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인 게시물 표시

‘종교의 기원’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 참여 후기(인간의기원연구소)

※이 글은 얼룩소 글(23.7.17)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의 기원’이라는 주제로 열린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1회 학술대회(2023년 7월 10일 월요일)에 참여했습니다. 대전에서 오전 10시에 시작되는 학술대회라서 전날에 내려갔습니다. 숙박은 서강대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Academic Center for K-Religion)에서 지원해 주었습니다. 학술대회 당일은 발표장을 가려다가 충남대 앞 오거리 우회전에서 헤매고, 양문순 빌딩(E16-1)이 아닌 정문술 빌딩(E16)에 들어가는 헤프닝이 있어서 예상한 시간보다는 늦었지만, 학술대회 시작 시간 전(9:20)에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약한 비가 뿌리던 날씨는 어느새 개여 있었습니다. 발표장이 있던 양문순 빌딜 앞(사진 인간의기원연구소 제공, 이하동) 사전신청자가 200명 가까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아마 정재승 선생님의 ‘티켓 파워’였겠죠), 10시 전까지 자리가 많이 차지는 않았습니다. 10시 10분까지 늦게 오시는 분들을 위해서 개회가 연기되었습니다. 축사나 이런 것 없이 정재승 선생님의 인간의기원연구소 설립 및 1회 학술대회에 대한 소개를 하시고 바로 1발표자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졌습니다. 1발표는 약 10시 20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발표 는 “종교적 사고와 행동의 진화인지적 토대”라는 제목의 발표였고, 발표자는 구형찬 박사였습니다. 구형찬 박사의 1발표 인간은 영혼, 사후세계, 기적, 주술 등을 믿고 있다. 여러 문화권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 사고와 행동은 생물학적(진화적, 인지적) 요인을 따져 봐야. 인간의 종교적 사고와 행동, 적응적인가, 부산물인가? 발표자는 부산물을 지지. 리처드 소시스(Richard Sosis) 같은 학자는 종교를 적응 복합체로 보고, 종교가 도덕 위반자와 무임승차자를 통제해 협력을 촉진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본다. 파스칼 보이어(Pascal Boyer) 같은 학자는 인간의 종교적 사고와 행동을 적응의 ...

2023년 '종교의 기원'에 관한 과학적 논의를 다루는 학술 대회

※이 글은 얼룩소 글(23.6.29)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1회 학술대회의 주제로 '종교의 기원'이 다뤄지게 되었습니다. 저도 프로그램 기획과 발표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2발표). 프로그램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진화인류학자, 심리학자, 종교학자가 모여서 '종교의 기원', '과학적 종교 연구'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강연을 진행합니다. 저와 구형찬 박사는 '인지종교학'(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연구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인지종교학에서 이야기하는 인간의 종교 행동과 관념을 구형찬 박사가 소개해 주십니다. 발표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적 사고와 행동에 횡문화적 보편성과 다양성이 나타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호모 사피엔스의 진화와 인지체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은 이 질문에 답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저는 과학적으로 종교를 연구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연구 대상의 문제(종교라는 개념)를 다룹니다. 과학vs종교의 흑백논리나 과학적 호교론(종교 정당화)을 넘어서 인간의 종교적 행동과 종교문화를 과학적으로 다루는 것의 의미와 의의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발표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어려운 이유는 '종교'라는 대상이 잘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살펴보면서, 과학적 종교연구를 위해 종교 정의 측면에서 넘어야 할 장애물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조셉 불불리아(Joseph Bulbulia)는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인지종교학, 종교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세계적인 학자입니다. 불불리아는 종교적 행동과 감정이 인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종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심리실험적 연구를 해 오고 있습니다. 이번 강연에서도 그러한 자신의 연구를 소개해 줄 것입니다. 3부 1...

'종교의 기원',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포럼에 다녀와서

어제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포럼에 다녀왔다. 구형찬 박사님의 '종교의 기원'이란 주제의 강연이 이루어졌다. 나는 지정질문자로 참여 했다. <휴먼 디자인>의 5장 "종교: 종교는 왜, 그리고 어떻게 진화했는가"의 내용을 1시간 반에 걸쳐서 설명하는 내용이었다. 어떤 면에서는 '인지종교학 입문' 강연이기도 했다. 흥미로운 구성과 연출, 퍼포먼스가 돋보이는 강연이었다. 자연주의적 관점의 종교 이해가 어떻게 가능한지, 그랬을 때 어떤 문제들이 설명되는지, 간단하면서도 요점을 잘 정리해서 보여주셨던 것 같다. '종교의 기원'을 내세웠지만, 인간의 종교적 행동/관념에 대한 진화인지적 관점의 설명이었기 때문에 이를 보충하는 의미에서 '종교적 행동의 기원'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었다. 나의 질문은 '고인류의 매장 흔적'이 가장 오래된 인간의 종교적 행동의 증거일 것 같은데, 그런 것을 감안한 종교적 행동의 기원에 대한 나름의 시나리오가 있다면 이야기해 달라는 것이었다. 호모 날레디는 과연 매장을 했는가로 요즘 논란이 뜨거운데(중론은 매장은 아니라는 쪽인 것 같다), 호모 사피엔스 사례로는 7만8천년 전, 네안데르탈인은 12만년 전 사례가 가장 오래된 것이다. 물증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인간의 종교적 행동은 장례 행동인데, 그것은 현생 인류에게만 나타나는 게 아니라는 건 명백해 보인다. 연계된 문제는 동물의 어떤 행동들을 의례적/종교적 행동으로 볼 수 있느냐, 볼 수 있다면 '인간의 종교적 행동의 기원'과 관련해서 시사하는 바가 무엇이냐는 것이 될 것 같다. 관련 사례를 다루는 책들도 있는 것 같다. 해당 동물행동학 연구를 '동물 행동에 대한 의인주의적 해석'이라고 쉽게 단정해서 무시할 게 아니라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을 요즘 하고 있다. 답변이 길어지고('시신 처리 행동을 모두 종교적 행동이라고 볼 수 있을까?'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