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민의 아편인 게시물 표시

21세기임에도 종교는 왜 사라지지 않을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6.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나 미신은 비합리적인 사고의 산물로 여겨졌습니다.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이 발달하면서 학자들이 이성의 승리와 맹신의 퇴조를 예상한 것은 그래서 자연스러운 수순이었습니다. 막스 베버라는 사회학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출처: azquotes.com 우리 시대의 운명은 합리화와 지성화, 그리고 무엇보다도 '세계의 탈마법화’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명확하게 궁극적이고 숭고한 가치는 공공 생활에서 신비로운 삶의 초월적 영역이나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인간관계의 형제애로 후퇴했다.  - 베버, 『직업으로서의 학문(Science as a Vocation)』 비합리적인 맹신의 세계(종교)는 그렇게 힘을 잃어버렸을까요? 20세기에서 21세기를 통해서 그러한 예상은 국지적, 한시적으로는 참이었지만, 인류 전체로 볼 때는 예상과는 전혀 다른 전개를 보였습니다. 오히려 종교사회학자들은 '세계의 재마법화' 혹은 '재성화'를 이야기하게 되었습니다. 종교는 여전히 공적 영역에서도 맹위를 떨치고 있고, 세계적으로 볼 때 종교 인구는 그렇게 감소하지도 않았습니다. 출처: https://www.pewresearch.org/short-reads/2017/04/05/christians-remain-worlds-largest-religious-group-but-they-are-declining-in-europe/ 2015년 Pew Research Center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84%가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2050년까지 종교 인구의 변화를 추정한 바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출처: https://www.pewresearch.org/religion/2015/04/02/religious-projections-2010-2050/ 세계 인구 증가와 함께 기독교(개신교, 가톨릭, 정교회 등)와 이슬람교 인구가 증가하는데, 특히 이슬람교 인구...

미신은 스팀팩?!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2월 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은 스팀팩이다?'   스타크래프트의 '스팀팩' 미신적 관념과 행동은 실제 현실의 인과관계가 아니라, 유사와 인접의 관념연합적 원리에 근거한 상상된 인과관계를 이용합니다. 행위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고자 하는 상상된 인과관계를 활용하는 것이 미신 행동의 요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상된 인과관계(헌 이빨 줄게 새 이빨 다오)를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직접적인 변화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 행위자의 심리 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긍정적 생각을 만들어 내는 주요한 방식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통제감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인류학적 관찰 사례로 유명한 것은 말리노프스키가 트로브리안드 섬 사람들의 고기잡이 주술 의식에 관해서 기록한 것입니다.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Map-of-the-Massim-region-showing-the-location-of-Rossel-Island-with-an-inset-showing-the_fig1_324321831 말리노프스키는 트로브리안드 섬 사람들이 “강력한 파도나 태풍, 암초”의 위험요소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배를 만들고, 첫 항해를 하고, 배에서 고기를 잡는 과정 내내 주술적인 의식을 하며, 정말 위험한 순간이 닥쳤을 때도 주술에 의존”하는데 반해서 근해에서 하는 안전한 어로 활동 시에는 주술 의식을 거의 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통제감의 효과 통제감을 갖는 것의 긍정적 효과는 좀 오래된 연구이긴 하지만 주디스 로딘과 엘런 랭어의 연구(1976)*를 들 수 있습니다. 요양원에 있는 노인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뭐든지 원하는 걸 할 수 있다고 안내하며 시설 거주자(노인 자신)의 책임을 강조하였고, 두 번째 그룹은 시설 내 활동의 자유와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