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액막이인 게시물 표시

기독교의 부적, 우상숭배가 아니라 기본 장착된 것

'부적'이란 말이 쓰이면 왠지 기성 종교와 관련되지 않은 것처럼 느껴진다. 우리에게는 무속이나 점복을 이야기하는 맥락에서 언급될 것 같은 말이다. 그런데 '부적'의 일반적인 의미를 고려해 보면, 어느 종교에서나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심지어 종교 밖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서 '부적'이란 말의 의미를 짚어 보자. 한자어로서 '부적(符籍)'은 근대 이후에 등장한 말로 보인다. 과거의 기록, 가령 '조선왕조실록'이나 '동국세시기'(1849년)를 보면 '符'나 '帖'으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표현들은 부적 역할을 하는 대상의 표현 방식, 물질적 상태, 사용 방식 등을 나타내고 있다. 글자의 의미를 고려하면 '부적'은 주술적 의미를 가진(액을 막거나 악귀를 쫓는) 문자가 쓰여진 종이로 어딘가에 붙이거나 소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부적은 그런 종이만을 말하지 않고 주술적 의미를 가진 상징물 일반을 칭할 때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런 의미의 용어라면 '주구(呪具)'나 '주물(呪物)'이라고 하는 말이 있기는 하다. 요즘 유통되는 '수능 부적'류 (출처: https://www.idus.com/w/product/33de1b97-57a1-43cf-b246-a8145d4c366d) 영어로 부적에 해당하는 말은 talisman, amulet, charm이 있다. 의미상으로 큰 차이가 없는 말이다. 다만 어원론 상의 차이가 있다. 탈리스먼은 아랍어 tilsam, 비잔틴 그리스어 telesma에서('완성'이라는 의미), 애뮬렛은 라틴어 amuletum(저주나 질병에서 보호하는 것)에서, 참은 노래나 주문

핼러윈 축제의 기원은 무엇일까? 역사 속에 감추어진 본능을 찾아서

만성절(All Saints' Day)로 알려진 핼러윈 * 이 머지않았다. 누가 귀신과 유령이 출몰하는 날로 믿을까만 21세기 유흥 소비 시장에서 여전히 각광을 받는 축제일이다. * 핼러윈(Halloween)의 한국어 표기에 대한 논란이 있다. 통상 '할로윈'을 많이 쓰나 '핼로윈'을 쓰기도 한다. 로마자 표기 규칙에 따르면 핼러윈이라고 한다. 참고1 , 참고2 . 한국 사람들에게 핼러윈은 그리 친숙한 축일은 아니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향유하는 문화가 자리 잡아가는 것 같다. 핼러윈으로 떠들썩한 곳이 서울 등 몇몇 대도시의 주요 유흥가인 것으로 보면 말이다. 이 날의 기원이 무엇인가가 핼러윈을 기념하는 사람들의 관심사는 아니겠지만 호사가의 관심사는 될 수 있을 것이다. ─── ∞ ─── 핼러윈 축제는 고대 켈트족의 사우인(Samhain) * 축제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에 따라서 '모닥불을 피우고 유령을 쫓기 위한 의상을 입는' 축제로 여겨지기도 하고, '무덤이 열린다고 여겨지는 날 모여서 축제하는 날'로 여겨지기도 한다. * 한국에서 이 발음을 '삼하인'으로 적는 경우가 많지만 본래 발음대로 적으면 '사우인'이다. 날짜로는 11월 1일(현대 달력 기준)을 말하는데, 통상 그 전날 밤부터 시작된다. 고대 켈트족 시간관은 해가 질 때 날짜가 바뀐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 11월 1일은 '겨울의 시작' 혹은 '새해 첫 날'로 간주된다고 한다. 하루의 시작도 일몰 이후로 보니, 한 해의 시작도 겨울부터 꼽는 듯하다. ** * Ó hÓgáin, Dáithí. Myth Legend and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 Prentice Hall Press, 1991. p. 402.  ** 켈트족은 한 해를 빛의 반년과 어둠의 반년으로 나누었다고 한다. 어둠의 반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