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미신은 스팀팩?!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2월 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은 스팀팩이다?'
스타크래프트의 '스팀팩'
미신적 관념과 행동은 실제 현실의 인과관계가 아니라, 유사와 인접의 관념연합적 원리에 근거한 상상된 인과관계를 이용합니다. 행위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고자 하는 상상된 인과관계를 활용하는 것이 미신 행동의 요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상된 인과관계(헌 이빨 줄게 새 이빨 다오)를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직접적인 변화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 행위자의 심리 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긍정적 생각을 만들어 내는 주요한 방식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통제감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인류학적 관찰 사례로 유명한 것은 말리노프스키가 트로브리안드 섬 사람들의 고기잡이 주술 의식에 관해서 기록한 것입니다.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Map-of-the-Massim-region-showing-the-location-of-Rossel-Island-with-an-inset-showing-the_fig1_324321831
말리노프스키는 트로브리안드 섬 사람들이 “강력한 파도나 태풍, 암초”의 위험요소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배를 만들고, 첫 항해를 하고, 배에서 고기를 잡는 과정 내내 주술적인 의식을 하며, 정말 위험한 순간이 닥쳤을 때도 주술에 의존”하는데 반해서 근해에서 하는 안전한 어로 활동 시에는 주술 의식을 거의 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통제감의 효과

통제감을 갖는 것의 긍정적 효과는 좀 오래된 연구이긴 하지만 주디스 로딘과 엘런 랭어의 연구(1976)*를 들 수 있습니다. 요양원에 있는 노인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뭐든지 원하는 걸 할 수 있다고 안내하며 시설 거주자(노인 자신)의 책임을 강조하였고, 두 번째 그룹은 시설 내 활동의 자유와 함께 거주자들에 대한 시설 직원의 책임을 강조하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식물을 기를 기회를 줄 때도 첫 번째 그룹의 노인들은 자율성과 책임이 본인들에게 있다는 안내를 받았고, 두 번째 그룹은 직원들이 대신 키워준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3주 후에 보니 첫 번째 그룹이 두 번째 그룹에 비해서 더 행복하고 건강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의 노인들은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훨씬 사교적이며, 외출도 자주 했다고 합니다. 18주 후에 추적 조사를 해 보니, 여전히 첫 번째 그룹의 노인들이 더 행복하고 건강했는데, 사망률에서 놀랄 만한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첫 번째 그룹에 비해서 두 번째 그룹이 두 배의 사망률(15%: 30%)을 보였다고 합니다.

통제감과 생존성 사이의 관계는 이런 연구로 확인이 됩니다만, 미신과 통제감 사이의 관계를 규명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위의 연구가 직접적으로 미신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간접적’으로 미신의 효과를 생각해 볼 수 있게 해 주는 연구일 따름입니다.

미신과 통제감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통제감과 미신 행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봐야 합니다. 토머스 더들리(Thomas Dudley, 1999)**는 풀 수 없는 문제(퍼즐)에 직면했을 때 사람들의 미신에 대한 믿음 수준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봤습니다. 

해당 연구는 2개의 실험으로 구성되었는데, 첫 번째는 피험자들을, 토바식Tobacyk의 초자연적 믿음 척도(Paranormal Belief Scale, 1988)***로 초자연적 믿음 정도를 측정하고, 풀 수 있거나 없는 퍼즐에 노출된 후 애너그램(문자재배열 퀴즈 ex. plpae -> apple)을 수행케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결과는 초자연적 믿음 정도가 높은 사람들이 애너그램을 더 잘 풀었다고 합니다. (함의는 ‘초자연적 믿음이 큰 사람들이 스트레스에 더 강했다’는 게 되는 것 같습니다)
Dudley 1999, Fig. 1
두 번째 실험에서는 풀 수 있거나 없는 퍼즐에 노출되기 전과 후에 초자연적 믿음 수준의 변화를 보았습니다. 믿음 수준은 역시 토바식 척도로 측정되었습니다. 그 결과는 풀 수 없는 퍼즐에 노출된(더 큰 스트레스에 노출된) 피험자들에게서 초자연적 믿음이 더 높아졌다는 것입니다.
Dudley 1999, Fig. 2
이런 내용을 간단하게 도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불확실한 상황 등) 스트레스 → 통제욕구 ↑ → 미신적 행동/의례화된 행동 (강박 행동과 유사) → 통제감 ↑(느낌만) → 스트레스↓ → 퍼포먼스 향상

이것은 ‘불안’과 연결해서 설명되기도 합니다.

(불확실한 상황 등) 스트레스 → 불안 ↑ → 미신적 행동 → 불안 ↓ → 스트레스 ↓

이런 측면에 주목한 연구들도 많이 있습니다. 불안과 미신 연구, 통제감과 미신 연구는 불안이라는 정서에 주목하느냐 통제감이 낮은 상황적 조건에 주목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미신적 행동/믿음의 효과에 대해서는 비슷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전쟁 공포와 미신적 관념과 실천

미신의 효과에 대한 이런 실험심리학적 연구 외에 (실험)인류학적 연구 사례들도 있습니다. 주로 이스라엘에서 조사된 것입니다. 중동의 복잡한 정세로 준전시 상황인 사회라는 특수성 때문에 이런 연구가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기오라 케이난(Giora Keinan, 1994)은 걸프전 때 스커드 미사일로 고통받았던 이스라엘 사람들과 미사일 공격에 노출되지 않은 이스라엘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습니다. 주술적 사고(magical thinking)의 정도가 어디가 높은 지 알아보려는 것이었습니다. 미사일 공격 위협에 시달린 지역 사람들의 주술적 사고가 더 잘 활성화된다는 걸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주술적 사고를 ‘주술적 사고 질문지’를 통해서 측정했습니다. 가령 ‘미사일 공격 때 사담 후세인 사진이 있었다면 갈기갈기 찢었을 것이다’라는 문장에 5점 척도(전적으로 긍정…전적으로 부정)로 답하도록 했습니다. 미사일 위협에 시달린 지역 사람들이 이 질문지에 긍정적 답변을 한 케이스가 많았다는 것입니다.

