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국립국어원인 게시물 표시

도매급과 도매금, 표준어 혹은 올바른 표현 규정의 문제

도매금(도매가격)이 맞는 표현이라는 썰을 들었다. 도매금은 사전에 나오지만 도매급은 사전에 나오지 않는다. 관용적으로 쓰는 표현, '도매급으로 넘기다'에서 '도매금'으로 가 더 상황을 명확하게 이해시킨다는 점에서 맞는 설명인 것 같다. 그런데 도매금에서 '도매급'이란 표현이 파생되고, '도매급'이 더 많이 쓰이는 상황이라면 '이 표현이 맞으니 저 표현을 쓰면 안 돼'라고 말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다. '도매금'은 '도매급'보다 발음도 불편하다. 게다가 '도매급'도 말이 된다. '도매'+'급( 級, 등급)'의 합성어로도 충분히 '정상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도매급 취급', ' 각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여럿이   같은   무리로   취급받음 '이라는 의미에 도매금보다는 도매급이 훨씬 직관적으로 이해된다는 장점도 있다. 참고로 구글링을 해 보면(22-9-23, 5:40 검색), '도매금'은 44,000건, '도매급'은 1,730,000건 정도의 결과를 보여준다.   왜 국어학자 등은 언어를 화석으로 만들고 싶어할까? 분명 언어의 사회성을 가르치는 사람들일 텐데. .   .   . '언어의 사회성'을 '...약속'으로 설명하는 건 '사회계약론' 같은 소설적 개념인 듯하다. 뭐 일상의 '약속'과는 다른 약속이라고 당연히 이야기하겠지만, 그런 표현을 쓰는 건 다분히 '변이'보다는 '고정된 것'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것 같다. '국립국어원'의 '온라인가나다라'의 답변에 "개인이 함부로 바꿀 수도 없앨 수도 없는 공용물"과 "사회 구성원 간의 약속"이란 표현이 눈에 띈다. 시중의 신조어 유