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망자의 날인 게시물 표시

만우절 장난과 빙의의 관계 │ 놀이와 주술적 사고의 관계

※이 글은 얼룩소 글(23.4.1)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https://www.bbc.co.uk/teach/school-radio/primary-school-assemblies-collective-worship-ks2-april-fools-day/z9ttxbk 전에 쓴 "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이라는 글에서 만우절이 신년 의례였다는 것을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만우절과 관련된 내용만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만우절은 봄을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는 관습의 산물로 보인다. 서구의 ‘만우절’은 16세기 후반에 프랑스에서 신년 첫 날을 1월 1일로 정리하면서(Édit de Roussillon, 1564) 공식 신년 기념일과 지방의 관습이 어긋나게 된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명하다.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각 지역 신년 기념일에 대한 기록을 보면, 어디는 크리스마스(12월 25일), 어디는 3월 25일, 어디는 부활절이었다. Édit de Roussillon이 반포될 때 프랑스 지역별 신년 기념일. 지도 구글맵, 자료 'Edict of Roussillon', Wikipedia.com 4월 1일은 3월 25일에 시작하는 춘분 축제와 관련된 날짜다. (캘린더의 1일은 시간의 시작일로 적합하다. 1주일의 축제가 끝나면 4월 1일이 된다. 동지 축제가 시작되는 12월 25일에서 일주일 쯤이 흘러 1일이 시작되는 날은 1월 1일이다. 참고: 천문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1월 1일은 왜 새해 첫날이 되었을까? ) 1월 1일을 신년 첫 날로 정하면서, 4월 1일은 신년으로서의 의미가 퇴색되었다. 유럽의 다른 신년 축제 때, 장난 같은 일들이 벌어진다(중세 크리스마스 때 '바보들의 축제'. 참고: 기독교 시대의 크리스마스도 연말 잔치 느낌 ) 만우절을 특징짓는 ‘장난’, ‘농담’, ‘악의 없는 거짓말’ 등이 여러 신년 의식에서 나온 행동 양식과 비슷하다. 만우절 장난은 액...

핼러윈 축제의 기원은 무엇일까? 역사 속에 감추어진 본능을 찾아서

만성절(All Saints' Day)로 알려진 핼러윈 * 이 머지않았다. 누가 귀신과 유령이 출몰하는 날로 믿을까만 21세기 유흥 소비 시장에서 여전히 각광을 받는 축제일이다. * 핼러윈(Halloween)의 한국어 표기에 대한 논란이 있다. 통상 '할로윈'을 많이 쓰나 '핼로윈'을 쓰기도 한다. 로마자 표기 규칙에 따르면 핼러윈이라고 한다. 참고1 , 참고2 . 한국 사람들에게 핼러윈은 그리 친숙한 축일은 아니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향유하는 문화가 자리 잡아가는 것 같다. 핼러윈으로 떠들썩한 곳이 서울 등 몇몇 대도시의 주요 유흥가인 것으로 보면 말이다. 이 날의 기원이 무엇인가가 핼러윈을 기념하는 사람들의 관심사는 아니겠지만 호사가의 관심사는 될 수 있을 것이다. ─── ∞ ─── 핼러윈 축제는 고대 켈트족의 사우인(Samhain) * 축제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에 따라서 '모닥불을 피우고 유령을 쫓기 위한 의상을 입는' 축제로 여겨지기도 하고, '무덤이 열린다고 여겨지는 날 모여서 축제하는 날'로 여겨지기도 한다. * 한국에서 이 발음을 '삼하인'으로 적는 경우가 많지만 본래 발음대로 적으면 '사우인'이다. 날짜로는 11월 1일(현대 달력 기준)을 말하는데, 통상 그 전날 밤부터 시작된다. 고대 켈트족 시간관은 해가 질 때 날짜가 바뀐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 11월 1일은 '겨울의 시작' 혹은 '새해 첫 날'로 간주된다고 한다. 하루의 시작도 일몰 이후로 보니, 한 해의 시작도 겨울부터 꼽는 듯하다. ** * Ó hÓgáin, Dáithí. Myth Legend and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 Prentice Hall Press, 1991. p. 402.  ** 켈트족은 한 해를 빛의 반년과 어둠의 반년으로 나누었다고 한다. 어둠의 반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