리처드 소시스(Richard Sosis, 2007)****의 연구도 유명한데요. 그것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갈등이 심했던 2000년대 초반(2차 인티파타) 이스라엘 북부 제파트(Tzfat)라는 지역의 여성들이 테러 위협의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서 시편 암송을 어느 정도로 했는지 조사한 것입니다. 시편 암송은 이스라엘의 여성 종교인들이 정기적으로 하는 종교적 관습이라고 합니다.
Sosis 2007, Fig. 1
귀신이나 유령이 출몰할 것 같은 상황에서 기독교인이 주기도문을 외우는 것처럼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편 암송을 하는 경우에 주목한 것인데요. 눈에 띄는 것은 종교인이 아닌 사람들이 테러 위협의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시편 암송을 하는 경향성이 높아졌다는 점입니다(위 그림 참고). (종교인들은 별 차이가 없는 결과라고 합니다. 원래 암송을 많이 했으니 스트레스 상황이라고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겠죠)

흥미롭게도 비종교인에게서 시편 암송을 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서 일상을 더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종교인은 차이가 없었습니다).
Sosis 2007, Fig. 2
이 말은 시편 암송을 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공포에 덜 지배되었다는 것을 말합니다(비종교인 한정). (종교인은 비종교인에 비해서 항상 절대적 수준에서 공포에 덜 지배되는 경향이 보이긴 합니다)

[위의 그래프를 좀 더 설명하자면, 가로축이 시편 암송(0=암송 안함, 1=암송)을 하는 경우를 세로축은 예방적 행동 변화(외부 활동을 하지 않는다, 공공장소에 나가지 않는다 등) 확률을 나타냅니다. 예방적 행동 변화 확률이 낮아지는 것은 평소와 다름없이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는 말과 같습니다.]

미신은 스팀팩?!

이런 걸 보면, 미신적 관념/행동은 나름 적응적 이점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물론 어떤 유효한 범위를 생각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미신적 관념/행동을 고수하기 위해서 너무나 많은 기회비용을 지불한다면, 여러가지로 좋지 않은 것이죠.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고 말한 마르크스의 비유를 끌어와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겁니다.

미신적 관념/행동은 비용이 크지 않은 일정 범위 내에서는 고통을 잊고, 혹은 공포/스트레스/불안을 낮춰서 삶을 계속 영위해 나갈 힘을 갖게 만들어 줍니다. 마약성 진통제라는 게 약물로 활용되는 이유와 일맥상통합니다. 그러나 과용하면 마약에 중독되어 목숨을 잃게 되는 것처럼, 미신적 사고/행동도 과도하게 활용하게 되면, 큰 기회비용(재산 탕진, 건강 훼손 등)을 치르게 되기도 합니다.

‘미신은 나쁘다’, 그것이 하나의 사고의 오류 등으로 표현되는 것은 언제나 ‘남용’ 상황에 대해서 말하는 것 같습니다. 과도하지 않은 활용이라면, (심리적) 치료제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미신에 대한 평가도 좀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적절한 미신의 사용은 당신을 더 건강하게 만들어 줍니다.'
'문제는 남용/과도한 의존입니다.'
 

참고자료------------------

*"노인에 대한 선택과 강화된 개인의 책임 효과: 보호시설 환경에서의 현장 실험"
Langer, E. J., & Rodin, J. (1976). The effects of choice and enhanced personal responsibility for the aged: A field experiment in an institutional set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4(2), 191–198.

**"풀기 어려운 문제 수행 역량에 대한 미신적 믿음의 효과"
Dudley, R.Thomas. (1999). The effect of superstitious belief on performance following an unsolvable probl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6), 1057-1064.

***1988년 발표된 초자연적 믿음 척도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4년에 개정 버전이 만들어졌습니다.
한글 번역 사례 참고.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시편: 테러 위협에 대한 주술-종교적 대응"
Sosis, Richard. (2007). Psalms for Safety: Magico‐Religious Responses to Threats of Terror. Current Anthropology, 48, 903–91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라는 타이틀의 시리즈물의 마지막 글이다. 이전 글까지 확인하려고 했던 것은 ‘크리스마스’가 동지라는 ‘시간의 마디’에 이루어지는 의례였고, 지금도 그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에 물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간의 마디에서 인간은 왜 의례 행동을 하는가'가 될 것이다. 동지 축제의 주요 요소라고 할 만한 것들이 ‘주술-종교적 목적의 행동’이라는 점을 지난 글(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에서 언급했다. 팥죽과 주술-종교적 위험 회피 우리의 동지 축제 때 관습으로 ‘팥죽 먹기’가 있는데, 그것도 동지 축제에서 많이 보는 주술-종교적 행동이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설명을 보자.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로 팥죽을 쑤어 먹는다는 것이다. 이런 동기는 이 풍습이 관습화되면서 많이 약화되고 새해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한 살을 먹는다’는 의미 정도로 축소되었다. 세계 도처의 ‘동지 축제 풍습’, 또 신년 의례를 보면 시간이 변하는 시점에 귀신이나 악령이 출몰하고 이들로부터 인간이 액, 살과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념이 폭넓게 퍼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한 모종의 행동(의례)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의 ‘경계’만큼이나 공간의 ‘경계’에서도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은 활발히 작동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누석단이다. 영어권에서는 cairn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새로운 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람들은 민감하게 초자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