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델포이에서 아폴로는 테미스를 쫓아냈나?┃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1)

※이 글은 얼룩소 글(23.5.1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너 자신을 알라'(ΓΝΩΘΙ ΣEΑΥΤΟΝ, gnothi seauton*)라는 경구가 델포이 아폴로 신전의 어느 위치에 새겨져 있다고 볼 수 있는지를 다루면서 '델포이 신전의 심볼'로 여겨지는 'E'를 언급한 바 있습니다(지난 글). 이 심볼의 수수께끼에 대해서 제법 다양한 학술적 논의가 전개되었더군요. 오늘은 그 이야기를 전해드릴까 합니다.
*ΣEΑΥΤΟΝ(seauton) 말고 ΣΑΥΤΟΝ(sauton)으로 쓴 경우도 많은데, 주로 책에 쓰인 경우였다고 합니다.


  • 델포이 신전의 E가 가진 비밀

델포이 신전의 심볼 E는 우리에게는 낯선 것이긴 합니다만,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격언이 새겨졌던 곳 근처에 함께 있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나무, 청동, 황금 버전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의 가운데 빨간 원 안의 기호가 '델포이의 E(delphic E)'로 불리는 것입니다. 다만 해당 기호는 최근에 유행하는 버전인 것으로 보이고, 과거에는 E의 모습에 가까웠던 것 같습니다.

그림1. 델포이 신전의 심볼 E, delphic E라는 문자를 보여준다. 이 이미지의 심볼의 모양은 고대 신전에 새겨진 것과는 다른 것으로 보인다. (출처: https://realgreekexperiences.com/delphic-maxims)

지난 번 글에서 봤던 2세기의 로마 주화에는 명확하게 'E'라고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그림2. 파우스티나 황후 기념 주화와 하드리아누스 황제 기념 주화 속 델포이 신전의 'E', 이미지 출처: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3576039089095158&set=p.3576039089095158&type=3

애초 기호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cf. 아래 그림6). 추정되기로는 기원전 수천년 전부터의 숭배 의식과 관련이 되었을 것이라고 합니다. 기원전 전후 기록을 토대로는 'E'라는 형태를 뚜렷이 볼 수 있을 따름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 현대의 학자들이 생각을 해 보게 된 것은 플루타르코스(46~약120)가 관련 기록을 남겼기 때문입니다(델포이 신전의 E 문양을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확인한 것은 아닙니다). 플루타르코스는 델포이의 아폴로 신전에서 사제로 봉직했었다고 합니다. 이때 신전 입구에 걸린 'E'에 관해서 생각하며 글을 남겼습니다(On the E at Delphi). 


  • 플루타르코스의 7가지 설명

델포이의 E에 관해서 언급한 대화록에서 그는 7가지의 가능한 설명을 '대화자들의 입'을 빌려서 제시하였습니다.

  1. 델포이 신전의 격언을 정한 현자들이 5명임을 보여준다(E, 엡실론은 그리스 알파벳의 다섯 번째/영어의 E와 마찬가지로).
  2. E는 모음으로서 두 번째이고, 태양은 두 번째 행성(달이 첫 번째로 여겨짐)이며, 아폴로는 태양과 동일시되었다. 그러므로 E가 아폴로를 상징한다.
  3. 플루타르코스는 E의 발음을 'ei'로 보면서 'ei(εἰ*)' = "만일(if)"로 본다. 사람들은 그들이 성공할 것인지 또는 그들이 이것을 할 것인지 또는 저것을 할 것인지를 신탁으로 묻는 데 이 단어를 사용한다. 
  4. EI는 종종 εἴθε(eithe) 또는 εἰ γάρ(ei gar)[=if only, ~이면 좋을 텐데]의 조합으로 신에 대한 소원이나 기도에 사용된다. 
  5. EI, 곧 "if"는 논리학에서 필수적인 단어이다. '만일 이렇게 된다면, 저런 결과가 따른다.' 아폴로 신이 즐겨 사용했다.
  6. 5는 수학, 생리학, 철학,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숫자다(E, 알파벳의 다섯 번째 문자). 아폴로 신은 그 분야들과 밀접히 관련된다.
  7. EI는 "thou art(you are)"를 의미하며 신(아폴로)이 영원한 존재라는 것을 나타낸다.
* εἰ는 고대 그리스어의 'if'.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αν(an)'.

