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챗GPT로 전문자료 탐색시에 반드시 크로스 체크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글의 원래 제목은 "챗GPT로 잘 모르는 분야 탐색시에 반드시 크로스 체크"라는 것이었는데, 더 적합한 것은 '전문자료 탐색'이 맞을 것 같아서 제목을 수정하였다.


─── ∞∞∞ ───


요즘 챗GPT로 이것저것 해보고 있습니다.


최근에 '디지털 인문학' 관련해서 공부를 하다가,
"세르누다의 『현실과 욕망』에 관한 디지털 인문학적 분석 시도-전기 시와 후기 시의 어휘적 특성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을 보게 되었습니다.

https://www.bestialectora.com/2021/09/biografia-de-luis-cernuda.html

세르누다(Luis Cernuda Bidón, 1902~1963)는 스페인 시인입니다. 이 논문을 보기 전까지는 몰랐던 사람입니다. 

위 논문은 이 분의 시집  『현실과 욕망(La Realidad y el Deseo)』(1924-1962)을 다루고 있습니다. 시집을 텍스트 분석 기법(빈도값 측정, 감정 분석, 공기어 분석)으로 분석해서 그의 망명 이전 시와 이후 시 사이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세르누다 시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지만, 시집이 나온지 오래 되었으니 그의 전기 시와 후기 시 사이의 차이에 대해서는 이미 밝혀져 있을 걸로 추정이 되었습니다. 이걸 챗GPT에 물어 보았습니다. 

Q: 세르누다 시의 전기와 후기 사이의 차이를 알려줘.

A: 루이스 세르누다(Luis Cernuda)는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스페인의 시인이자 문학 비평가이다. 그의 작품은 크게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 시기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후자 시기는 194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였다.

전자 시기에 세르누다의 시는 환멸감과 개인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열망으로 특징지어졌다. 이 시기의 그의 시들은 사랑, 상실, 인간의 상태에 대한 주제들을 탐구했고, 자기 성찰적이고 내향적인 느낌으로 특징지어졌다. 이 시기의 세르누다의 시는 문학에 대한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접근으로 유명한 스페인 시인과 지식인들의 모임인 '27세대'의 일원으로서 그의 경험에 영향을 받았다.

세르누다의 생애 후반기 동안, 그의 시는 더 정치적이 되었고 그 시대의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관여했다. 이 시기의 그의 시들은 종종 망명, 이주, 스페인 내전의 여파를 주제로 다루었다. 이때부터의 세르누다의 시는 프랑코 정권에 대한 반대로 스페인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의 고향에 대한 향수와 그리움이 두드러지기도 했다. ...

위 논문의 독창성을 확인하고 싶어서 챗봇에 물어봤던 겁니다. 관련 분야 전문가라면 사전지식으로 판단할 수 있었겠죠. 

위 논문의 텍스트 분석 결과와 크게 차이가 없었습니다. 후기 시에서 '죽음'이라는 단어 빈도가 높았다는 점은 챗GPT가 이야기하지 않았습니다만.

위 내용은 신뢰할 만하게 보였습니다. 한 발 더 들어가서, 위의 내용을 담은 논문이 뭐가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그러자 세 논문을 소개해 주었습니다. 각 논문의 핵심 내용에 대한 설명도 해 줬습니다. 여기엔 서지만 옮겨 봤습니다.

  • "Luis Cernuda: The Poet of Exile" by David Arthur McMurray (published in The Modern Language Review, Vol. 87, No. 1 (Jan., 1992), pp. 143-155). 
  • "The Poetry of Luis Cernuda: Between the Avant-Garde and the Tradition" by Beatriz H. Rueda (published in Hispania, Vol. 79, No. 1 (Mar., 1996), pp. 35-44). 
  • "Nostalgia, exile and poetic identity in the work of Luis Cernuda" by José Luis Gómez Martínez (published in Bulletin of Hispanic Studies, Vol. 75, No. 2 (1998), pp. 173-185). 

그런데 말입니다.

이 세 논문은 모두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제가 못 찾은 것일 수도 있지요. 실제로 존재한다면 google scholar 같은 데에서 검색이 되어야 할 텐데, 나오지 않더군요.

위에 언급된 저널들은 실제 존재하는 저널입니다. 그래서 해당 저널의 호수를 찾아서 확인해 봤습니다. 그런데 제시된 호수의 페이지에 다른 글이 실려 있었습니다. 가령 하나만 보면, 맨 아래  Bulletin of Hispanic Studies 75권 2호의 173페이지에 실린 글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liverpooluniversitypress.co.uk/doi/10.3828/bhs.75.2.173

네, 전혀 다른 논문이죠.

https://chat.openai.com/chat

챗GPT 사용자 화면에 'Limitations' 항목 첫 번째에 이렇게 적고 있죠. '때로 잘못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 생성 능력도 대단하군요!

챗GPT가 알려주는 논문, 참고서지는 믿을 게 못 된다는 걸 확인하는 계기였습니다. 정말 그럴 듯하게 만들어 주긴 하는데 말이죠... 자료 찾을 때 활용한다면 반드시 크로스 체크가 필요한 듯합니다. 제 느낌에는 전문자료 찾아달라는 건 다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 ∞∞∞ ───


2024년 7월 2일 추가>

현재 ChatGPT-4o나 Claude 3.5로 전문자료를 찾으면, 실제 존재하는 유용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6,70% 정도는 된다. 여전히 일부 hallucination이 있지만, 훨씬 쓸만해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댓글

  1. 최근에 설교를 chatGPT를 이용해서 작성하는 목회자들도 많아지고, 각종 신학적 종교적 질문에 대한 답을 chatGPT를 통해서 얻는 종교인들도 많다고 합니다. 그 답을 100%신뢰할 수는 없겠지만, 사실상 이런 AI 생성 답안이 종교적인 문제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로 보입니다. 모든 목회자나 신자가 답의 신빙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크로스체크를 하지는 않을 테지요.

    앞으로 인공지능이 종교에 영향을 더 미치는 일은 있어도, 과거로 돌아가는 일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과연 이 시대의 종교는 어떤 모습으로 변화할지, 혹은 종교의 종말을 맞이하고 다른 무언가가 등장하게 될지, 무척 흥미로운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읽고 이렇게 코멘트 달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