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기독교화인 게시물 표시

데몬(Demon)과 귀신┃데몬이 '악마'가 된 사정은?

※이 글은 얼룩소 글(23.4.27)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데몬은 '악마'나 '악령'으로 이해됩니다. https://villains.fandom.com/wiki/Demon 이러한 이해가 상식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데몬이 본래부터 이런 '순수 악'의 존재는 아니었습니다. 'demon', 네이버 영한사전 사전을 찾아보면, demon은 악마라는 의미와 귀신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악마라고 한다면 devil이나 Satan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 말은 심지어 악마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귀재, 명인, 비범한 사람'이라고 말이죠. 부정어도 특정한 맥락에서 강한 긍정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니 뭐 놀라운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 상충되는 의미들이 '데몬'이라는 말이 기독교화되어 '악마'가 되었던 역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귀신'이라는 말에는 '악마'나 '악령'이란 의미는 없습니다(기독교인들이 그렇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요). '귀신', 네이버 국어사전 기본적인 의미는 '죽은 사람의 영혼'입니다. 그리고 귀신은 인간에게 재앙(禍)만 주는 존재가 아니라 복도 줄 수 있는 존재입니다. '데몬'처럼 비상한 능력을 가진 사람을 '귀신'이란 말을 써서 나타내기도 합니다. '데몬'이라는 말과는 '악령'이나 '악마'를 제외하고는 확실히 비슷한 말로 보입니다. 데몬, 죽은 자의 영혼 실제로 '데몬'은 기독교화되기 이전에 귀신과 똑같은 특성을 가졌습니다. 이 말은 그리스어 'daimon(다이몬)'에서 나왔습니다. 다이몬은 고대 그리스에서 일반적으로 '신'을 가리켰다고 합니다. 헤시오도스의 기록에 따르면, '다이몬...

크리스마스는 타락한 적이 없다, 기독교의 덧칠이 있었을 뿐

크리스마스의 현대적 관습(크리스마스 트리, 캐럴, 선물, 산타클로스와 루돌프 등)은 기독교적인 게 아니다. 게다가 그 형성 시기도 비교적 최근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크리스마스 트리와 산타클로스의 기원을 살펴보자. 크리스마스 트리 크리스마스 트리의 경우 직접적으로 유럽 북부의 상록수 가지를 이용한 장식 관습—동지 축제 풍습—과 관련되어 있다. 기독교 이전에도 동지 축제 때 상록수를 사용한 예를 여럿 찾아 볼 수 있다. 서구인들은 주로 유럽과 연관된 지역의 사례들을 소개한다. 이집트에서는 동지의 태양신 라 숭배 의식 때에 녹색 종려 나뭇잎으로 집을 장식했다. 이집트인들은 겨울을 태양신이 아프거나 어디론가 떠나버린 때라고 여겼고, 동지 이후에는 다시 낮이 길어지니 라 신이 회복되어 돌아오는 것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이집트인들은 푸르른 종려 나뭇잎을 죽음에 대한 생명의 승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다고 한다. 로마의 동지 축제인 ‘사투날리아’ 때 로마인들도 상록수로 집과 신전을 꾸몄다. 로마인들도 동지 이후로부터 생명이 움트는 풍요의 시기가 도래하게 된다고 여기며 이러한 상록수 장식을 했다고 한다. 북유럽에서는 고대 켈트족의 사제인 드루이드도 영원한 생명의 상징인 상록수 가지로 사원을 장식했다고 한다. 그리고 바이킹은 상록수를 태양신 발드르(Balder)의 특별한 식물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프레이저의 ‘황금가지’에 나오는 ‘겨우살이’와 관련이 있다). 크리스마스 트리의 직접적 전파 과정은 16~19세기에 걸쳐 독일에서 영국으로 그리고 미국으로 전해져 뿌리내리게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16세기 독일 개신교도들에 의해 가톨릭적인 크리스마스 풍경을 바꾸기 위해 트리와 촛불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영국에 전해진 것은 독일계 영국 왕실로부터였다. 영국 왕실에서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과 나무 주위에 선물을 놓는 풍습이 유행하고 점차 부유한 중산층에도 확산되었지만, 대중화의 결정적 장면은 빅토리아 여왕 가족 행사 보도를 꼽는다. 1848년 London Illustrated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