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종교문화인 게시물 표시

신님과 스마트폰으로 통화하는 상상, 어떻게 봐야 할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7.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디지털 시대의 종교(문화)는 어떻게 바뀔까? 스마트폰이 없이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이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이 되면서 우리 삶의 많은 모습이 과거와는 크게 달라졌습니다. 종교(문화)에서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그 변화의 방향을 많은 학자들은 이렇게 예상했습니다.  가상 체험이 현실 체험을 압도하여 종교 활동도 디지털 기반으로 크게 변모할 것이다. 그런 시각에서 '디지털 종교' 혹은 '가상공간 속 종교'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종교 활동도 온라인으로 하게 되면서 가상의 공간에서 종교적 체험을 하는 시대가 펼쳐질 것이고, 현실 세계의 경험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하이퍼리얼리즘'을 구현하여 새로운 종교 소비 시장이 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습니다. 그런 변화에 발 맞추어 가상 세계에 종교의 성지를 구축하여 사람들이 사이버 순례를 경험하게 한다든지, 사이버 종교 공간에서 사람들이 종교적 의식을 경험하게 한다든지 하는 서비스들이 등장했습니다. 그렇게 종교계에서 가상 세계의 종교적 공간이라고 몇몇 사이트를 만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그러한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서 성지 순례를 한다거나 특별한 종교적 체험을 하는 경우는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그런 예측은 인터넷 가상공간에 현실의 종교를 옮겨와 상상한 것에 불과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종의 관념론이었던 것이죠. 메타버스도 망해가는 판국인데 사람들이 온라인 상에서 종교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할 리가 없지요. 애플의 '비전 프로', 출처: 디일렉(The elec)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1443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경험하게 해 주는 기기를 쓰고서 사람들이 게임과 재밌는 영상, 혹은 자극적인 어떤 활동을 포기하고 종교적 체험을...

델포이 신전, 종교문화의 지층을 보여주는 사례┃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3)

※이 글은 얼룩소 글(23.6.1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https://www.john-uebersax.com/delphi/delphi1.htm 지금까지 '델포이 신전의 E 심볼'과 관련된 흥미로운 학계의 논의를 두 차례에 걸쳐 살펴봤습니다. 델포이에서 아폴로는 테미스를 쫓아냈을까?┃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1) - 베이츠의 가설 '델포이 신전의 작은 옴파로스'는 옴파로스가 아니다?┃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2) - 부스케의 가설 '너 자신을 알라'라는 유명한 격언의 출처를 탐색하다가( '너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라... ) 델포이 신전과 관련된 각종 흥미로운 이야기들(E 심볼, 옴파로스, 대지의 여신 등)을 보게 된 김에 관련 내용을 정리해 오고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는 '부스케'의 가설에 비판적 입장을 보여준 '드 보어(Zeilinga de Boer, 1934-2016, 미국 지질학자)'의 논의를 중심으로 해서 'E 심볼의 비밀'은 어떻게 되고, 델포이의 본래 신앙이 대지의 여신에 기초했던 것인지에 대해서 다룹니다. 델피의 작은 '옴파로스'에 관한 수수께끼 옴파로스에 대한 드 보어의 논문과 드 보어(인물 이미지 출처: https://patch.com/connecticut/middletown-ct/obituary-jelle-zeilinga-de-boer-longtime-teacher-wesleyan-university) 부스케의 시나리오를 다시 말씀 드리면요. 기독교 역사 초기에 프로스퀴니타리(작은 성소)의 돔으로 사용 된 구조물이 나중에 카스트리 지역(델포이의 옛 이름)의 벽이나 건물 수리에 사용되어 그 일부가 되었다가 산사태 또는 마을 철거 중에 어떻게든 사원의 셀라(cella)로 들어갔다. 20세기 초 이 돔이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작은 옴파로스'로...

종교학 공부인의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 읽기

혼자 책을 읽을라 치면 이런저런 핑계를 대고 미루기 마련이다. '디지털 종교학' 관련 글을 쓰려고 샀다가 책장에 고이 모셔만 놨었는데, 같이 공부하는 세미나팀에서 이번에 읽기로 해서, 묵힌 숙제를 털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이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리적 정보만 보여주는 지도가 아니라 다양한 정보와 결합시킨 지도, 부제가 표시하듯이 '세상을 읽는 데이터'가 덧입혀진 지도를 보여주고 있다. 모든 데이터가 지리적 지도에 표시된 것은 아니었다. 그저 데이터 시각화 사례로 이야기할 수 있는 것들도 있었다. 이 책은 코로나19가 전지구적 전염병으로 떠오르던 시기에 마무리 작업이 이루어졌고, 그 분위기를 머리말에서 느낄 수 있다.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시각화 지도로 시작한다. 머리말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지리정보학) 제임스 체셔(James Cheshire)에 의해서 쓰였다.  서문 은 이 책을 만들게 된 핵심적 아이디어를 참조가 된 메시지와 연구 사례를 통해서 제시한다.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다음 말로 장이 시작된다. 보이지 않는 것 에 관하여 우리는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비교적 확실하게 그 존재를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을 표현하려면 유추하는 수밖에 없다.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만 눈에 보이는 방식으로만. -게르하르트 리히터 MIT 학생 케이티 보먼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블랙홀 촬영,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실험도 보이지 않는 것을 우리 눈으로 확인한 사례로 언급한다.  그렇지만 서문 내용 중에서 가장 중요한 참고 사례는 바로 자연철학자 훔볼트가 시도한 지도 시각화 사례였다. 실제로 그 작업을 구현한 것은 하인리히 베르크하우스였다. 훔볼트는 그에게 "전 세계 식물과 동물의 분포, 강과 바다, 활화산 분포, 자기 편각과 복각, 자기에너지 세기, 바다 조류, 기류, 산맥, 사막과 평원, 인종 분포, 산 고도와 강 길이 등을 표시한 지도"를 만들어 달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