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위령제인 게시물 표시

우리는 사회적 죽음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추모제와 위령제, 그 미묘한 차이

※이 글은 얼룩소 글(23.5.18)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4월에서 6월은 많은 사회적 죽음을 생각하는 시기입니다. 출처: https://m.segye.com/view/20200915514522 사회적 죽음을 다루는 사회적/종교적 의례에 추모제나 위령제라는 말이 붙습니다. 추모제와 위령제는 죽은 사람들을 위한 의례라는 점에서 큰 차이가 없는 개념입니다. 추모제는 '기억'과 '기념'에 초점이 맞춰진 이름이라면, 위령제는 '죽은 자를 위로한다'는 의미가 두드러지는 이름입니다. 그런데 이 강조점의 차이는 의례의 목적 상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추모제와 위령제는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만...  담양군 가마골 위령제 (출처: http://jnnews.co.kr/m/view.php?idx=8357) 아산시 추모 위령제 (출처: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111291344431840393) 명백하게 다르게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학살된 개들을 위한 위령제 (출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40817355076689) 실험동물 위령제 (출처: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26218) 동물 대상으로는 '추모제'라는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일견 당연합니다. 기억과 기념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위령제는 사람, 동물 가리지 않고 쓸 수 있습니다. 그 죽은 영혼을 위로하고 좋은 곳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의식을 지칭하기 때문입니다. 추모제와 위령제의 약간의 차이 추모제는 주로 사회적으로 기억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죽은 자를 위한 의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억의 목적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를 들자면, 먼저 순국선열을 위한 추모제입니다. 그들의 숭고한 희생이 살아 남은 자들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러한 ...

국가가 주도하는 추모 방식의 기괴함│추모가 아닌 위령제라고 봐야

정부가 10.29 핼러윈 참사 * 이후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합동 분향소도 정부 주도로 만들면서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지침을 내려 논란이 일고 있다.  *   고려대 국문과 신지영 교수는 11월 3일 TBS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이태원 참사'보다 '10.29 참사'로 쓰는 게 적절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 실상이야 '책임 회피'라는 것은 명확한 것인데, 일부 사람들은 어떤 종교적 배경을 의심한다. 사람들은 '살(煞)'에 관한 민속신앙을 떠올리고 있다. 이마의 검은 칠이나 위패가 없는 것도 한 '법사'가 배후에서 지도하는 것이 아닌가 의심을 하고 있다. 합동 분향소는 이제까지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적은 없었다. 세월호 합동 분향소와 비교해 보면 명백하다. 사진과 위패를 같이 놓고 있다. 위패에는 이름이 적히기 마련이다. *    *    * 종교학 공부인으로서 이 문제를 곰곰이 생각해 봤다. 분향(焚香), 말 그대로는 '향을 불태운다'는 의미이다. 분향을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초혼(招魂)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한국만의 관습은 아니다.  가령 기독교 경전을 보면, 민 16: 35, 왕하 12:3, 대하 13:11, 렘 1:16, 호 11:2, 눅 1:9-10 등에서 신적 존재에게 분향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야훼가 아닌 다른 신에게 분향하는 것을 문제 삼는 내용들이 많이 나온다. 향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물리적 성질(연기가 위로 올라가며 사라진다)을 사람들이 영적 존재와 연결시켰던 것인데, 이에 대한 직관적 상상은 지역적-문화적 범위를 넘어서 인류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초혼과 강림 우리에게 익숙한 관념은 분향을 해서 혼령을 부른다고 해서 그 부르는 곳으로 혼령이 올 수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 해당 혼령을 특정할 수 있는 요소가 필요한데, 이름이나 사진 혹은 유품이 될 수 있다. 이런 사고방식도 한국적인 것 만은 아니다. 우리는 통상 민간신앙 같은 것으로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