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은 누구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3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가족 때문에 이 문제를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제 블로그에 옛 경험을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의심병자'의 기록"으로 정리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무슨 도시 전설처럼 온라인 상에 퍼져 있다는 것을 처음 살펴본 계기였습니다(2020년 10월). 게다가 그 이야기의 확산에 언론도 한 몫을 하고 있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스포츠동아 기사, https://sports.donga.com/3/all/20180307/88998857/3
나무위키에도 관련 문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나무: 리칭윈'). 위키백과에도 나오는군요(위키: 리칭윈). 이런 내용들에 '의심'의 흔적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단지 '증거가 사실이라면...'이라는 단서를 다는 수준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이라는 장수인에 대한 기사는 지금도 종종 언론에 등장합니다.
구글 '뉴스' 검색 결과 중에서
사실확인이 된 것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시사in 기사를 보면 '기네스북에서 검증에 들어갔다'는 이야기만 언급하고 있습니다. 언론들이 이런 기사는 가쉽성으로 편하게 다루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실상은 '믿거나 말거나'인 경우가 많습니다.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 '풍문으로 들었소'가 '이런 사실이 있다'로 둔갑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에 '의심'이 많은 사람들도 이런 이야기 거리는 그러려니 하는 것인지 그냥 유통이 되는 경향이 있더군요(재밌는 이야기 거리로 말하는데, 죽자고 달려들 수는 없는 노릇이라서?).

'므두셀라'를 언급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조금 진지하게 생각하는 경우에는 그런 사례를 취급하지는 않지요.
영화 <노아>의 므두셀라methuselah, https://www.huffingtonpost.co.uk/2014/02/18/noah-film-anthony-hopkins-russell-crowe_n_4806606.html
므두셀라는 기독교 경전(창세기 5장 21절에서 27절)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의 이름은 '창 던지는 자', '하나님께 예배하는 자'라는 뜻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969세까지 살았다고 해서 기독교 경전에 언급된 인물 중 가장 장수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주 창조에서 지금까지를 '6천년의 역사'라고 믿는 기독교인들이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을 '므두셀라'로 여기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이 이름을 넷플릭스의 '얼터드 카본'이라는 드라마에서는 하나의 계급으로 표현하기도 했지요. 기억 저장 장치(슬리브)를 새로운 카본 바디에 이식해 영생을 누리는 계급을 '므두셀라'라고 불렀습니다.
'얼터드 카본'의 므두셀라 계급의 사람들은 구름 위 천상의 공간에 산다, https://www.retrozap.com/altered-carbon/
'웰빙'의 시대에 장수인에 대한 관심이 각별하긴 하겠지만, 얼토당토 않은 수준의 '최 장수인'에 대한 '카더라' 정보들이 생명력을 가지고 유통되는 것을 보면 신기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으로 '리칭윈'을 넘어선 인물에 대한 이야기도 회자되고 있었습니다. 에스키 이스탄불 쿠르트레리(Eski Istanbul Kurtleri)로 1453년에 태어나서 1925년에 사망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자그마치 나이가 473세라고 합니다. 그에 대한 튀르키에(터키)어로 된 책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https://www.avestakitap.com/eski-istanbul-kurtleri
정말 믿으면서 이런 이야기를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야, 이런 게 있다'라는 이야기 거리로 소비되는 감이 없지 않습니다만, 언론까지 나서서 기사로 언급하게 되면 어느 새 '신뢰할 만한 정보'로 둔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리칭윈의 경우 처럼요.

'한국 미신'으로 악명 높은 '선풍기 죽음'(fan death)의 경우 언론의 역할이 상당히 컸지요. 선풍기를 틀어 놓고 죽은 사람이 있다는 기사를 언론사(특히 방송사)가 낸 경우들이 과거에는 많았습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중 뉴스 이미지들
그 옛날에는 실험을 해도 결과가 '선풍기틀고 취침 실험, 호흡곤란으로 인한 질식사 위험'이라고 나왔습니다.(지금은 선풍기가 열 받아 실내 온도가 조금 오른 것 외에는 질식이나 저체온 위험은 전혀 없다고 정리되었지요. 과거에 '선풍기 죽음' 괴담을 유포한 언론에서도 "'근거 없는' 선풍기 바람 사망"이란 기사를 반성 없이 내기도 했습니다)

기네스북을 통해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으로 회자되는 인물은 프랑스인 잔 루이즈 칼망(Jeanne Louise Calment)입니다. 공식 출생증명서로 나이를 확인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공인된 최고령자라고 합니다. 기네스북이 인정했으니 공신력이 있다고 여겨질 뿐 이에 대해서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2019년에 러시아의 한 연구팀이 잔 칼망은 실제 1934년에 사망했고, 1997년에 사망한 사람은 그의 딸 이본 칼망(Yvonne Calment)이라는 연구 결과를 Rejuvenation Research(회춘 연구)[저명한 '노화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에 실었습니다. (22권 1호의 두 번째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Evidence That Jeanne Calment Died in 1934—Not 1997).
https://www.liebertpub.com/doi/10.1089/rej.2018.2167
2019년 9월에 BBC에서 낸 기사를 받아 연합뉴스 등 언론사들이 보도하면서 국내에 알려졌습니다. 이 시기에 러시아 연구팀의 연구에 대한 프랑스 측의 반박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BBC의 보도가 나왔던 것입니다.
https://www.bbc.com/news/world-europe-49746060
과학적으로 보면 현재 인류는 대략 120세 정도까지 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향후에는 유전자 조작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인간의 수명이 150세에 이를 것이라고 합니다. 되어 봐야 알 일이죠. 100년 후의 일이니 아직은 하나의 '과학 소설' 같은 이야기입니다. 역시 부리나케 언론사들이 이런 기사를 열심히 냅니다.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2/12/22/HGMYD7CWRBHR3ND7HQPXIRULOI/
21세기에도 '소문'이 진실이 될 가능성은 언제나 열려 있는 것 같습니다. 언론을 통해서 전달되는 정보마저 진위여부를 명확히 알 수 없는 시대니 말입니다.

종교문화 연구자로서는 사실 흥미로운 시대입니다. 21세기 최점단 과학의 언어가 유통되는 와중에도 '사람들이 향유하는' 많은 이야기가 여전히 전설, 민담 수준일 수 있으니까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