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책임인 게시물 표시

'순진함의 유혹'의 한 구절을 보며 '어른이'의 세계를 생각해 본다

파스칼 브뤼크네르, 『순진함의 유혹』, 김웅권 역, 동문선, 1999, pp. 158-162(인용) 패배 속의 위안   ... 시대의 상투적 생각에 따라, 이러한 태도에 개인주의의 최고 단계라는 낙인을 찍는 것은 옳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정확히 그 반대이다. 개인은 자신의 가능한 모든 역할들 가운데 단 하나의 역할만을 간직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불평하고 애처롭게 앙탈하는 유아의 역할이다. 그러나 우리가 아무 탈없이 허약한 어린아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학대받은 자의 코미디를 하기 위해서 지불해야 할 대가가 있다. 이 대가는 생명력이 저하되는 것이고, 힘이 쇠약해지는 것이며, 의지가 빈곤한 상태로 회귀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늘날 서양에는 분명히 옹졸하고 허약한 새로운 인간 모델이 산출되고 있다. 이 모델을 정의하자면, 그는 자신의 허약함에 대해 동의하여 자신을 부정하고 삶으로부터 은둔하려는 취향을 지니고 있다. 사랑이나 정치, 또는 직업의 실패를 다루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이 실패를 자기 자신의 탓으로 돌리고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결과를 끌어내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 실패를 제 3 자의 탓으로 돌리고, 우리에게 손실을 가하려고 열중한 책임자를 지정하는 것이다. "'나는 고통받고 있다. 분명 누군가가 이 고통의 원인임에 틀림없다'라고 병약한 양들은 추론한다."(니체 <<도덕계통학>>, 세번째 논설) 첫번째의 경우 실패를 극복해서 이 실패를 개인적인 성취의 길로 가는 단계로 변모시키고, 하나의 길을 심화시키는 데 필요한 우회적 길로 변모시키는 수단을 마련한다. 두번째는 잘못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고, 어떠한 반성도 물리침으로써 실패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나는 전혀 잘못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나는 전혀 능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존재의 목적은 더 이상 성장하는 것도, 자기 자신을 극복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초라하게 자신을 보존하는 것이다. 인간을 크

남자도 성희롱을 당할 수 있다 │ 내가 겪은 성희롱…'성희롱을 당했다(고 느꼈다)'

성희롱은 남 일이었지 주위 여자 동료들이 늘 겪는 문제겠지만, 주변에서 '문제화'된 경우를 듣는 일은 그리 흔치 않았다. 결정적 사건으로 내가 기억하는 건 2건이다. 하나는 선배B가 겪은 일, 다른 하나는 후배C가 겪은 일이었다. 모두 사건이 발생하고 한참 후에 알았다. 후자의 건에는 나도 약간 불쾌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었다(나중에 안 일). 자세한 이야기는 할 수 없지만... 그 사건을 겪었던 분들의 상처를 다시 일깨울지도 모를 일이니까. 그 두 사건은 제대로 공론화되지 않고 묻혔다. 전자는 형식적인 조처로 모두에게 상처만을 남기고 마무리지어졌다. 후자는 내부에서 제한적인 공론화와 조치가 있었다. 그러나 그마저도 미흡한 것에 불과했다(오로지 내 느낌). 가해자가 학교를 떠난 것도 아니고 단지 마주치지 않도록 분리 조치가 되고 각자 공부는 계속하게 되었으니까. 결국 학계에서 마주칠 수밖에 없을 게다. 누군가가 떠나지 않는 이상. 내가 존경하거나 아끼는 사람들 사이에서 벌어진 일들이었는데, 나는 '누군가를 편드는 문제'가 되지 않을까 멀찍이 바라만 봤다. 사실 내가 나설 수도 없었다. 피해자의 상처를 크게 만들 뿐일 오지랍이었을 테니. 그 사건들은 쉬쉬해야 할 '우리 공동체의 치부'로 여겨졌다. 나도 '에효, 어쩔 수 없지... 그동안 보아온 정이 있는데, 누군가 인생을 망칠 수 없지', '선배들 사이의 그 유대가 미온적 조처를 어쩔 수 없게 만드는 것 같구나' 정도로 이해했다. 나는 그 문제들에서 철저히 방관자로 남아 있었다. 제삼자의 모호함, 그 속에서 '우리끼리만 아는 이야기로 묻어두기'를 함께 받아들였다. 내 주위 사람에게 벌어진다고 해도 '남 일'로서의 한계를 가졌던 것 같다. 나는 '피해자'의 입장을 미루어짐작하고 상상할 수 있었을 뿐이지 완전히 공감하지는 못했다. '왜 그들은 그 이야기를 바로 이야기하고 공론화해서 해결하려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