What’s Familiar, Important, or Just Background┃Neuroscience News.com 요약 : 과학자들은 기억과 감정을 통합하여 감각 정보를 빠르게 평가하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뇌 회로를 발견했습니다. 내측후각피질(entorhin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 사이의 이 직접 피드백 루프를 통해 뇌는 중요한 광경과 소리를 거의 즉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알려진 더 느린 경로와 달리, 이 회로는 관련 자극과 배경 소음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PTSD와 자폐증과 같은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발견은 뇌가 정보를 걸러내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감각 및 기억 관련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  익숙한 것을 한눈에 알아보는 뇌 회로, 해마의 비밀 우리는 왜 친숙한 얼굴이나 물건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까요? 반대로 처음 보는 것은 어딘가 낯설게 느껴지곤 합니다. 이런 능력 뒤에는 우리의 기억 이 큰 역할을 합니다. 뇌의 해마(hippocampus)라는 부분이 과거의 기억을 보관하고 있다가, 현재 들어오는 감각 정보와 비교하여 이것이 익숙한지 새로운지 판단하도록 돕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해마는 “이건 예전에 봤던 거야” 혹은 “처음 보는 거네”라는 신호를 뇌의 다른 부분에 보내 우리의 인식을 조절합니다. 이 덕분에 우리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 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미 아는 것은 배경 소음처럼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해마는 특히 대뇌피질의 한 부분인 내후각 피질 (entorhinal cortex)과 긴밀히 소통합니다. 내후각 피질은 오감에...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