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얼룩소 글(23.6.29)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1회 학술대회의 주제로 '종교의 기원'이 다뤄지게 되었습니다. 저도 프로그램 기획과 발표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2발표). 프로그램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진화인류학자, 심리학자, 종교학자가 모여서 '종교의 기원', '과학적 종교 연구'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강연을 진행합니다. 저와 구형찬 박사는 '인지종교학'(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연구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인지종교학에서 이야기하는 인간의 종교 행동과 관념을 구형찬 박사가 소개해 주십니다. 발표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적 사고와 행동에 횡문화적 보편성과 다양성이 나타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호모 사피엔스의 진화와 인지체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은 이 질문에 답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저는 과학적으로 종교를 연구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연구 대상의 문제(종교라는 개념)를 다룹니다. 과학vs종교의 흑백논리나 과학적 호교론(종교 정당화)을 넘어서 인간의 종교적 행동과 종교문화를 과학적으로 다루는 것의 의미와 의의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발표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어려운 이유는 '종교'라는 대상이 잘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살펴보면서, 과학적 종교연구를 위해 종교 정의 측면에서 넘어야 할 장애물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조셉 불불리아(Joseph Bulbulia)는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인지종교학, 종교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세계적인 학자입니다. 불불리아는 종교적 행동과 감정이 인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종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심리실험적 연구를 해 오고 있습니다. 이번 강연에서도 그러한 자신의 연구를 소개해 줄 것입니다. 3부 1...
읽고 연구하며 바보스럽게 종교적 인간을 탐구하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