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오귀인인 게시물 표시

'너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다

※이 글은 얼룩소 글(23.5.4)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너 자신을 알라'Know thyselfγνῶθι σεαυτόν [gnōthi seauton]  https://exploringyourmind.com/the-origin-of-the-famous-saying-know-thyself/ 이 말은 여전히 소크라테스가 한 말로 여겨지기도 합니다만, 소코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라는 것도 제법 알려져 있습니다. http://maincontents.com/bbs/board.php?bo_table=card_news&wr_id=22, https://www.youtube.com/watch?v=XgL8hpCvyyM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 앞 기둥'에 새겨진 글귀가 그 출처라고 하죠. 그 이상의 출처 찾기는 낯선 문제이긴 하지만, ' Know thyself '(영어 위키)만 보더라도 델포이 신전에 새겨지기 전에 '어떤 발화자'가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 제법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소크라테스 외에 이 격언의 지은이로 여겨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살펴볼까 합니다. 본래의 출처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격언을 말한 것으로 여겨진 고대 그리스의 현자들에는 프리에네의 비아스(Bias of Priene), 스파르타의 킬론(Chilon of Sparta), 린도스의 클레오불로스(Cleoboulos),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 케나이의 미손(Myson of Chenae), 미틸레네의 피타코스(Pittacos), 피타고라스(Pythagoras), 아테네의 솔론(Solon), 밀레토스의 탈레스(Thales) 등이 있습니다. "삶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자신을 아는 것이다" - 탈레스 https://knowyourmeme.com/photos/1151984-philosophy 격언을 만든 사람을 '칠현자'로 ...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헤밍웨이가 한 말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정말 그런가?│오귀인 사례 (3)

이 글은 2017년 6월 19일에 작성된 글을 수정하여 올린 것이다. ━━━ ∞∞∞∞∞∞ ━━━ 이미지 출처: theunivisted.in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 헤밍웨이. 과연 그런가? 나는 왜 이런 생각을 했던가? 영화 '코치 카터'의 경험 , 네팔 지진 고아 사진 (실제로는 베트남 아이들)에 대한 경험이 그런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만들었다.  사람들에게 유행하는 기억은 '전형화'라고 불릴 수 있는 어떤 수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인용구도 그런 특성에 따라 출처가 구성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세상에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나만은 아니었다. 구글에서 검색해 보니 대번에 이런 게시물을 볼 수 있었다. 들어가 보면 이렇다. 옆에 붙어있는 광고에는 '헤밍웨이는 그것을 말하지 않았다'는 책이 소개되고 있다.  문제의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라는 글을 보면, 인용 조사자에게 이 말을 누가 한 것인지 묻는 질문이 나온다.'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순화한 번역임), 이 말을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했는지, 아놀드 새뮤얼슨이 했는지, 버나드 맬러머드가 했는지, 아니면 출처가 불분명한지 묻는다.  이런 물음은 이 사이트의 전형적인 '형식'이 아닌가 싶다. 저렇게 사람들을 나열하면서 하는 질문자라면 이미 답을 알고 있을 사람이 아닌가 싶다. 어쨌든 헤밍웨이 산문의 문체, 여백과 직설이 여러 번 초고를 고쳐 써서 얻었기에 '모든 초고는 쓰레기'라는 말이 그에게 돌려지고 있다고 한다. 인용조사자는 답변을 한다(이하 거의 번역에 가까움). 헤밍웨이는 1964년 사망했다. 아놀드 새뮤얼슨은 헤밍웨이 사후에 헤밍웨이에 대한 회고록(1984), '헤밍웨이와 함께: 키웨스트와 쿠바에서의 한 해(With Hemingway: A Year in Key West and Cuba)'라는 글을 출간했다.  해당 글에서 헤밍웨이가 ...

네팔 지진 고아로 알려진 사진 속 주인공이 베트남 아이들이었던 반전│오귀인 사례 (2)

이 글은 2015년 5월 8일에 작성된 글을 약간 수정한 것이다. ―― ∞∞∞∞∞∞ ―― 얼마전 BBC기사에서 봤던 사진, 처음에 봤을 때 네팔 지진 피해로 부모를 잃은 아이들이 겁에 질려 있는 모습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해당 기사("Haunting 'Nepal quake victims' photo from Vietnam")를 보면, 이 아이들 사진은 Na-Son이라는 베트남의 프리랜서 사진작가가 한 마을에서 찍은 것이라고 한다. Na-Son은 그의 트위터에 이렇게 밝혔다. 이것은 Ha Giang 지방에서 2007년에 촬영된 베트남의 Hmong족 아이 둘에 관한 내 사진이지, 네팔에 관한 게 아닙니다. 오해, 유언비어, 사람들의 몰상식? 사람들의 '오해'로 해괴한 헤프닝이 벌어졌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위 BBC기사를 보면 이 사진이 2011년에 발생한 '시리아 내전' 때도 '시리아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아이들'로 유행했던 전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진의 아이들은 고아들이 아니었다. 사진작가의 설명에 따르면, 먼 곳으로 부모는 일을 나가 있었고, 아이들은 집 앞에서 놀고 있었다고 한다. 낯선 사람(사진작가)이 다가오니 여자 아이가 무서워하며 오빠에게 안긴 것이고, 큰 아이도 약간의 불안을 보이면서 동생을 안고 있는 모습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미 말했다시피 이 사진을 시리아 내전의 전쟁고아, 네팔 지진 고아의 모습으로 유통시켰다. 악의적으로 이 사진을 이용하는 몇몇 사람들에 의해 여러 사람들이 부화뇌동해서 벌어진 일이라고 설명해 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뭔가 인간 본성적 차원의 기제가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왜? 비슷한 사건이 반복되었기에.   이거 어디서 본적 있어 예전에 영화 <코치 카터>의 명대사, "Our deepest fear"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다("Coa...

'Our deepest fear' speech와 넬슨 만델라│오귀인 사례 (1)

'Our deepest fear'는 영화 〈코치 카터〉(2005)에서 티모 크루즈가 한 대사로 처음 접했다. 뭐 이래 멋있는 말이 다 있어? 영화 〈코치 카터〉의 한 장면 대사는 무척 길다. Timo Cruz: 'Our deepest fear is not that we are inadequate. Our deepest fear is that we are powerful beyond measure. It is our light, not our dark that most frightens us. Your playing small does not serve the world. There is nothing enlightened about shrinking so that other people don't feel insecure around you. We are all meant to shine as children do. It's not just in some of us; it's in everyone. And as we let our own lights shine, we unconsiously give other people to do the same. As we are liberated from our own fear, our presence automatically liberates others.' so I just wanna say thank you. You save my life.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은 우리가 무능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은 우리 자신이 측정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를 정말로 두렵게 하는 것은 우리의 어둠이 아니라 우리의 빛입니다. 당신의 소심한 행동은 세상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당신이 주위의 다른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움츠리는 데에 깨달을 만한 것은 없습니다. 아이들이 그러듯이 우리 모두는 고유한 빛을 발하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