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악귀’ 속 민속학자를 보는 종교학자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7.2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드라마 '악귀'에서 주인공과 함께 악귀의 비밀을 찾아다니는 염해상이라는 인물이 민속학과 교수로 등장합니다.
드라마 '악귀', 나무위키
이 때문에 관련 분야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 드라마를 보면서도 이런저런 불만을 쏟아내게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관련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는 ‘민속학자에 대한 오해’를 불러온다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 ‘종교학자’에 대한 오해가 팽배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바로 '다빈치 코드'가 큰 인기를 끌었을 때입니다.
'다빈치 코드', 책과 영화 (출처: 위키백과)

물론 '다빈치 코드'가 종교 분야에서 일으킨 관심은 주로 기독교 신학적 문제였기 때문에 '종교학자에 대한 오해'는 '다빈치 코드 논란'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했습니다(구글 등 포털에서 '다빈치 코드 논란'으로 검색해 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종교학자에 대한 오해'는 주인공 로버트 랭던(Robert Langdon) 때문이었습니다. 영화상에서 그는 하버드 대학의 예술사 및 종교 상징학 교수로 나옵니다. 이 시기에 종교학자라고 하면 종교에 감추어진 상징을 능수능란하게 해석할 수 있는 전문가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현실과는 다른 이야기죠(종교적 비의가 '사실'이며, 그 비밀을 풀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하는 연구는 객관적 학문으로 인정받기 어려우니까요). 극 중의 캐릭터가 가진 직업이 꼭 현실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Harvard: No Symbology here," New Yorker

이야기가 재미있고, 현실에서 있음직하다고 여겨지면 우리는 그 이야기를 사실처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로버트 랭던 때문에 '재밌는 종교 상징 해석학'을 하기 위해 종교학 분야에 기웃거리다가 실망하고 돌아선 사람들이 많았을 것입니다.

‘악귀’의 민속학자 이야기로 돌아가 보죠. 지인(종교학자)이 트위터에 이런 이야기를 하더군요.

<악귀> 보는데 민속학자는 아니지만 중세 민속 연구하는 종교학자(그리고 교수) 입장에서 보면, 민속학자/종교학자에게 (귀)신이 있고 없고가 중요한 게 아니라 사람들이 (귀)신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이해하고 썼느냐가 중요하다. 

교수가 일단 귀신이 나오는 데마다 쫓아다닐 시간은 없다. 회의, 문서작업, 수업, 학생지도, 다 끝나면 연구해야 한다. 물론 절도 교회도 굿판도 가지만 (귀)신을 찾는 게 아니라 인터뷰도 하고 관련 문헌도 찾아본다.

이 분야 거장 중에 온갖 초자연적인 현상들 다 수집하는 경우(자신도 신비경험 한 적 있지만) 사람들 얘기를 듣는 거지 (귀)신한테 듣는 게 아니다.
 
내가 종교학 한다고 하니 [개신교인이] 천주교인도 천국에 가냐고 묻던 질문이랑 별 차이가 없는 것이다. 종교학자가 알 수 없다. 마녀사냥 연구한다고 하면 마녀가 진짜 있는지 물어볼 기세…
(어느 종교학자의 트윗, 일부 표현은 수정하였습니다)

이 트윗을 보기 전에 다른 종교학자에게 비슷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습니다.

‘악귀’ 속 민속학자 때문에 민속학이나 종교학에 대한 오해가 생기겠어요.

국내에 민속학이나 종교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비슷한 생각을 하긴 했을 겁니다. 다만 그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런 반응이 기사화될 일은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그런 이야기에 관심이 별로 없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런 분야에 대한 오해는 해소될 길이 없습니다.

민속학이나 종교학자는 결코 '퇴마사'는 될 수 없습니다. 귀신과 유령에 대해서 이야기한다고 해도 그 존재를 '믿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축귀'에 대해서도 실제 쓰일 수 있는 기술이라고 '믿고' 연구하는 것은 학계에서 인정될 수 없습니다.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연구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민속학이나 종교학은 무슨 연구를 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out of 안중'이겠죠). 워낙 연구자마다 주제가 다양해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사람들이 믿고 실천하는 민속문화/종교문화를 기록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고, 민속문화/종교문화의 기원이나 변화를 설명하는' 일이라고 거칠게 말할 수 있습니다.

저도 귀신과 유령에 대해서 조사하고 연구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만, 존재한다고 믿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령 '왜 세상의 언데드/귀신/유령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죽은 존재'라는)'를 규명해 본다든지, '귀신/유령 같은 존재에 대한 관념의 기원은 무엇일까?', '귀신에서 언데드로 인기있는 초자연적 존재의 변화는 어떤 문화사적 함의를 갖는가?', '한국 사회에서 좀비의 유행이 갖는 문화사적 의미는 무엇일까?' 같은 문제를 다루는 것입니다.
'백일의 낭군님'의 "지금 나만 불편한가" 짤 수정

어쨌든 인기 영화, 드라마에서 민속학자나 종교학자가 어떻게라도 주목되면 이런 비인기 분야에 대한 관심이 ‘반짝’ 높아지는 효과가 생기기도 합니다. 구글링을 해 보면, 다빈치 코드가 인기를 끌었을 때, 영국의 한 대학에서 ‘종교 교육’ 강좌 수강생이 증가했다는 글을 볼 수 있습니다("Why The Da Vinci Code is making RE lessons so popular"). 해당 내용을 소개하는 글에서 한 교사는 이렇게 말합니다.

안타깝게도 종교에 대해 가장 논란이 많은 부분이 주목을 받지만, 학생들이 종교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무엇이든 환영해야 합니다.

뭐 이런 것이죠.

악플이 무플보다 낫다

그런데 민속학은 '다빈치 코드'의 로버트 랭던의 전공(상징학 및 예술사)과 마찬가지로 '현실에는 없는 학과'가 되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또 TMI이긴 합니다만, 한국에는 현재 어느 대학에도 '민속학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중앙대와 안동대 민속학과가 그동안 명맥을 이어오다가 중앙대는 2013년에 '비교민속학과'를 폐과했고, 안동대는 2023년부터 민속학과를 '문화유산학과'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비인기 분야라서 신입생 수급이 어려워서 그렇습니다.

종교학도 비슷한 분위기입니다. 서울대와 서강대, 한신대 등에 관련 학과가 있습니다만, 교육 개혁 과정에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높아 보입니다. 드라마나 영화의 인기가 아니라 정말 귀신이나 유령이라도 튀어 나와야 상황이 바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변화'를 모색해야 할 시기일 겁니다.

어찌 되었든 인기 있는 드라마에서 '민속학자'가, 설혹 귀신을 쫓고 있다고 하더라도 호명된다는 게 값지게 느껴지는 시대입니다. 민속학의 이웃 분야 전공자이지만, 김은희 작가님께 감사를 표하고 싶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