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개념인 게시물 표시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노이질러, '종교하는' 인간을 생각한다

'노이질러', '종교하는 인간'을 묻기 ‘노이질러’, 이건 대체 무슨 말인가? 이 말은 ‘religion’을 거꾸로 읽은 것이다. ‘noigiler’, 이렇게 쓰고 보니 재밌는 구석이 있다. ‘노이즈+소리질러’를 환기시키기 때문이다. '거꾸로'나 '반대로'는 사실 모호하다. 다만 관습적 맥락에서 '거꾸로'의 의미가 결정될 따름이다. 왜 굳이 거꾸로 읽기를 상상할까? 이런 시도를 해 보는 것은 종교 개념의 한계를 넘어서고 싶어서다. 종교 개념의 한계는 또 뭔가? 이것은 종교를 둘러싼 혼란스러운 풍경 몇 가지만 떠올려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종교란?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믿고 있는 것을 ‘종교’라고 여기게 만들려고 노력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믿고 실천하는 것을 종교 ‘따위’로 표현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그리고 또 어떤 사람들은 종교인들이라면 선하고 좋은 사람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또 어떤 사람들은 종교인들이 심리적 오류에 빠져 있다고 믿는다.  저마다 사람들은 자기들 나름의 종교 이해를 참으로 여기며 종교를 판단한다. 이런 모습이 상식적 종교 이해로 종교를 이야기할 때 벌어지는 풍경이다. 종교라는 말은 위에서 말한 몇 가지 방식으로 종교와 관련된 현상을 재단하게 만든다.  이런 점이 한계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관점을 바꿔야 한다. 종교를 거꾸로 보겠다는 발상은 이런 관점의 전환을 ‘실험’해 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나왔다. 물론 관점을 바꾸는데 왜 굳이 거꾸로 보려고 하느냐는 의문을 가질 수 있겠다.  오로지 이유는 하나, 그게 가장 재밌기 때문이다. 보통 사람들이 보는 방식을 전복시키고 아주 낯선 관점으로 현상을 들여다보면, 익숙하게 알고 있는 세상의 모습이 정말 달라 보이기 때문이다.  거꾸로 보기는 안 좋은 점도 분명히 있다. 낯선 관점이기 때문에 소통이 어렵고, 익숙한 세계에서 문제없이 잘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함을 줄 수 있

음수 이해의 역사와 개념을 이해하는 문제

오늘 우연히 '(서양에서의)음수 수용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마이너스)라는 개념이 중국에서는 기원전 기록에서부터 확인되고(BCE 200), 이것이 인도와 이슬람 세계를 통해서 유럽에 전해졌다고 한다. 그런데 1800년대까지 이 음수는 수로서 제대로 이해되지 못했다고 한다. 이론적으로는 이야기가 되지만 실생활에서는 경험해 볼 수 있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잘못된 수'로 이해했다고 한다. 꾸역꾸역 대응시켜 본 것이 '이익'과 '빚'으로 +와 -를 이해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 경우는 (-1)x(-1)=+1 같은 문제는 해결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익-빚 모델은 -(-1)=+1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이라고 한다. (빚이 1 있다. 채무자 -1. 채무자의 빚이 감소하는 것을 -로 표현할 때, -(-1)은 빚이 없어진 것이고 채권자는 다시 +1이 되므로 위 식을 현실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로 이해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비유적 이해는 오로지 저 식을 '납득'해 보자는 취지이니 조건을 조금만 달리해도 현실의 문제와 수식은 불일치 한다. 가령 채무자의 경우만 보면 -(-1)이 아니라 (-1)+(+1)=0으로 생각할 수 있다. (-1)x(-1)은 위치나 위상을 고려할 때 우리가 구체화해서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다. 지금 우리는 위의 문제를 수직선[수를 나타내는 직선]에 나타내서 이해한다. 음수를 더 쉽게 많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있었다고 한다. 화씨의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Daniel Gabriel Fahrenheit, 1686–1736)가 온도계를 만들면서 0도 아래에 음수를 표기하면서 대중들이 음수 개념을 0 아래의 '어떤 위치'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위 영상 참고). 수학자들조차도 현실에 대응되지 못하는 개념을 받아들이는 데 수백 년이 걸렸고, 결국 낯선 개념이 일상에서 친숙해지는 어떤 계기를 통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