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출처인 게시물 표시

타인 저작물을 베끼는 다양한 방법┃문란해진 표절 기준

※이 글은 얼룩소 글(23.5.2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최근에 어떤 글을 보고 동료 연구자를 떠올렸습니다. 자세히 보니 그 글은 다른 사람이 쓴 것이었습니다. 문장을 정확히 옮겨 쓰는 식은 아닌 걸로 보였는데, 그 글을 보면 누굴 떠올릴지 뻔한 것이었습니다. 왜 그 사람이 제 동료 연구자의 아이디어, 논의를 그대로 활용해서 글을 썼는지 의아했습니다. 나름 학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연구자로 알고 있었기에 충격이 더 크더군요. 몇몇 주변 분들께 관련 사항을 물어보니 그 분의 전적이 화려했습니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 자료를 활용해서 순발력 있게 결과물을 내는 식으로 학술 활동을 이어왔다고 하더군요. 연구자들은 이런 '약탈적 연구자'가 누구인지 알고 있지만, 학계 퇴출 같은 조치를 취하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현행 표절 기준으로는 다루기 어려워서 그런 것일 테지요. 표절자들이 제대로 검증되고, 평가받고, 그 책임을 지는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약탈적 연구자'들이 활동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논문 표절 감시시스템 '양심'이 유일"(경남도민일보,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77431) 표절은 연예인이나 정치인 등의 표절 사건으로 나름 사회적 기준이 있는 것처럼 여겨집니다. 다른 사람 글을 인용할 때 출처를 밝히면 표절이 아니다라는 식이 대표적입니다. 어느 언론사 뉴스에서 표절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 적이 있었습니다. [앵커] 결국은 이걸 인용해서 쓴 것이냐, 아니면 베껴 쓴 것이냐의 차이는 인용한 것에 대한 표기 그러니까 출처를 밝히는 것에 있잖아요. [기자] 사실 여기서 출처를 밝혔으면 형식적으로는 표절이 아니게 되는 셈인데요. - JTBC 뉴스, 2021년 12월 28일자. 학계에서 통용되는 상식적인 기준은 그렇지 않습니다. 출처 표시를 해도...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카나리아 제도 사람들은 종교도 없이 벌거벗고 있었다…출처를 찾아보니?

조너선 스미스의 이 글은 '종교개념사' 연구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글 중 하나인데, 원출처를 확인해 보는 경우가 흔치는 않다. 발심을 하여 해당 내용의 원출처를 찾아보다가 이상한 것을 발견했다. 처음부터 나오는 저 말, 리처드 이든(Richard Eden, 1521?-1576)이라는 인물이 썼다는 저 글귀는, 서구의 religion 개념이 확장되어 나갈 때 초창기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그들은 종교가 없다'. 카나리아 제도에 콜럼버스가 도착해서 경험한 바를 표현한 것이다. 이 제도를 지나간 것은 그의 모든 서인도 제도 탐험에서 서인도로 향할 때였다(1차: 1492–1493, 2차: 1493–1496, 3차: 1498–1500, 4차: 1502–1504). 그러니까 위 기록은 1492년의 경험을 기록한 것이다. 이미지 출처: "Voyages of Christopher Columbus", wikipedia 콜럼버스가 그곳에 처음 갔을 때, 그곳의 주민들은 부끄러움이나 religion 혹은 하느님에 대한 지식도 없이 벌거벗고 있었다. 이 내용이 실린 책  A Treatyse of the Newe India (1553)를 시대가 좋아져서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가 세바스티안 뮌스터(Sebastian Münster, 1489-1552)라고 나오고 리처드 이든은 영역자로 나오는 것이었다! Internet Archive에서 1553년 본을 찾아 보면, 길게 부제와 설명이 적힌 다음에 이렇게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Translated out of Latin into English. By Rycharde Eden 이걸 확인하고 조너선 스미스도 원문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던 것인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앞에서 인용한 문장을 보면, 1553년판에는 'religiō'로 적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알아보기 용이한 1885년판의 표지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책 타이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