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이윤석인 게시물 표시

《홍길동전》을 둘러싼 논란│허균이 지은 게 아니다? 최초의 한글소설이 아니다?

유튜브 알고리즘 덕분에 2018년 한글날 즈음 방영된 정재환 교수의 강연을 보게 되었다. 여기에서 이런 장면을 봤다. 어쩌다 어른 2018년 '한글날 특집 방송'의 한 장면 576돌 한글날을 맞아 '홍길동전'이 다시 호명될 수도 있겠다 싶었다. 그런데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소설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논란이 국문학계에서 꽤 오래전부터 제기되었다. 그런 이야기가 별로 확산되지 않았다는 게 신기할 노릇이다. 아니면 관련 연구가 인기가 없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의적에 대한 조사를 하다가 국문학계의 관련 논의를 접하고 과거 블로그에서 글을 썼던 게 있다. 그것을 조금 수정하여 실어 놓는다. ━━━━━━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홍길동전》 허균 작자설, 아니 설이 아니라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이 이야기는 의외로 근거가 확실하지 않다.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최초의 기록 1674년 간행된 이식의 『택당집』에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이 거의 유일한 근거라고 한다.  『택당선생별집(澤堂先生別集)』15, 「산록(散錄)」 허균은 또 《수호전》을 본떠서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짓기까지 하였[다.] 번역 출처: 한국고전종합DB 이 언급을 하는 맥락을 보면 '위조된 책'이나 '이설의 횡행'을 비판하면서 그 일례로 '수호지'를 언급하고, 그와 유사하게 지어진 '홍길동전'을 이야기한 것이다. 허균이 그런 허무맹랑한 이야기를 좋아하고 '홍길동전' 같은 '이설'을 떠드니 반란 혐의로 사형 당한 것이 어찌 그 응보가 아닐까 하고 말하는 것이다. '홍길동전'이 언급된 그 단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상에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수호전(水滸傳)》을 지은 사람의 집안이 3대(代) 동안 농아(聾啞)가 되어 그 응보(應報)를 받았는데, 그 이유는 도적들이 바로 그 책을 높이 떠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