이 심볼에 대한 현대적 논의를 이끈 고대 그리스 연구자 베이츠(William Nickerson Bates, 1867–1949)는 플루타르코스가 그럴 듯한 설명을 생각한 것이지 그 본래 의미를 알지는 못했다고 지적합니다(Bates, 1925: 241). 당시에 플루타르코스의 설명은 그가 엡실론(E)이라는 문자로부터 상상할 수 있는 것들이긴 합니다.


  • 현대적 설명, 더 고대의 대지신(가이아)의 흔적?

베이츠는 보다 확실한 근거라고 판단했던 고고학 발굴 결과를 토대로, 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이 아폴로 신을 믿기 이전에 그곳에서 행해지던 대지신('가이아')에 대한 숭배와 관련된 것이라는 대담한 주장을 내 놓았습니다.

델포이 신전에서 20세기 초에 발견된 옴파로스*에 새겨진 문자 E Γã(E Ga)를 기초로 해서, 'ga'는 'ge'를 말하는 것이고, 이는 'gaia'와 관련이 된다고 봅니다(ge/gaia가 고대의 대지모신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 때는 이 돌이 기원전 7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 옴파로스는 '배꼽'이란 의미로 '세계의 중심'을 나타내는 표지로 놓인 종(혹은 벌집)모양의 돌입니다(아래 사진).

그림3. 델피의 문자가 새겨진 옴파로스 (Bates, 1925: 241)

위 사진에서 아래의 문자를 읽어 냈습니다.

그림4. 옴파로스에 새겨진 문자? (Bates, 1925: 241)

베이츠는 이 돌의 문자가 기원전 7세기에 쓰였다는 것을 전제로 해서, 여기에 표현된 'ge'(=gaia)가 아폴로 신앙이 델포이에 자리잡기 전에 그곳에서 신탁을 관장했던 대지의 여신 신앙과 관련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그림5. 델포이, 미케네, 크노소스의 위치 (https://ko.wikipedia.org/wiki/미케네_문명)

당시 접근 가능한 델포이, 크레타의 미노스, 그리스 본토의 미케네 등지의 유적과 유물로 확인할 수 있는 대지 여신의 도상학,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고대 그리스의 신화 및 연극 텍스트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만들었습니다.

기원전 20세기 전후로 크레타의 미노스 문명, 그리스 본토의 미케네 문명에서 대지의 여신 신앙이 공히 발견되고, 비슷한 도상을 갖는 유물이 델포이에서도 나오는 것으로 보아, 델포이에 원래 대지모신(Mother Earth Goddess) 신앙이 있었고, 그 대지모신은 때론 가이아로 때론 테미스(Themis)로 불렸었다. 그러다가 크레타의 크노소스 사람들이 델포이로 이주하면서 아폴로 신앙이 들어와 이를 대체했다.

그림6. Bates(1925) fig. 5 'Minoan Gem'의 해상도 높은 버전. 베이츠가 'E'로 본 문양은 다른 것일 수도 있을 것 같다. Jasper Lentoid / Minoan / ca. 1500–1400 BCE (이미지 출처: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251371)

이런 시나리오를 제기하면서 베이츠는 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이 아폴로 이전 대지모신의 심볼이었는데, 아폴로 등장 이후에도 '재활용'되었고, 이후에 사람들이 그 내막을 잊게 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수수께끼로 남았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참 흥미로운 그럴 듯한 가설입니다. 그런데 이 주장은 1950년대에 큰 도전을 받았습니다. 바로 베이츠 논의의 출발점이 되었던 옴파로스에 새겨진 글자가 그렇게 오래된 것이 아니며, 베이츠 등이 글자를 잘못 읽은 것일 뿐 아니라 그 돌은 옴파로스도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이어 나가겠습니다.


참고자료

Bates, William Nickerson, 1925, "The E of the Temple at Delphi,"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29(3): 239–246. (이 논문에 대한 요약은 여기를 참고)
Bousquet, Jean, 1951, "Observations sur l'« omphalos archaïque » de Delphes," Bulletin de Correspondance Hellénique 75: 210-223.
ON THE E AT DELPHI, Plutarch's Morals: Theosophical Essays
The E at Delphi, CONRAD H. ROTH's Blog(Varieties of unreligious Experienc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